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는 개강 후 4주만에 처음으로
미자가 한주를 다른 학생들과 똑같이 소화한 주였다.
난 미자와 미자 친구에게 점심을 사주며 노고를 치하했다.
하지만 안심하기엔 일렀다.
밤 9시까지 해부학 실습을 해야 하는 어제,
다섯시쯤 미자로부터 문자가 왔다.
서울집에 가고 싶단다.
내 방으로 불렀다.
미자는 그저 무섭다며, 눈물을 쏟았다.
실습실의 시체가 무서운 게 아니라, 다른 애들과 경쟁하면서
뭔가를 찾아서 봐야 한다는 게 무서운 모양이다.
같이 코코아를 마시면서 내가 어떻게 할지를 생각했다.
“이따가 나랑 같이 들어가요.”
인체 도감도를 수시로 확인하고
희미하기 짝이 없는 20년 전 기억을 되살리며
그리고 내가 들어온 걸 신기한 눈으로 쳐다보는 학생들에게 아쉬운 소리를 해가면서
나와 미자는 다리에 있는 근육과 신경, 그리고 혈관을 공부했다.
“제 지도학생입니다. 잘 부탁해요.”라며
그들보다 두 살 많은 미자를 인사시키는 것도 잊지 않았다.
다른 이에게 가르쳐 주는 건 자기 공부가 돼서인지
학생들은, 우리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변해 주었다.
그 결과 나마저도 다리에 있는 대부분의 근육을 알게 되었고
다다음주 있을 실습 시험을 보고 싶은 생각마저 들었다.
“이제 그만 정리해 주세요.”라는 과대표의 말이 들렸을 땐
벌써 9시가 다 되어 있었다.
다른 학생들은 월요일에 있을 생화학시험에 대비해 도서관에 갔지만
미자에게 그것까지 바라는 건 무리였다.
미자는 이번주 충분히 수고했다.
그러고보니 나도, 미자도 밥을 안먹었다.
미자가 학교 앞 원룸에 가고 나서
편의점에 들어가 라면에 햇반을 사서 연구실에 와 끓여먹었다.
내 일은 하나도 못했지만 그래도 보람 있는 하루긴 했다.
내가 어제 스케줄이 있어서 서울에 가버렸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평소 안하던 연구를 시작해 정신이 없는데
내가 언제까지 미자를 도와 줄 수 있을까.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니 무서워 죽겠다”는 미자,
그와 함께 걸어가야 할 4년이 까마득하게 느껴진다.
그래도 갈 수 있는 데까지 가 봐야지.
라꾸라꾸에 누워 책을 보다가, 몇 줄 못읽고 잠이 들었다.
시체에서 옮긴 포르말린 냄새 탓인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