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무 무리한 나머지 몸이 가루가 되는 느낌이었다. 게다가 잠을 잘 잔 것도 아닌 것이, 꿈 속에서 난데없이 전직 메이져리거 최희섭이 나타나 날 괴롭혔기 때문이다. 현실이라고 크게 다를 바가 없어서, 나만 보면 밥을 먹으라고 열댓번씩 권하는 할머니가 날 세차례나 깨우셨고, 아침부터 걸려온 두통의 전화가 그나마의 잠을 방해했다. 겨우 눈을 뜨긴 했지만 제 컨디션은 분명 아니었다.
“학교를 가긴 가야 할텐데...”
난 비가 주룩주룩 내리는 하늘을 원망스럽게 바라봤다.
발단은 같이 일하는 연구원에게 털 알레르기가 있다는 거였다. 병아리 때문에 연방 기침을 해대던 그분은 날이 따뜻해진 걸 계기로 병아리들을 베란다 밖으로 내몰았다. 그게 목요일이었다. 금요일은 날씨가 아주 화창해 아무 문제가 없었지만, 토요일 아침부터 비가 오자 슬슬 걱정이 되었다.
‘박스 안으로 비가 들이치면 어쩌지? 애들이 추울 텐데, 얼어죽지나 않을까?’
전날 주긴 했지만, 마실 물이 있는지도 걱정이었다. 가긴 가야겠지만 몸 상태를 보니 도무지 내키지가 않았다. 4주만에 내 방 인터넷을 개통시킨 기념으로 글을 한편 쓴 뒤 난 긴 잠에 빠져들었다.
잠은 보약이었다. 상쾌한 기분으로 일어난 나는-이번엔 꿈에서 날 괴롭히는 이가 없었다-할머니와 더불어 설렁탕으로 저녁을 떼운 뒤 천안행 기차에 몸을 실었다. 버스에서 듣자니 내일 아침 기온이 10도밖에 안된단다. 가려고 마음먹길 잘했단 생각이 든다. 학교에 도착하자마자 베란다로 뛰어갔다. 괜한 걱정이었다. 병아리들은 아주 잘 있었다. 전등을 켜놓아서 그런지 추워하는 기색도 없었다. 더러워진 신문지를 갈아줬다. 물을 줬더니 우르르 몰려들어 마신다. 어느덧 2주가 지나 제법 날개짓도 하지만, 물 마실 때 한모금 먹고 하늘을 보는 건 여전했다. 병아리 몇 마리를 쓰다듬었더니 따스한 체온이 그대로 전달된다. 이렇게 예쁜 애들이 나중에 닭이 되는구나. 확실히 대부분의 동물은 어릴 적이 더 예쁘다. 어릴 때도 여전히 못생겼던 나는 예외지만.
다음주, 아니면 다다음 주면 또 어디선가 기생충을 구해와 저 병아리들에게 먹이겠지. 그리고 나서 이틀마다 병아리들을 죽일 것이다.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닌, 내 승진에 필요한 논문점수를 위해서. 이런 거 말고, 좀 생명을 존중하는 우아한 실험은 없는지 머리를 짜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