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필요성
천으로 만든 책싸개는 그 속에 만화책을 넣어 다녀도 '안전' 했지만, 그렇게 읽은 책이 많다 보니
가끔 책장에 있는 책 표지를 보고 내가 저 책을 읽었던가? 알 수 없는 경우가 점점 빈번해지는지라,
투명한 책싸개를 만들어보아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2. 내구성
비닐이라고 해서 금방 찢어지면 안되기 때문에 두꺼운 비닐을 수배, 중앙시장에 가서 텐트 비닐 파는 곳에 가서 두께 2mm의 비닐을 샀습니다.

3. 문제점
그런데 사놓고 보니까 비닐이라는 재료의 단점이 세 가지 있더군요.
문제 1, 비닐을 겹쳐 놓으면 서로 쩍쩍 들러붙는다. 책표지를 끼울 때나, 책싸개 여러 개를 겹쳐 놓을 때 성가시다.
문제 2, 재봉틀이 비닐을 거부한다. 바늘 통과에는 문제가 없는데, 실을 박으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는다. 아마 첫번째 성질과도 연관되는 것 같다.
문제 3, 비닐이 두껍다 보니 잘 접히지 않는다.
4. 이 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해결했습니다.
해결 1. 전기 인두로 비닐 표면에 사진과 같이 무늬를 새겼다.
도돌도돌해지니까 서로 들러붙지 않게 되었다.


단, 전기 인두 쓸 때는 데이지 않게 조심합시다.
전 전원을 뺀 후 식은 줄 알고 잘못 쥐었다가
물집 생겼어요. ㅡㅡ
해결 2. 그냥 손바느질 한다.
하나는 손바느질 해도 되겠는데, 여러 개 만들려면 손이 아프다. 바늘도 잘 부러지고.
그래서 대용으로 아래 같은 가죽 꼬매는 도구를 사용해도 좋고, 수술바늘하고 니들홀더를 써도 될 것 같다.


해결 3. 갈피를 접는 것은 다리미로 다렸다.
한번 다려서 접힌 곳은 펴지지 않는다.
따라서 옷감으로 만든 책갈피처럼
책 두께에 따른 조정은 포기.
5. 이렇게 해서 나온 완성품입니다.

이번달 머쥐모임 주제인데,
그동안 편향된(?) 책만 읽어온 건 아닌가 하고
이번에는 이 책을 보자고 송모샘이 추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