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대 속의 영원 - 저항하고 꿈꾸고 연결하는 발명품, 책의 모험
이레네 바예호 지음, 이경민 옮김 / 반비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꺼운 책에서 건진 한 줄. 

고전을 읽어야하는 이유.

고전은 스스로 말하지 않고 읽는 사람이 깨닫고 알아차리게 한다.



고전은 밖에서 들리는 소음이나 대기처럼 늘 우리 곁에 존재해왔다.
고전은 우리가 만든 집단적 도서관의 일부이다. 좌표를 알아야만 그수렁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하지만 이탈로 칼비노의 지적처럼 고전은 우리가 주워들어서 많은 걸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독서를 해보면 훨씬 새롭고 예상치 못한 내용이 실린 책이라는 걸 알게 된다. 고전은 제 말을 끝내지 않는다. 읽는 사람이 감동받고 깨우침을 얻을 때에야 비로소 그 말이 끝난다. 오랜 위험에서 고전을 부적처럼 보호해온 사람은 강제적으로 고전을 읽은 독자들이 아니라 고전을 사랑한 사람들이었다.
고전은 위대한 생존자다. 초현대적인 소셜 네트워크 시대에도 무수한 추종자가 있다는 사실은 고전의 힘, 그 풍요로움을 입증해준다.
고전은 집필된 지 100년, 200년, 20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새로운 독자를 끌어들이는 책이다. 고전은 취향, 사고방식, 정치적 사상의 변화에도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리고 그 여정에서 고전은 다른 작가에게 영향을 미치고, 세계적 극장의 무대에 여전히 등장하고 있으며, 영화로 제작되고, 텔레비전에 방송되며, 인터넷에서도 빛을 보고 있다.
광고, 만화, 랩, 비디오게임 등 새로운 표현 방식들도 고전을 수용하고있다.
가장 오랫동안 생존해온 고전의 뒤에는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가있다. 열정을 다해 연약한 언어의 유산을 보존한 익명의 사람들, 그들의 신비로운 충성심에 관한 이야기 말이다. 비옥한 초승달지대(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문자를 발명한 초기 문명의 언어와 텍스트가 세월이 흐르며 잊히거나 수세기 뒤에야 해독되어야 했던 반면 「일리아 - P466

스와 오디세이아』의 독자는 끊긴 적이 없다. 그리스에서는 시간, 거리, 경계를 초월하여 기억의 가능성을 지켜온 연계와 번역의 사슬이시작되었다. 우리는 고전이 오랜 계보를 지녔으며, 우리가 환상적인구원을 실행해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 P4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성격은 항상 상실이 남긴 향수를 불러 일으키며 그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삶을 계속 이어가려면, 즉 새로운 열정의 근원을 창조하거나 발견하려면 결국 슬픔으로 인한 마비 상태에서 깨어나야 한다. 우리가 한때 소중히 여겼던 것들이 남긴 기억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더라도, 욕망 을 위한 새로운 대상을 찾아야만 한다. - P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우리가 계속해서 올바른 질문을 제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어떤 방식으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낼 수 있다면,  우리 는 삶을 재건해 낼 도구를 손에 넣을 수 있을것이며, 내일의 우리는 오늘의 우리와 달라질 것이다. - P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대로 정서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리는 것이, 그걸 원하는 것이 왜 나쁜가? 누가 암암리에 나에게 안정된 삶이 좋은 거라고 세뇌를 시켰다한들 내가 그게 편하다는데야.

불안이야말로 (욕망과 더불어) 우리가 삶에서 정체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힘 아닐까? 또한 우리는 어느 정도의  긴장감 덕분에 운이 좋게도 삶에서 평온함을 맞이하게 되었을 때,  그것이 평온임을  인식할 수 있는것 아닐까? 조금 다른 맥락 에서 왜 우리는 조금 위태로운 삶을 살기보다는 마냥 조심스러운 삶을 살아야  할까? 가장 좋은 삶이란 때때로 우리 자신이  약간 은 무모하게 행동하거나  심지어 조금은 불안정하게 살도록 내버려 두는  삶이 아닐까?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통제되지 않거나 예상 못하는 집단이 생겨나면 밀레니얼이니 MZ세대니 하는 프레임을 만들어내고 이름을 지어대는 것일까

우리 사회는 그저 말로만 개성이 좋다고 한다. 하지만 공리주의적 효율성의 측면에서는 사실 우리는 서로 비슷하면 비슷할수록 좋다. 정치적, 경제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우리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다면, 여론에서 미용상품에 이르기까지  우리에게 다양한 것을 쉽게 팔 수  있다.  그들에게는우리의 생각을 예상할 수 없을 때가 위태로운 순간이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자신만의 독특한 열정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정치·경제 기관 들은 더욱더 자기 잇속을 차리기가  어려워 지는 것이다. 우리가 이상과 욕망의 진정성 을 주장할수록 우리는 사회질서가 명령하는  이상과 욕망을 수용하지 않게 되어, 결국 통제하고 세뇌하기 어려운 존재가 된다. -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