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을 위한 철학]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건축을 위한 철학 - 세상에 단 하나뿐인
브랑코 미트로비치 지음, 이충호 옮김 / 컬처그라퍼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 <건축을 위한 철학>은 오프라인 서점에서 한번 훑어보았는데 인문적 내용이 상당히 좋았다. 나는 철학과 건축에 관심이 있는데 이 책은 두 개의 분야를 연결시키기를 시도하는 책이였다. 제목에서 볼수 있듯이 건축을 위한 건축이 아니라, 즉 공간을 채우는 거주와 예술로서의 건축이 아니라 건축의 형이상학적 기초를 철학으로 놓기 위한 인문적 책이다. 요즘 집짓기에 관심이 생기고 거주와 공간의 예술로서 건축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로서 실제적인 측면에서의 건축이 아니라는 것은 진즉에 알고 있었다. 참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을 통해서 건축보다는 철학적 개념과 구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철학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잘 생각하지 않는, 보통 돈(?)이 되지 않는 머리 아프고 복잡한 작은 사유의 흐름을 포착에서 개념화시키고 이론화 시키는 것인데 이러한 철학의 개념은 쉽게 잘 이해가 되지 안았다. 그런데 이 책은 오히려 나에게 서양철학의 기본 개념과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특히 서양철학의 가장 주된 주제중의 하나인 '존재론'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었다. 존재론은 서양철학의 핵심 기둥으로 개별적 존재의 실체에 대해서 형이상학적인 이론을 구축하는 개념인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을 통해서 왜 서양에서 존재론, 즉 있음에 대해서 그렇게 생각했는지 알 수 있었다. 플라톤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존재, 즉 실체(substance)라는 것은 개별적인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실체로써 존재한다고 하는 개념을 '이데아'라고 부르며 정리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보편적 실체는 없으며 개별적 사물에 보편적 실체가 내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론을 건축을 존재의 기호로 보면서 철학과 건축을 연결시켜나갔다.

 

 

보통 철학자들은 인간의 사유는 오직 언어를 통해서 표현된다고 말한다. 20세기의 많은 철학자들은 인간의 사고가 전적으로 말을 바탕으로 하며, 언어 특정적 성격이 있다는 견해를 지지했다. p21 그리고 "모든 사고는 언어적이다."라고 주장한 영국 철학자 마이클 더멧(Michael Dummett, 1925~ )은 시각적 상상의 존재를 부정하진 않았지만, 그것을 사고로 간주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p22 만약 모든 사고가 언어를 바탕으로 일어난다면, 우리가 알거나 믿는 것은 다 우리가 사고에 사용하는 언어에 좌우된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언어가 현실을 조각해 우리의 사고대상으로 빚어낸다고 말한다. p22 이 말은 인간존재의 표현은 오직 언어를 통해서 그 대상을 조직할 수 있다는 철학자들의 말을 인용한 것인데 이 말은 20세기 건축가들에게서는 공감하기 힘든 말이다. 건축가들은 공간을 차지하는 기호인 건축이야말로 진정으로 인간존재와 지각하고 인식하는 대상들을 잘 드러내주는 사고의 대상이 된다고 말한다. 사물이 존재하는 방식과 인간사유의 표현은 언어뿐 아니라 건축이라는 대상물로도 표현될 수 있다고 하므로써 건축이 단순히 거주의 기능적인 측면이 아니라 인간존재의 다른 양태가 될 수 있다고 말하므로 건축을 위한 철학의 당위성을 알린다.

 

 

그러나 이 책은 앞에서도 말했지만 건축을 위한 책은 아닌것 같다. 현대철학의 주요한 인물의 철학사상들을 설명한다. 그것도 매우 간결하고 분명하게 표현하는데 이부분에서 오히려 현대철학의 전체 흐름을 매우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는 특히 앞장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통해서 어려운 '존재론'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었다. 이 책 전체의 구성은 현대철학의 맥과 상응한다.

 

 

1장 플라톤, 2장 아리스토텔레스, 3장 근대성의 부상, 4장 이마누엘 칸트, 5장 낭만주의 역사주의 , 6장 현상학과 해석학, 7장 필로소프와 필로서퍼, 8장 분석철학

 

 

건축을 배우기 위해서 이 책을 본다면 큰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다. 이 책은 분명히 형이상학을 형이하학과 연결시켜 철학적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책이다. 즉 형이상학인 철학을 형이하학인 건축에 빗대어 그 개념을 설명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건축이야 말로 철학개념을 잘 설명해주는 형이하학적 대상이 된다는 것을 깨닫고 놀라웠다. 존재론, 구조주의, 해제주의, 현상학, 분석철학 등의 커다란 철학적 주제가 건축과 상응한다는 사실이 매우 놀라웠다. 철학의 도면이라면 건축은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철학과 건축, 이 매력적인 두 분야가 만나서 무엇을 돋보이게 하는가? 적어도 이 책에서는 건축이 아니라 철학이다. 건축은 철학을 설명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되어지는 것 같다. 오히려 제목이 <건축을 위한 철학>이 아니라 <철학을 위한 건축>으로 바뀌어져야 할 것 같다.

 

 

플라톤은 소멸하지 않는 영원한 형상이 실재한다고 추론하고, 변하는 물질 사물은 '실재'한다고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존재론'이라는 철학 분야를 창시했다. 존재론은 사물이 '존재'하는 방식과 그것이 어떤 의미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한 마디로 존재론은 '존재'자체를 다루는 분야이다. 비록 건축 이론가들은 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철학자들은 건축 이론 중 특정 문제들을 '존재론적 문제'라고 말할 것이다. p.47


* 이 리뷰는 알라딘 신간평가단에서 제공받아 쓴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림모노로그 2013-04-22 0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친구의 리뷰는 핵심과 감성의 집합체 ㅋㅋㅋ 제가 타당한 주장을 한 거죠 ㅋㅋ
건축을 위한 철학이 아니라 건축이론을 위한 철학의 구조가 맞다는 ㅋㅋ
친구님의 리뷰를 읽어보니 같은 생각에 위로 받습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