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 강의 ㅣ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 강의 1
데이비드 하비 지음, 강신준 옮김 / 창비 / 2011년 4월
평점 :
맑스 / 마르크스
인문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 중 그를 모른다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떤 식으로든 접하게 되는 이름이고 결국에는 만나게 되는 이름이다. 존경과 경멸이 함께하고 그에 대해서 말한다는 것은 결국에는 논쟁을 만들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싫든 좋든 그는 지금 이 세상을 가장 명확하게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자본 / 자본론
자본주의에 대한 수많은 분석 중 맑스의 ‘자본’을 뺀다는 것이 맞는 것일까? 잘못도 그런 잘못 없을 것이다. 사람에 따라 그 가치를 폄하하고 조롱할 수 있겠지만 ‘자본’처럼 지금 세상과 자본주의 사회를 깊숙하게 들여다본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오랜 기간 자신의 생각을 다듬고 다듬어 자본주의가 무엇인지를 그만의 변증법으로 살펴보고 있고 그 본질을 폭로하고 있다.
하지만 ‘자본’은 그리 쉽게 읽혀지는 책이 아니라 도전과 끈기가 무척 많이 필요한 책이다. 2~3번 정도 읽기는 했지만 항상 좌절하며 읽었고 제대로 이해하며 읽는 것인지 그냥 글자를 읽었을 뿐인지 고민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데이비드 하비
신실한 맑스주의자 데이비드 하비는 맑스에 대한 그리고 ‘자본’의 탁월한 분석에 대한 오해와 왜곡을 지우면서 맑스의 변증법이 갖고 있는 빼어남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자본’ 함께 읽기를 꾸준히 해왔고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 강의’는 그동안 해왔던 내용을 책으로 정리했다.
데이비드 하비는 ‘자본’에 대한 그리고 맑스에 대한 온갖 해석과 복잡한 논의들을 걷어내고 ‘자본’ 자체를 충실히 성실히 읽어내며 맑스가 어떤 문제의식 속에서 바라봤고 어째서 그와 같은 논의를 했는지 설명해주며 자신의 생각을 더해주고 있다.
유연하게 부드럽게 맑스의 생각으로 그리고 ‘자본’으로 안내하고 이론을 살펴보고 분석의 의미를 알아보며 맑스의 변증법의 진면목을 알게 해주는 것에서 끝내지 않고 어떤 실천을 할 수 있을지도 함께 고민하며 ‘자본’이 발표된 시대와는 달라졌지만 마찬가지이기도 한 이 시대를 바라보며 다같이 ‘자본’ 읽기를 권하고 있다.
‘자본’은 여간해서는 읽어내기가 쉽지 않은 책이고 다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도 막상 펼치면 곧장 덮게 되는 책이었다. 데이비드 하비 같은 뛰어난 학자도 쉽게 읽기 어려웠다는 말을 들으니 조금은 편한 기분으로 다시 읽어보고 싶게 되고 맑스의 논의와 데이비드 하비의 생각을 떠올리며 읽어봐야겠다. 나중에 언젠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