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정신과 환자를 위한 정신재활
로버트 폴 리버만 지음 / 하나의학사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성 정신과 환자들에게 약물치료가 아닌 정신과 환자를 둔 가족들과 그들의 역할,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책. 

정신과적인 공부가 필요한 사람들이나 정신과적 가족을 두고 있는 사람들도 읽어보면 좋을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지치료 - 이론과 실제
JUDITH S. BECK 외 지음, 최영희 외 옮김 / 하나의학사 / 199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정신과적인 질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약물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인지치료를 통해 극복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  

환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자동적 사고를 옳지 못한 것이라는 것을 지각시켜주고, 극복할 수 있게 하는데 목표가 있다. 우울증 환자들에게 효과적이라 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입원환자의 집단 정신치료
Irvin D.Yalom 지음, 박순환 옮김 / 하나의학사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입원환자, 특히 만성화된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단정신치료를 어떻게 진행하고, 환자들의 특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것이 비교적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나와있는 책. 

처음 만성환자들을 대상으로 집단정신치료를 실시하려고 한다면, 실시 전에 읽어보면 좋을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신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 제5정판
어빈 D.얄롬.Molyn Leszcz 지음, 장성숙.최혜림 옮김 / 하나의학사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집단정신치료를 직접 하고 싶으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할 때, 기본서. 

집단정신치료를 시작하기 전 마음가짐 및 진행중의 역동이나 진행후의 종료를 어떻게 해야하는지가 비교적 쉽게 나와있다.  

집단정신치료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얄롬'의 책을 많이 애용하고 있다.  

정신분열병환자들을 위한 집단정신치료 책으로는 '입원환자의 집단정신치료'가 유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 DSM-IV
미국정신의학회 엮음 / 하나의학사 / 199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8년도 쯤 부터 V가 나온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아직은 IV. 

정신과적인 진단명과 진단의 기준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는 책.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