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영화보러 가요!”
예나 지금이나 영화는 가장 만만한 데이트 코스, 어두운 곳에 나란히 앉아 같은 걸 보고 있노라면 보다 친밀해지는 듯한 느낌이다.
“리턴 어때요? 평이 좋던데...”
내가 공포영화를 고른 건 무서운 와중에 손이라도 잡아볼까 하는 사악한 마음이었다. 사실 공포영화를 보는 남녀 중 그런 마음이 없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일본의 심리학자인 마쓰이 히데키에 의하면 여자끼리 공포영화를 봤을 때 여자가 놀라는 횟수보다 남녀가 봤을 때 여자가 놀라는 횟수가 4.7배 더 많다고 한다. 마쓰이 씨는 이 결과를 토대로 “남녀가 껴안을 수 있는 공포영화 100선”이란 책을 저술하기도 했는데, 그가 <리턴>을 봤다면 아마도 ‘101선’으로 제목을 고쳐 달았을 거다.
한국에서 공포영화는 안된다고 생각했었다. 여고괴담 1, 2 등 일부 성공작이 없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공포영화는 대개가 관객들보단 배우들만 놀라는 이상한 것들이었다. 하지만 <리턴>은 달랐다. 잔인한 장면이 많이 나와서가 아니라 사건이 벌어지기 전의 긴장감이 시종 내 새가슴을 압도했다.
하지만 난 영화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했다. 언제 어떻게 손을 잡아보나 너구리님의 하얀 손만 훔쳐봤을 뿐이었다. 별로 무섭지도 않은데 덥석 손을 잡아 버리면 내가 치한이 되버릴테고, 내가 먼저 잡는 것도 바람직한 건 아니었기에 난 제발 좀 무서운 장면이 나오기를 기대했다. 영화 시작 후 22분만에 ‘그것’이 왔다.
“꺄악!” 소프라노의 비명소리가 들리는 동시에 너구리님이 내 팔에 매달렸다. 너구리님의 아로마향에 잠시 당황했지만, 이내 정신을 차린 나는 살짝 그쪽으로 몸을 기댐으로써 그의 기대에 부응했다.
뭐든지 처음 한번이 어렵다. 남녀관계에서는 특히 그렇다. 어영부영이지만 팔짱을 한번 끼고 나자 너구리님과 나는 막역한 사이가 되었다. 너구리님은 수시로 내 팔짱을 꼈고, 나중에 난 별 장면도 아닌데 “으아!” 소리를 지름으로써 괜한 팔짱을 끼게 만들기도 했다. 숨막히는 공포가 이어지는 마지막 15분, 너구리님은 시종 내 팔에 매달려 있음으로써 날 흐뭇하게 만들었다. 엔딩크레딧이 올라가고 관객들이 자리를 뜰 즈음에도 난 너구리님과 팔짱을 끼고 있었다.
“어머!”
너구리님이 갑자기 팔을 뺀 건 불이 켜지고 몇 초가량 지났을 때였다. 너구리님은 “다음엔 뭐 볼까요?”라고 딴전을 피웠지만, 적당히 살이 오른 내 팔에 만족하는 듯했다. 지금까진 소극적이었지만 이제부턴 적극성이 필요할 때, 메가박스를 나가는 에스컬레이터에서 난 슬그머니 너구리님의 손을 잡았다. 너구리님은 아무 일 없는 듯 하던 얘기를 계속했다.
“미스터 빈의 홀리데이도 보고 싶고요, 아 참 만남의 광장도 괜찮을 것 같아요. 전 다섯글자로 된 영화를 아주 좋아하거든요. ‘우아한 세계’ ‘댄서의 순정’ ‘화려한 휴가’ ‘록키 발보아’....
영화를 무섭게 만들어준 <리턴> 관계자분에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