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스프리 스마트 아쿠아 젤(산뜻한 수분공급용 젤) - 중복합성 75ml
아모레퍼시픽[직배송]
평점 :
단종


제 피부 타입은 지복합성이면서 군데군데 수분은 부족하여 각질이 일어나기도 하는, 대략 난감한 피부입니다. 트러블도 좀 있구요.

그래서 건성용 제품은 절대 못 씁니다. 끈적거리는 느낌이 말할 나위 없이 불쾌하고 얼굴이 하루 종일 번들거리죠. 보통 복합성 피부용 제품을 쓰는데 그런 제품은 상쾌하긴 하지만 수분 보충이 제대로 되지 않아 각질이 일어나는 걸 해결해 주지 못하죠.

이 제품의 평이 좋은 걸 보고 혹시나 하는 맘에 사 봤습니다. 광고 문구의 '유분감 없이 산뜻하게 수분을 공급하는 젤'이라는 말이 딱 제가 원하는 것이기도 했구요.

결과는 아주 만족입니다. 일단 바를 때 차가운 느낌, 이건 아쿠아라고 이름 붙은 건 다 그렇겠죠? 어쨌든 그 느낌이 매우 상쾌하고요, 잘 스며들어 촉촉하면서도 번들거리지 않는 것이 바로 제가 원하던 것이었습니다.

향은 아래 리뷰 보니 마음에 안 들어 하시는 분도 계신 것 같은데, 저는 좋았습니다. 약간 남자 화장품 냄새스럽기도 하지만 너무 뽀샤시한 향 보다는 오히려 전 이런 향이 좋네요. 계속 쓸 것 같은 제품입니다. 얇은 주머니 사정을 고려하여 값을 좀 내려 주시면.......안될라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장실 물얼룩에서 발견한 예수.



감자칩에서 발견한 예수.


돌에 새겨진 예수(아래)


치아 엑스레이에 찍힌 예수.


유명한 눈밭에서 찍은 예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세계 최고의 위대한 우리문화
김용운 외 / 효리원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리뷰를 쓰려고 책정보를 보니 절판이고 개정판이 나와있다 하여 가보니 품절이다. 좋은 책인데 아쉽다.

이 책에서 꼽은 '위대한 우리문화'는 아홉가지다. 한글, 금속활자, 고려 대장경, 거북선, 석굴암, 첨성대, 고려 청자와 조선 백자, 측우기, 된장 간장 김치.

우리가 보통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이야기할 때 흔히 예로 드는 것이다. 한글 ㅡ 세종대왕이 백성을 사랑하여 만드신.....한글이 없었다면 우린 지금 모두 한자를 끙끙대며 배우고 있어야 함..... 금속활자 ㅡ 구텐베르크가 아니라 우리가 최초라구......거북선 ㅡ 철갑선으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적을 신나게 무찌르셨지.... 첨성대? 그건 최초의 천문대인데.....

이 정도는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 수학여행 때 석굴암과 첨성대에 가보고 아, 정말 위대한 우리문화~~! 이러면서 감탄하고 돌아오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다 어느 정도는 실망감을 가슴에 품고 돌아온다. 첨성대? 아니, 저렇게 작은 거였어? 저기 올라가서 무슨 별을 관측해? 차라리 동네 뒷산에 올라가겠다. 이러면서 그 앞에서 기념촬영이나 하고 돌아온 기억이 나에게도 있다.

유홍준 교수님이 말씀하셨다시피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예전 같지 않으리라'  우리가 우리 문화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려면 먼저 사랑하는 마음으로 관심을 갖고 알려고 노력해야 하고, 그렇게 노력하여 알게 된 것은 예전의 그 시시한 첨성대가 아닌 깊은 의미를 지닌 첨성대이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말로만이 아니라 진짜, 이유를 알고 우리문화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도록 도와준다. 어렵게 쓰여 있지도 않고 여백도 많아 저학년도 쉽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무중력이 좋다. 얘네들이 똑바로 서 있었다면 내 눈에 띄지 않았을 텐데.

 

첫번째 녀석이 가장 맘에 든다. 성깔 있어 보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panda78 2005-06-19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아지 머그컵들이 참 귀엽네요. ^^ 저는 한쪽 눈에 멍든 애가 마음에 듭니다.

엔트로피 2005-06-20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귀여운 걸 좋아하시나 보네요. 아님 본인(판다 맞죠?) 닮아서 좋아하시거나....^.~

panda78 2005-06-20 1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그러고보니! ^ㅂ^ 눈에 멍든 건 피차일반이군요. ㅋㅋㅋ 예리하십니다-
 

오는 EBS를 보는데 다큐멘터리에서 <우리의 소원은 통일> 노래가 나왔다. 옛날 군사정권이 <건전 가요>를 강요하던 시절 노래 테잎에는 B면 맨 마지막에 꼭 당국에서 권장하는 소위 건전가요를 하나씩 넣어야 했다.

그래서 내가 어릴 적에는 무슨 노래테잎을 사던지간에 맨 뒤에는 앞의 노래들과는 아무 상관없는 생뚱맞은 노래가 하나씩 들어 있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이 <시장에 가면> 과 <어허야 둥기둥기>.

시장에 가면, 은 잘 생각나지 않는데 어허야 둥기둥기, 는 지금도 생각난다. 어허야 둥기둥기~ 우리동네 꽃동네~ 아우 미치겠다.

90년대 들어와 가수들은 슬슬 반항을 하기 시작했다. 어허야 둥기둥기와 시장에 가면 대신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직접 불러 수록한 것이다. 그 노래는 초등 교과서에도 나오는 노래이니(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다만 우리땐 그랬다) 건전가요가 아니랄 수도 없고 정태춘, 전인권 등이 자신의 목소리로 멋들어지게 부른 통일 노래는 앨범의 성격에도 딱 들어맞아 건전가요란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또 하나 신선했던 건전가요. 김영동의 노래집에 수록되었던 <손모아 마음모아>. 전혀 건전가요스럽지 않았고 멋들어진 가곡합창을 듣는 듯한 느낌이었다. 손 모아 마음 모아 지금 여기에......햇살처럼 달려간다 맑고 큰 길로....

그러고 얼마 후 건전가요는 없어졌다. 생각해 보면 얼마나 웃긴 시절이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