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것을 바라는 것은 희망이 아니므로 (구) 문지 스펙트럼 14
마종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프란시스를 만난건 북경의 어느 학회에서였다. 서로 우연히 기회가 되어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가 마종기 시인의 아들임을 알았다. 모교의 선배이기도 한 마종기 시인은 그렇게 내 삶과 가까와졌다.
 
이 책은 1960년 첫시집 [조용한 개선]으로부터 2002년 나온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까지의 그의 시집중 발췌된 70여편의 시를 실었고 또 연대순으로 나열하여 시인의 삶과 비추어 살펴보는데 큰 재미가 있는 시선집이다.
 
본과 1학년을 마치고 낸 첫시집은 그의 의대생으로서의 경험과 고민을 담고있다. 하지만 그는 해부학교실에 누운 사체 앞에서도 인간을 발견하고 그들의 삶을 본다. 시를 마음에 가진 사람만이 볼 수 있는 삶의 뒷면이다. 그가 인생중 가장 고통스런 시절이라 이야기하는 미국에서의 인턴시절후 낸 공동시집 [평균율]에는 또한 그 당시의 시인의 마음이 그대로 녹아있다. 그가 죽어간 그의 환자를 속속들이 아는 까닭은 그들의 육체 구석구석 그들 자신도 보지 못했던 곳까지 부검하며 들추어 보았기 때문이 아니다. 고통의 병상에서 드러내보여준 환자의 고통을 알고 들을 수 있었기에 그는 그들을 안다. 인간을 안다는 것은 육체를 안다는 것이 아니듯, 삶을 안다는 것은 살아가는 겉모양새로 아는 것이 아님을 깨닫게 해준다.
 
그의 시는 30대 후반으로 접어들며 삶에 대한 통찰과 삶너머에 대한 희망을 비춘다. 동화작가이셨던 아버지 마해송는 너무 일찍 그의 곁을 떠나셨다. 아들이란 아버지를 나이들어가며 알아갈 뿐이다. 본질을 따라가던 아버지는 아들이 그 길로 들어선 순간 그의 앞에 여전히 앞서 가고 계시다. 사는 것은 육체가 아니다. 살 이유는 생존이 아니다. 안보이는 나라를 보고 그 나라 위해 불을 켜는 것이 삶살이다. "눈사람되어 쓰러지기 전에 일어나 길을 떠나"야 한다고 시인은 말한다.
 
머나먼 이국에서의 삶과 그곳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고뇌와 삶에 대한 물음 그리고, 신에 대한 알아감은 그의 그 이후 시집의 주류를 이룬다. 그에게 물의 이미지는 죽음이다. 그것은 한편 죽음을 통한 씻음이며, 스스로 더러워지며 남을 깨끗케 함이며 스스로가 비천하여져 남을 낫게 함이다. 이 물은 소중한 주위의 사람과 자신이 죽은 후에도 있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시원한 강물이 된다. 삶은 그렇게 지나간다. 평화를 전한다 다가올 세대여...내가 거저 받은 것을 그대에게 전한다. 그분은 너와 함께 하시는 하느님이시다. 사체에서 흘려내려 홀로 흐르며 쓸쓸했던 물은 이제 하얀 눈이 되어 모든 것을 아름답게 덮는다.
 
시인에게 육체를 파내고 남은 물은 다시 맑은 물이 되고 강물의 일부도 되며 하늘로 올라가 눈이 되어 사람을 잇는다. 은퇴한 후 내신 시집에는  정처 없이 가는 줄 알았던 인생에도 길은 있었구나. 저물어가는 인생에서 따뜻하고 부드러움은 모든 것을 품는구나 한다. 이 분의 시에는 내가 살았던 인생이 있고, 또 내가 살아야 할 인생이 있다. 그래서, 그의 시는 나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나는  정말 그의 노래에 위로 받고 행복하다. [진심이 아닌 것이 어떻게 인간을 위로할 수 있으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5-06-14 1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균율>이라는 시집 이름 오랜만에 듣네요.
전 그렇게 예쁜 시집을 이때까지 본 적이 없어요.
이 책도 보관함에......

카를 2005-06-16 1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균율]의 공동저자인 황동규와는 중학교 동창이고, 김영태와는 고등학교 시절 친구였다지요...스물 여덟에 이들이 낸 시집인 셈이죠. 지금은 학교 도서관에서만 볼 수 있군요. 저는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가 가장 맘에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