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를리외르 아저씨 ㅣ 쪽빛그림책 2
이세 히데코 지음, 김정화 옮김, 백순덕 감수 / 청어람미디어 / 2007년 9월
평점 :

를리외르 아저씨를 만났다. 아저씨 이름은 를리외르. 진짜 이름보다 더 많이 불렸을 이름.
를리외르(Relieur)는 필사본, 낱장의 그림, 이미 인쇄된 책 등을 분해하여 보수한 후 다시 꿰매고 책
내용에 걸맞게 표지를 아름답게 꾸미는 직업이란 걸 처음 알았다. 낡은 책을 아름답게 오래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란다. 예술제본이 발달했던 프랑스에서는 지금도 예술의 한 분야로 제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고 했다. 이런 사실은 알게 된 것도 이 책에 나와 있기 때문이다.

이 그림책을 쓴 작가는 이세 히테코. 프랑스에서 공부할 때 아저씨를 만난 인연으로 이 책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책 모든 면이 수채화로 꾸며져 있어 얼마나 매력적인지. 한 장 한 장 넘기며 입가에 웃음이 자꾸
번졌다. 한 겹 쌓인 표지를 떼니까 이게 진짜 표지였다. 를리외르 아저씨가 일하는 마법의 손.

소피가 아끼는 식물 도감 책이 엉망이 되어 책을 고치고 싶어 한다. 새 책을 살 수도 있지만 오랫동안
봐왔던 책을 고쳐 보고 싶은 마음이 든 거다. 그래서 소피는 물어 물어서 를리외르 아저씨를 찾아간다.
그림 보는 재미 한 가지가 여기 있다. 이야기는 소피와 를리외르 아저씨를 따라 양쪽으로 그려주고
만남을 이어준다. 영화를 보는 듯하다.

를리외르 아저씨는 소피의 식물 도감을 열심히 고쳐준다. 책에서 어떻게 고쳐지는지 자세히 나온다.
아저씨가 작업하는 것을 소피가 다 지켜보면서 독자에게 알려 주고 있다. 아주 자세히.

400살도 넘은 아카시아 나무아래서 '난 나중에 크면 온 세상 나무를 다 보러 다니고 싶어요.' 하던
그 나무에 '새 눈이 텄다. 그 책 다 됐을까?' 궁금하여 아저씨 작업장으로 뛰어가는 소피.

새롭게 탄생한 식물 도감을 보고 기뻐하는 소피.

를리외르 아저씨가 소피를 위해 근사하게 만들어준 새 책의 표지. '소피의 나무들'이란 책 제목을 새롭게
붙이고, 아카시아 그림은 표지로 태어났고, 소피 이름은 금박으로 새겨졌다. 행복한 소피!

"를리외르 아저씨, 고맙습니다." 소피가 인사한다. 깜빡 잠든 고단한 를리외르 아저씨. 정겹다.

아카시아 나무는 여전히 생명력이 넘쳤고, 소피는 자라서 식물학 연구자가 되었다.
그렇다면 를리외르 아저씨는! 그러나 소피가 어떻게 아저씨를 잊을 수 있을까, 싶다.

이세 히데코 작가가 를리외르 아저씨를 추억하며 남긴 글이다.
'나는 를리외르-상업적인 책은 사지도, 팔지도 않는다.'는 문구 하나로도, 장인정신을 엿볼 수 있다.

한국 최초의 를리외르 백순덕 님의 말도 인상적이다. 그리고 일본 출장길에서
발견해 이 책을 한국에서도 출판하게 된 행운녀 편집자 김에게도 감사를!
이제 나는 뭘 할까? 이렇게 멋진 그림책을 읽었는데 아무 것도 안하기엔
허전하다. 아이들과 함께 책읽고 즐거운 공책 만들기라도 꼭 해봐야지.
그림도 를리외르 아저씨 이야기도 모두 좋았던, 행복한 책읽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