-
-
성의 미학 - 서양미술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미와 교코.진중권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진중권의 ‘춤추는 죽음’을 읽고 생각보다는 괜찮은 내용에 만족스러워서 ‘죽음’이 아닌 반대되는 ‘성’에 대한 내용도 관심을 갖게 되어서 읽게 되었다.
처음에는 ‘춤추는 죽음’에서도 간간히 언급된 ‘미와 쿄코’가 유학시절에 알게 된 친구라고 생각하기도 했는데 ‘성의 미학’ 머리말에서 그녀가 진중권의 아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번 작품은 ‘춤추는 죽음’과는 반대로 미와 쿄코가 대부분의 내용을 써내려갔기 때문에 ‘춤추는 죽음’과는 구성에서나 내용에서 조금은 차이를 느낄 수도 있다.
‘춤추는 죽음’의 경우에는 ‘필립 아리에스’와 ‘노르베르트 엘리아스’의 죽음에 대한 논의를 두 개의 기둥으로 삼아 미술품들과 진중권의 논의를 진행했다면, ‘성의 미학’의 경우에는 특별히 어떤 논의에 기대지 않고 ‘성’을 소재로 한 미학에 대한 얘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대적 흐름이나 역사적 변화보다는 ‘성’을 어떻게 미학적으로 다양하게 묘사를 했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있다.
때문에 ‘춤추는 죽음’과 같이 어떠한 시대적 흐름과 연관해서 읽어나가기 보다는 ‘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풀어나갔었는지에 대해서의 다양성과 시선에 대해서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보다 흥미롭게 읽어나갈 수 있을 것 같다.
여전히 성에 대해서 말을 아끼고 침묵하는 한국 사회에서는 이런 책을 읽는 것으로도 그다지 평범하지는 않을 것 같고, 말미에서 잠시 논하는 고정된 성이 아니라 보다 이질성과 충돌 혹은 융합을 추구하는 결론도 약간은 흥미롭게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
하나의 그림도 세세하게 따져보면 다양한 의미들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고 이런 책을 읽어나가면서 조금은 미술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