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 안다고 착각하는 과학 상식
우에타니 부부 지음, 한선주 옮김, 갈릴레오스튜디오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8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1/pimg_7918442383540660.jpg)
"책을 읽고 나면 과학이 재밌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질 것입니다. (p3)"
과학 서적에 관심을 갖는 이유 중 하나는 지나치게 문과적 사고를 하는 편이기 때문이다. 글을 쓰다 보면 종종 이름 모를 벽에 막힐 때가 있다. 그럴 땐 다양한 지식의 신선함 속으로 나를 인도한다. 종종 이과 감성이 가득한 서적을 꺼내 본다. 자연스럽게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의 폭의 확장되며, 같은 사물을 보고도 다르게 생각하는 힘이 생긴다. 요즘 책을 통해 이런 1석 2조의 특수 효과를 누리고 있다. 이번엔 만난 과학 서적은 우에타니부부의 < 다안다고착각한는과학상식 >이다. 툰 형식의 책을 좋아해서 설레는 마음으로 독서를 시작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1/pimg_7918442383540663.jpg)
너구리 같아 보이지만 평범한 중학생인 포코타. 여름 방학 때 뒹굴뒹글하려고 했던 계획이 틀어진다. 시골 할아버지집에서 대청소를 하다 우연히 얻어낸 신기한 나뭇잎이 이마에 들어가며 일상 속 과학 상식들과 마주하게 된다. 이 책을 펼친 독자들은 포코타와 함께 '녹슨다'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상쾌한 공기의 비결이 무엇인지, 상처에 난 딱지의 정체가 무엇인지, 왜 낮에도 달이 보이는지, 벼락의 정체가 무엇인지 등. 그냥 지나칠 수도 있지만, 원리를 알고 나면 더 재밌는 상식들이 알아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1/pimg_7918442383540662.jpg)
일전에 그런 일이 있었다. 하늘에 참 고운 달이 뜬 날이었다. 친구에게 "저 달이 참 예쁘지 않아?"라고 물었다.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달을 보며 속으로 어떤 운치있는 대답이 나오려나 생각했건만...돌아온 대답은 "상현이게? 하현이게?" 였다. 그야말로 지독한 문과와 지독한 이과의 만남이랄까. 낮에 뜬 달을 볼 때도 신비롭고 몽롱한 생각에 빠지지, 왜 낮인데 달이 뜬 거지? 라며 과학적 원리를 생각하지 않았었다. <다 안다고 착각하는 과학 상식>을 보며 달과 지구, 태양의 위치 관계가 달라서 달이 뜨는 시간이 조금씩 변하기 때문이라는 답을 찾았다. (상현과 하현도 정확하게 알게 되었다.) 지독한 문과갬성인 내게 이과 감성이 쉽고 재미있게 다가오는 책이었다. 만화로 되어 있어서 남녀노소 누구나 읽기 좋은 책이라 다른 문과 감성 친구들에게도 소개해줘야 겠다고 생각했다. :-)
[달과 지구의 위치 관계와 달의 모양(위상 변화)]
달과 지구를 내려다봤을 때, 달은 시계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삭이었던 날을 1일째라고 하면 14일째 반대쪽으로 가서 보름달이 된다.
+삭에서 다시 삭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약 29.5일이다.
[책속한줄]
- 책날개 중에서
"우리 일상에는 '과학'이 가득합니다. 이 책을 동해 '아, 그렇구나!'하고 흥미로운 발견을 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책만을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