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코레아니쿠스 - 미학자 진중권의 한국인 낯설게 읽기
진중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진중권의 새로운 에세이다. 서구사회를 기준으로 한 한국인 비판이라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 많은 부분 공감을 하며 읽을수 있었다.
무엇보다 그의 해박한 지식과 읽다보면 곧 나의 이야기인듯 느껴지는 글솜씨에 감탄을 하며 읽었다. 대중적으로 쓰여진 글이라 쉽게 읽혀지는 장점도 있다.
책은 3부-근대화, 전근대성, 미래주의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화에 관련된 글들은 기존 진중권씨의 입장을 다시 한번 쉽게 말로써 풀어줌으로써 한국의 근대화 과정을 설명해주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편하다.
전근대성과 관련된 글들은 아마도 읽으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찔리면서도, 왠지 기분이 씁쓸해지는 느낌을 가졌을 것 같다.
남 앞에서는 보여주기 싫은 모습 또는 개인적인 습성 등을 적나라하게 지적받는 느낌이다.
다만, 서구인과 동양인을 대립적으로 서술하는 부분이 많아서 사실임을 인정하면서도, '그럼 우리가 이렇게 미개한 종족들인가? 그럼, 서구인들은 그렇게 뛰어난가?'라는 의문이 계속 들었었다.
미래주의와 관련된 글들은 한국의 IT와 인터넷 문화발전과 짝퉁문화의 발전이 1부와 마찬가지로 근대화 과정에 대한 설명과 연결이 되어 설득적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같은 사회현상을 보고, 아무런 판단과 생각없이 세상을 살았던게 아닐까라는 자기 반성이 들었고, 그의 글중 인상적인 글들을 적어놓으려고 한다.

- 진중권은 국민성과 정체성이라는 말보다 '하비투스'라는 개념으로 한국인의 습속을 관찰하여 드러 내려하였다.
- 우리의 습속을 비하할 생각도 없고, 자화자찬을 늘어놓고 싶지도 않다. 비하를 해버리기에는 한국의 역사가 너무나 아프고, 자찬을 하기에는 아직 이 사회에 문제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p14, 프롤로그)

[근대화] 프랑켄슈타인-낯선 근대인을 만나다.

- 서구의 근대화에는 자유주의와 개인주의가 동반됐다. 한국의 근대화 역시 1930년대 일본이나 독일에서나 볼 수 있는 '군대화'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런 형태의 근대화에서는 신체의 훈육에서 국가와 시장이 하나가 된다. 가령 '싸우면서 건설하자'라는 향토예비군가의 구호.
(p32, 기계화) 

- 국가 주도로 경제성장을 하던 시대가 지났다고 신체의 훈육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권력이 시장으로 넘어가면서, 과거에 국가가 하던 버릇을 오늘날은 시장이 넘겨받은 듯하다. 사원들에게 극기훈련이나 산악 행군을 시키는 것은 우리 기업문화의 빼놓을 수 없는 특징.
한국의 기업들은 말로는 창의적인 인재를 원한다고 하나, 실제로는 여전히 개발독재 시대의 군사문화를 실천한다.
(p35, 기계화)

- 국가 주도의 경제가 민간 주도로 넘어가면서, 오늘날에는 국가를 대신하여 시장이 인간의 신체를 개조하는 역할을 넘겨받았다. 요즘 신문 지면에서 '맞춤형 인재'라는 말을 종종 본다. 이 말은 주로 대학에서 기업의 요구에 맞는 인간을 생산해주는 시스템을 가리킨다.
(p42, 회사인)

[전근대성] 죽은 양반의 사회-미완의 프로젝트

- 서구의 문명화는 부상한 부르주아 계급에 의해 근대적, 시민적 형태로 발전한 반면, 자본주의를 몰랐던 동양에서 문명화는 봉건적 신분제의 틀을 벗지 못했다. (중략)
  서구에서 문명화는 계몽주의와 보통교육을 통해 사회의 전 계층에게 확산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에티켓이라 부르는 것도 원래는 귀족문화의 요소였던 것이 오랜 시간에 걸쳐 하층까지 대중화한것이다. 하지만 동양에서는 근대적 보통교육이 지체되고, 교육을 특정 계층에만 한정해온 신분제 때문에 예법이 사회의 하층까지 전파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 그 결과 일반 시민들은 ' 예법의 공동화', 이른바 '에티켓의 부재'라는 상태에 놓이게 된 것이다.   서구의 부르주아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궁정에서 귀족문화를 접하면서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흡수할 수 있었다. 부르주아가 교양을 갖추는 데에는 몇 세대가 걸리는 법이다. 하지만 고속 성장을 통해 급하게 부상한 '동양', 특히 한국의 부르주아들은 미처 교양과 예법을 갖출 시간이 없었다.
(P91, 전사들의 나라)

- 황우석 사태를 보자. 황 박사는 과학자임에도, 이 사회는 그의 연구에 의혹을 제기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또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드러났음에도 황 박사에 대한 대중의 믿음은 여전히 깨지지 않았다.
(p106, 데카르트와 황우석)

- 졸부 근성을 지닌 상류층은 정신적, 문화적 격조가 아니라 아무나 살 수 없는 값비싼 '명품'등으로 신분적 차이를 드러내려 하고, 대중은 경제적으로 무리를 해서라도 똑같은 명품을 구입하여 그 차이를 지우려 한다. 대한민국의 명품 문화는 취향의 표현이라기보다는 그 성격이 조선 후기 체면 문화를 상업화한 것에 가깝다. 한국식 자본주의의 천민서은 여기서 비롯된다.
(p118, 전 인민의 양반화)

[미래주의] 디지털, 사이보그 그리고 짝퉁 - 테크네와 메트릭으로 무장하라 

-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미래주의'란 20세기 초반에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운동. 전통에 대한 과격한 거부와 기술에 대한 맹목적 추종을 모토로 한 '미래주의'운동이 등장한 곳은 주로 러시아와 이탈리아처럼 근대화의 흐름에 뒤처졌던 나라들이었다. 한국인이 가진 그 '미래주의적' 면모 역시 그와 비슷한 맥락에서 형성된 것일 게다.
(p187, 미래주의)

- 구술문화가 강한 곳에서는 인터넷의 사용도 남다르다. 문자문화에서 인터넷 사용이 '정보적'이라면, 구술문화가 강한 곳에서의 인터넷 사용은 '친교적'이다. 문자문화의 인간들은 정보가 필요할 때에만 인터넷에 접속해 정보를 찾은 후에는 곧바로 나온다. 반면 구술문화가 강한 한국의 네티즌들은 찾을 정보가 없어도 인터넷에 접속하여, 여기저기 남의 블로그나 홈페이지로 마실을 다닌다. 문자문화에서 인터넷은 정보의 교류를 위한 망이나, 구술문화에서 인터넷은 관계 맺음의 망으로 기능한다.
(p193, 디지털 구술문화) 

- 디지털의 발전과 더불어 문자문화가 저물면서, 근대 이전과 근대 이후가 묘하게 합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삼국지를 읽고 감동을 먹는 전근대적 감성이 곧바로 디지털이 열어주는 탈근대의 신화적 의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실 컴퓨터 게임에는 '설화'라는 전근대적 요소와 'IT'라는 탈근대적 요소가 필요하다. 현재 이 두조건을 갖춘 나라는 한국뿐이다.
(p199, 디지털 삼국지)

- 근대화의 급속함은 과거와 현재 사이의 거리를 좁혀 한국인 몸속에 강한 전근대성을 남겼고, 뒤처졌던 과거에 대한 기억에서 오는 특유의 성급함은 현재와 미래 사이의 거리를 좁혀 한국을 그 어느 곳보다 미래주의적인 나라로 만들었다.
(p287, 에필로그)

- 한국의 근대화는 일면적이었다. 신체를 기계화하는 '군대화' 과정속에서 존재의 개성화, 정신의 합리화는 미완의 근대화 프로젝트다. 또 산업화 과정에 수반된 무차별한 시장주의는 문화적, 생태적, 인간적 가치들을 간단히 계량화해버렸다. 
  미디어의 급속한 대중화는, 황우석 사태에서 드러나듯이, 첨단 기술에 신화적 의식이 결합된 소프트 파시즘으로 이어졌다. 가상을 실재로 착각하는 이 영상 문맹에서 벗어나려면 영상문화에 문자문화의 성취인 합리성, 성찰성을 도입해야 한다.
(p290, 에필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