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행으로 하늘은 내게 밝은 눈을 주시어 고희의 나이에도 여전히 행간이 촘촘한 책을 읽게 하셨다. 천행으로 내게 손을 내리시어 비록 고희에 이르렀지만 아직까지 잔글씨를 쓸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점을 두고 천행이라 하기에는 아직 미흡하겠지. 하늘은 다행스럽게도 내게 평생토록 속인을 만나기 싫어하는 성격을 주셨다. 덕분에 나는 한창 나이 때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친척이나 손님의 왕래에 시달리지 않고 오직 독서에만 전념할 수 있었다. 천행으로 나는 한평생 가족들을 사랑하거나 가까이 하지 않는 무딘 감정을 타고났다. 그 덕분에 용호에서 말년을 보내면서 가족을 부양하거나 그들에게 핍박당하는 고통에서 벗어나 또 일념으로 독서에 전념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이런 따위 역시 천행 운운하기에는 아직 미흡해보인다. 천행으로 내게는 마음의 눈이 있어 책을 펴면 곧 인간이 보이곤 하였다. <이탁오, ‘분서’>



책을 안 읽는 이들은 ‘책을 읽을 수 없는’ 천만 가지 이유를 댄다. 돈도 벌어야 하고, 만날 사람도 많고, 몸도 피곤하고, 걱정거리도 많고, 여하튼 이래저래 시간이 없다는 것. 그러다 나이가 들면, 곧 죽을 텐데 책은 읽어 뭐하나, 라며 서둘러 포기한다. 하지만 실은 이 모든 게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다. 돈이 있든 없든 돈에서 자유롭기 위해, 능동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구성하기 위해, 일신의 안락을 구하지 않기 위해, 매순간 자신의 한계를 넘기 위해, 죽음 앞에서 편안하고 의연해지기 위해. 우리에겐 책을 읽어야 하는 천만 가지의 이유가 있다! 또한 이탁오의 천행에는 못 미칠지언정(!) 하늘은 우리에게도 책을 읽을 수 있는 갖가지 천행을 주시지 않았는가.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어렵다는 로또에 당첨이 되고서도 절도와 사기를 일삼다 붙들린 청년의 기사를 보았다. 사유할 수 있는 능력과 비전이 없다면 10억원이 아니라 100억원도 우리를 구원해주지 못한다. 인생이 쉽게 역전될 리 만무하지만, 그래도 혹시 ‘인생역전’을 꿈꾸신다면 로또보다는 책을 사시라. 게다가 책읽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이 되었으니.

<채운 연구공간 ‘수유 + 너머’ 연구원> 2008.10.1 경향신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다에 와서야
바다가 나를 보고 있음을 알았다.

하늘을 향해 열린 그
거대한 눈에 내 눈을 맞췄다.

눈을 보면 그
속을 알 수 있다고 했는데
바다는 읽을 수 없는
푸른 책이었다.

쉼 없이 일렁이는
바다의 가슴에 엎드려
숨을 맞췄다.

바다를 떠나고 나서야
눈이 
바다를 향해 열린 창임을 알았다.

                  <<수련>>  문학과 지성사 2002

 일상에서 바다를 생각할 일은 없다. "바다에 와서야/ 바다가 나를 보고 있음"을 비로소 알게 될지라도... 내가 바다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바다가 나를 바라보는 일. 바다와 나와의 경계가 無化되는 일.

그리고 "바다는 읽을 수 없는 푸른 책". 어찌 바다만 그렇겠는가. 우리의 삶 또한  읽을 수 없는 미지의 질문으로 가득찬 책이다. 

위안이 있다면 "바다를 떠나고 나서야/눈이/바다를 행해 열린 창임"을 알게 되었다는 것. 지리멸렬한 일상에 찌든 마음들이 바다의 가슴에 숨을 맞춤으로써 얼마간은 치유될 수 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詩와 밤새 그짓을 하고

지쳐서 허적허적 걸어나가는

새벽이 마냥 없는 나라로 가서

생각해보자 생각해보자

무슨 힘이 잉잉거리는 벌떼처럼

아침 꽃들을 찬란하게 하고

무엇이 꽃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는지

어째서 얼굴 붉은 길을 걸어

말도 아니고 풍경도 아니고

말도 지나고 풍경도 지나서

어떤 나무 아래 서 있는지
                                                         <<속이 보이는 심연으로>>, 문학과 지성사. 1991.


새벽에  읽을 때의 그 생생한 느낌은 소멸하고 지금은 손에서 슬며시 빠져나가는 바람처럼 그렇게 사라진 느낌, 감각들.  그저 빔(空), 아스라한 흔적, 그림자뿐......

 안에 있으면서 안을 관찰할 수는 없는 법. 새벽이 없는 나라로 가서 볼 때, 즉 아주 낯선 시선으로 새벽을 응시할 수 있을 때,"무슨 힘이 잉잉거리는 벌떼처럼/아침 꽃들을 피어나게 하고/무엇이 꽃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는지/어째서 얼굴 붉은 길을 걸어/말도 아니고 풍경도 아니고/말도 지나고 풍경도 지나서/어떤 나무 아래 서 있는지" 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닌지. 詩의 그림자......

 말이면서 말이 아니고 풍경이면서 풍경이 아닌, 말도 지나고 풍경도 지나서 한 그루 나무가 되어 서 있는 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마음을 돌이켜 보지  아니하면 경전을 보아도 이익이 없다.

⊙ 바른 법을 믿지 않으면 고행을 해도 이익이 없다.

⊙ 원인을 가볍게 여기고 결과만을 중요하게 여기면 도를 구하여도 이익이 없다.

⊙ 마음이 진실하지 않으면 교묘하게 말을 잘해도 이익이 없다.

⊙  존재의 본질이 비어 있음을 달관하지 못하면 좌선을 해도 이익이 없다.

⊙  我慢心을 극복하지 못하면 법을 배워도 이익이 없다.

⊙ 스승이 될 덕이 없으면 대중을 모아도 이익이 없다.

⊙ 뱃속에 교만이 가득 차 있으면 유식해도 이익이 없다.

⊙ 한평생 모나게 사는 사람은 대중과 함께 살아도 이익이 없다.

⊙  안으로 참다운 덕이 없으면 밖으로 점잖은 행동을 해도 이익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번뇌란 종자와 같고 용과 같으며. 잡초의 뿌리와 같고 나무의 줄기와 같으며, 벼를 싸고 있는 겨와도 같도다.

세간의 모든 苦樂은 업으로부터 일어나며, 업은 번뇌로부터 일어난다. 마치 종자로부터 싹과 잎이 생겨나듯이 번뇌로부터 업과 고락이 생겨나며, 용이 못을 지키면 물이 마르지 않듯이 번뇌가 업을 지키게 되면 생은 끊임없이 흘러 다함이 없으며, 잡초는 그 뿌리를 뽑지 않으면 베어도 베어도 돋아나듯이 번뇌도 그 뿌리를 뽑지 않으면 생의 싹은 다시 생겨나며, 나무의 줄기로부터 가지와 꽃과 열매가 생겨나듯이 번뇌로부터 번뇌와 업과 고락이 생겨나며, 겨가 벼를 싸고 있어 능히 싹을 틔울 수 있듯이 번뇌가 업을 싸고 있어 능히 다음의 생을 초래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