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싹일까?
오늘 지역 의사회의 한 선생님에게서 전화가 왔다.
구의사회 회장이 관심이 있으시다면서, 노숙자 진료소에 대해서 이것저것 물아왔다.
어떤 체제로 운영되는지, 어떤 것이 필요한지 등등.....
하면서, 내가 현재도 인** 회원인지를 묻는다.
그러면서, 우리 회원들은 그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일반 의사들과 대화할 용의는 없는지 물었다.
이 전화 한 통을 받은 후에 참으로 감개가 무량했다.
6년 전인 2000년도에 의약분업과 의사들의 파업사태 때 의사 사회는 크게 보아 둘로 나뉘었었다.
인** 과 非인**.
인**은 회원 수 고작 수천명의 단체였고, 그 반대편은 7만을 헤아리는 의사들이었다.
의약분업의 와중에는 회원 명단까지 인터넷에 떠돌면서 개개인에게 회원 탈퇴 압력이 들어오기도 했었다.
거의 빨갱이, 혹은 패륜아로 취급당했다. (최근까지도 거의 그렇지만...)
압력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실재로 회원들 중에 인**의 행보에 회의를 품고 탈퇴하는 사람들도 꽤 있었다.
파업에 참가 안했다는 이유로 생면부지의 사람이 전화 걸어서 욕설을 하기도 했고,
그 후로도 수년간 행사 안내장을 보내면 욕설 전화가 오기도 했다.
신입생때부터 기대를 걸고 지켜보았던 학생들은 졸업하고 나면 '이름이 부담스럽다'고 기피했다.
그래도 시간은 흐른다.
의약분업은 실시되어서 오늘날 거의 정착 되었고,
인**은 회원은 수가 천명 남짓으로 상당히 줄었지만, 가던 길을 꾸준히 가고 있다.
남쪽 지방에서는 지회에 따라서 거의 지회가 사라지다 시피 한 곳도 있었는데,
그런 곳에서도 몇 년 전부터는 활발한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대전도 비록 열 손가락에 꼽을만한 회원들이지만 봄날을 꿈꾼다.
6년, 7년이면 서로의 마음에 난 상처도 아물 때가 된 것일까?
그랬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