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은 깊다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전우용 지음 / 돌베개 / 2008년 5월
평점 :
몇년 전 '서울도시계획이야기'라는 책을 읽었다. 한국전쟁 이후 만신창이가 된 수도 서울이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의 개발독재를 거치며 기형적 모형의 도시가 되어가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그 책을 읽으며 도시에 주체적인 인격성을 부여한다면 서울이라는 도시는 자기의 모습을 어떻게 생각할까 궁금해 했던 적이 있다.
'서울은 깊다'라는 책은 나의 이 의문을 현재 만이 아닌 600년 전 과거로까지 확장시켜 인식의 폭을 넓혀 주었다. 서문에서처럼 서울이라는 도시의 시작과 발전 과정을 여러 제 학문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려말 선초의 혼란과 수도 이전에 따른 각 권력 주체들의 명분과 속내를 유추하고 계획도시 서울이 가지고 있는 각 건물의 특수성과 의미들을 알기 쉽게 해석해 주었다.
이 책은 어쩌면 조선의 왕도 한양에 대한 전통적인 통사적 사료는 아니지만 서울이라는 도시의 정체와 여러 모습들을 흥미롭게 밝혀 이제는 인구 천만 비만의 도시가 되어 버린 서울을 좀더 너그러운 마음으로 받아 들일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하루살기 바쁜 일반인들이 굳이 자기가 사는 도시의 정체와 내력을 알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고향을 떠나 제2의 고향처럼 여기는 도시의 내밀한 모습을 알고 싶거나 그 도시를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은, 비단 이 책이 서울에 대해서 쓴 책이기는 하지만 도시가 갖고 있는 특수한 내력을 알아 보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유용한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