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책이란 건 순전히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선택되며 개인적인 느낌으로 그 가치가 결정되는가 보다. 출판 전부터 떠들썩했던 <완득이>를 기대했으나 이게 웬일, 책장이 잘 넘어가지 않았다. 누구는 재미있어서 책장 넘기기가 아깝다고 했지만. 그렇게 펼쳤다 덮었다 다시 읽기를 몇 번, 읽고 나니 TV 드라마 한 편을 본 느낌이랄까! 그러나 만화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이거나 서정적인 문체 혹은 그런 느낌의 책을 좋아하는 나 같은 이에게는 그다지 유쾌, 상쾌, 통쾌하게 읽히지 않았던 것 같다. 다시 읽으면 느낌이 달라질까?
범상치 않은 캐릭터는 이미 한 편의 드라마를 찍을 준비를 마치고 있었다. 괴짜 똥주는 타협이란 걸 모르는 독설가이며 낯은 두껍지만 마음은 따뜻한 선생으로, 작은 키의 아버지는 카바레 춤꾼으로 보따리장수로 강인하게 삶을 꾸려rk고 있으며, 킥 복싱 선수를 꿈꾸는 완득이는 약자인 아버지와 이주노동자 엄마를 가슴에 품을 줄 아는 청소년이었으며, 끝내주는 춤꾼이자 말더듬이 삼촌, 완강한 부모님 밑에서 이탈을 꿈꾸는 여자 친구 윤하와의 만남, 이렇게 얼기설기 얽힌 인물들은 모범적이지는 않지만 조화로운 삶을 이끌어 가고 있었다.
결코 가볍지도 평범하지도 않은 불협화음의 인물들이 가족과 이웃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차차 균형을 이뤄가는 모습을 발랄하게 보여주고 싶었을까? 무거운 주제를 유쾌하게 다뤘고, 욕이 마구 쓰여서 오히려 친근감이 느껴졌고, 완득이 보다 더 실감났던 똥주라는 인물이 매력적이었던 책. 줄거리 속으로 끼어드는 ‘교회, 폐닭, 자매님, 기도, 춤 교습소, 킥복싱, 다닥다닥 붙은 집....’ 낱말들. 줄거리를 말하는 것보다 이렇게 낱말을 얘기하는 게 쉬울 것 같은 책.
‘하-. 이 동네 집들은 진짜 따닥따닥 붙어 있다. 내가 세상으로부터 숨어 있기에 딱 좋은 동네였다. 왜 숨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고, 사실은 너무 오래 숨어 있어서 두렵기 시작했는데, 그저 숨는 것밖에 몰라 계속 숨어 있었다. 그런 나를 똥주가 찾아냈다. 어떤 때는 아직 숨지도 못했는데 “거기, 도완득!” 하고 외쳤다. (…) 흘려보낸 내 하루들. 대단한 거 하나 없는 내 인생, 그렇게 대충 살면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이제 거창하고 대단하지 않아도 좋다. 작은 하루가 모여 큰 하루가 된다. 평범하지만 단단하고 꽉 찬 하루하루를 꿰어 훗날 근사한 인생 목걸이로 완성할 것이다.’ - 233쪽
똥주가 죽기를 기도하며 달렸던 완득이, 이렇게 완득이의 인생을 마지막장에서 마무리해 주니 얼마나 친절하던지. 완득이의 새로운 시작을 위해 기꺼이 박수를 쳐줄 수 있게, 완득이의 고민이 이렇게 정리되니 진짜 책을 다 읽었구나 싶다. 이 책이 재밌다, 독특하다, 잘 읽힌다…, 어떻더라는 누구의 말에 신경 쓰지 말고, 내 느낌으로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