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비너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나, 히가시노 게이고 좋아합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성장하는 그의 글을 좋아합니다.

사랑한다고까지는 말하지 못하겠지만(제 마음이 옹졸하여, 남편과 아이 그리고 나에게만 국한된 말이 사랑한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역시, 좋아합니다.

 

읽으면서, 그 천재적인 특성(라프라스의 마녀에서도 소재가 되었지, 인간의 어딘가를 건드려서 천재적인 것으로 거듭나게 한다는...)은 그만 내려놔도 되지 않을까? 물론 천재적인 속성에도 수만가지의 소재가 존재하지만, 그것들 다 써먹을 생각이 아니라면,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같은 책 한권 또 한번 써주시길...

 

그리고 내용의 결말이, 이게 뭐야? 라는 느낌이 약간 들었습니다.

하쿠로의 엄마(데이코)가 재혼해서 얻은 아이 아키토에게 뭔가 더 있을 줄 알았지 뭡니까. 그녀의 재혼 상대인 야스하루가 연구로 인해 나타났던 천재적인 특성을 발견하고, 이후 아키토를 그렇게 만들지 않았을까? 그리고 그러한 아키토가 행방불명됐다고 해서, 야스하루와 아키토 사이, 그리고 16년전 욕실에서 의문의 죽음이 있었던 데이코 사이에 무언가가 있지 않았을까? 싶었는데, 아무것도 없었다.

후천성서번트 연구에 큰 결과를 이루었던 야스하루는 세상에 자신의 연구를 내놓지 않았고, 아키토는 이야기의 끝부분에 잠깐 등장하는 보조였고, 하쿠로와 가에데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이더군요. 데이코를 죽인 범인은 허술하기 그지 없고. 역시 수학, 과학 등의 이과적인 속성들이 소재로 나오고. 하쿠로의 친아버지 카즈키요의 뇌종양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생겨난 천재적인 특성을 일컫는 '프랙털'

 

그러나 저러나 좋았던 부분은 각 챕터의 시작에 수의사로 나오는 하쿠로의 진료 이야기로 시작하면서 각 동물에 대해서 진짜 수의사가 이야기를 해주는 것 같은 치료에 대한 에피소드같은 부분이 다른 이야기들과 함께 어지럽지 않게 연결되는 것 같은 부분이, 많이, 아주,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전의 나와 조금 달라진 점은 둘째를 임신하고 나서부터를 경계로 본다면, 견물생심에 있다.

그 전에는 보고도 다시 마음을 접고, 보고도 그것이 과연 나에게 진짜로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 다시 한번 곱씹어 볼 수 있었다면,

이후의 나는 물건을 보고 그것이 마음에 들었다면 계속 마음에 남아서 결국은 사게 된다는 데에 있다. 그것이 호르몬의 작용때문인가? 하고 여기다가, 둘째를 낳고 한달 무렵이 지난 지금의 시점에서도 나는 그 행위?를 멈추지 못하고 있다. 그 물건이라는 것은 특정한 것이기 보다는(주로 그 범위가 옷, 신발에 있기는 하지만) 보이는 것에 있다. 말그대로 '견물'인 것이다.

좋게 생각하면 돈이라는 것에 대해 조금은 더 관대해 진 것에도 있다. 느슨해진 것이라고 해야 좀 더 맞을까? 사고 싶은 것이 있어도, 돈이 아까워서 사지 못했던 과거에, 지금은 뭔가의 끈이 많이 느슨해진 것 같다. 문득, 순간 아하!에서 돈에 연연하면서 이렇게까지 살아야하는 것인가? 그렇게 살지 않아도 비슷한 것 같다. 더이상 자린고비, 10원 한푼을 아껴서 살아 집을 마련하고 빌딩을 사는 그런 사람들의 뉴스를 들으면서 아둥바둥 살고 싶지않은 내 이면이 있을 지도 모르겠다.

 

글을 쓰는데, 내 머릿속이 어지러워서인지,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의 방식? 생각에 대해 생각해보기?

사람은 생각하는 동물?

그래도 살아가면서 생각이라는 것을 하기는 하지?

생각이라는 것은 무얼까?

생각의 단어 뜻. 의미에 대해서 알지 못하지만, 그저 다들 생각이라는 단어를 한번이상은 사용하지 않나?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작용을 생각이라고 해두면, 이것은 심리학적 입장에서 보면, 인지, 생물 등 여러 입장에서 보는 것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저자는 문화심리학적 입장에서 생각을 바라본게 아닌가 싶다.

동양과 서양(물론, 저자는 서양과 동양의 입장에서 생각에 대한 차이를 말했다)에 따른 생각의 차이를 시대, 학자 등에 따라 다르게 보았다.

 

평균으로의 회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입 Flow -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최인수 옮김 / 한울림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나이 서른다섯. 다시 학교로 돌아가 박사과정에 있다. 역시 수많은 생각과 수많은 후회와 마음 다잡음이 있으면서 나는 한 학기를 보냈다. 참, 뭐 하나 하는데도 수많은 찌찔함이 묻어나는 나다.

동기이론에 대한 수업 중 내가 발표를 맡게 된 부분이 몰입이었다. 5년 전쯤인가? 몰입에 대한 책이 수면의 윗부분 처럼 훌훌 그냥 지나치던 때가 있었다. 그리고 나에게 다시 몰입이 주어졌을 때는 조금더 이면을 보게 된 시간이었는데, 지금 다시 생각을 해보면, 몰입을 하면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는가? 몰입과 과몰입, 몰입과 중독. 발표시간에 몰입이라고 하면 게임이라는 단어가 생각난다는 남자가 있었다. 게임을 할 때, 나같은 경우는 쇼핑앱이라고 해두자. 매일매일 당연히 해야하는 것처럼 약간의 금단증세를 섞어서는 하나하나 보고, 네이버 쇼핑부분을 정독하는 나같은 경우에는 그것에 몰입한다고 보기보다는 중독되었다고 보는게 맞는 듯 싶다. 그렇다면 즐거움이 없다고 볼 수 있을까? 아니다. 할 때 분명 내안의 즐거움이 조금, 그래 아주 조금은 있을 듯 싶다. 싫어 죽겠는데, 그걸 붙잡고 또 붙잡고 있지는 않는 것이다. 몰입에 대해 알아갈수록 나는 늪에 빠지고 있었고, 나의 프로포잘은 알 수 없는 짬뽕이 되어 가고 있었다. 나의 생각에 대해 재미없다고 일갈하는 교수와 그렇다면 교수의 생각을 넣었더니, 나의 생각이 아니고, 그 저 너머의 뭣도 아닌것이 되어 있는 몇장의 레포트 였다.

그렇게 동기이론수업과 관련하여 flow와 씨름하고 있을 때 독서회에서 선정한 도서. 여러가지 사례?를 들어가면서 비교적 재미나게 써내려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회사 쉬겠습니다 12
후지무라 마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친구가 기분전환이나 하라면 쥐어준 책.

책에 대한 애증, 갈증이 있으면서도 끝내 폰을 내려놓지 못하고 진정한 휴식도 취하지 못한 채 눈이 빨개져라 보고 있는 내게 어찌보면 전환이 되어 준 책.

 

연하의 남자를 만나게 되면서 자신에 대해 생각을 다시 하고, 연령에 상관없이 그저 사랑이라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그림이 있는 책.

가벼우면서도 내 삶에 대해서 돌아볼 수 있었다. 책은 생각이라는 것과 마주하게 해준다는 것에서 참 고마운 존재이다. 길가에 떨어진 전단지 한장도 내게 의미가 있었다면 그게 내게는 아주 중요한 생각을 담고 있는 책이 되지 않을까.

 

TV, 컴퓨터, phone 을 조용히 내려놓을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