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이야기 - 과학고전시리즈 2
히포크라테스 지음 / 서해문집 / 1998년 2월
평점 :
절판


히포크라테스를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 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그리스의 의사. 그가 쓴 여러 글중 이책에는 히포크라테스선서와 '공기,물,장소','신성병', '인간의 자연본성에 대하여' 등의 논문이 실려있다.

왜 그는 의학의 아버지일까? 그는 질병을 신으로부터 기원한다고 신전예식이나 주술에 의존하는 것이, 질병을 치료하는 것과 무관함을 밝혔다. 즉 질병은 질병자체의 원인과 경과에 대한 이해에 기초해서, '사람'이 고치는 것이라는 걸 주장한 것이다. 또한, 그냥도 낫고 의사가 봐도 안 낫는게 질병이라고 의술의 무용함을 이야기하는 궤변가들에게 경험적으로 질병의 경과와 예후에 의술이 결정적 영향을 줌을 밝힌다. 분명 유익을 주는데도 이를 비웃는 말쟁이들을 그는 힐난한다. 결국 그는 우매한 고대의 사고방식속에 의술의 적합한 자리를 잡아주고 이를 변호한 것이다. 그는 정말 의학을 [낳았다]

그의 오래된 선서는 아직도 유효할까? 의술을 관찰과 경험과 가설하에 신중과 진지함으로 접근하려 했던 그에게 [의술은 커다란 권력임]이 드러났다. 사람들을 전문적 지식이라는 굴레로 우롱하거나 속일 수 있다는 말이다. 진정 환자를 위한다면 이는 반드시 경계되고 바로잡아져야 함을 그는 알았다. 직업윤리라고 해야하나, 자정적 규범이라고 해야 하나, 아무도 그 영역의 진위를 알지 못하므로 스스로 환자를 위해 견제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서약케 한 자에게 의술을 가르쳤다. 의업은 자기이익을 따르게 둘 수 없는 힘이 있고 이것은 여전히 [스스로 돌아봄]으로만 견제된다.

최근 문제가 되고있는 정부의 의사에 대한 통제가 과연 제도적 장치나 수가체계로 가능할까? 히포크라테스의 경험에 비추어보면, 실패하는 뺑뺑이 게임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부가 이리 죄면 저리 도망치고, 이렇게 비난하면 전문성을 내세워 변호하는 끝없는 쫓고 쫓기기. 이 게임은 어쩌면 의사들로 하여금 자신들을 自淨하고 자기 dignity 위에 자신들을 세우려는 노력조차도 내부에서 힘을 얻지 못하게 하는 건 아닌지 모른다.  빈손에 쇠꼬챙이 몇개, 풀잎파리,환자 많이 본 경험밖에는 없던 이 고대인이 알던 것을 다시 되새겨 볼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