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마인드 (10만 부 기념 코멘터리 북) - 무의식이 이끄는 부의 해답
하와이 대저택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무의식(혹은 잠재의식)을 접했을 땐 마냥 신기했다. 그다음엔 사이비 같다도 생각했다. 그래서 무의식 관련 이야기를 부정적으로 봤던 적도 있다.



하지만 요즘엔 무의식 변화에 관해 엄청 실감한다. 무수한 책을 읽으며 그 힘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무의식을 알면 지금보다 더 행복하게 사는 것에 실패하기 힘들다.



간다 마사노리의 <비상식적 성공 법칙>에도 셀프 이미지에 관해 나온다. 내가 아무리 멋있게 보이려 애써도 무의식이 거부하면? 쉽게 변하지 못한다. 스스로 사자라고 말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무의식에서부터 스스로를 사자로 믿어야 한다.




본능을 이기고 싶은 해결책이 무의식이다. <슈퍼노멀>에서도 나오는 말이다. 사람이 하는 행동의 대부분은 무의식은 산물이다.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공부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세팅하고, 글을 잘 쓰고 싶다면 글 쓸 수밖에 없는 환경을 세팅해야 한다. 고민할 틈이 없도록 주변을 설계하고, 무의식적으로 행동하게 만들어야 한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부자가 될 만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부자가 될 행동만 골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종종 내 속의 검열자(일부 무의식)는 불쑥 이렇게 말할 때가 있다. "네가 꿈꾸는 삶을 정말 살 수 있다고 생각해? 너무 순진한 거 아니야?" 난 이런 검열자의 말에 절대 지지 않는다. 꼬박꼬박 대꾸한다. "알아서 할게. 내가 성공하면 비법 알려줄게." 그렇게 꾸준히 100번씩 꿈을 손으로 쓰며 입으로 외친다.



물론 아무런 노력도 없이 끌어당김의 법칙만 믿는 건 어리석은 행동이다. 잠재의식을 변화시키는 건 노력의 일종이다. 사람이기 때문에 누구나 하는 일이 지칠 때가 있다. 그럴 땐 부정적 생각을 날려줄 작업으로 <더 마인드>를 읽고, 100번 필사를 하면 된다.



예전 같으면 '내가 과연 할 수 있을까?' 싶은 일들을 이제는 '일단은 해본다'. 분명한 목표가 생겼기 때문이다. 난 부정적인 마인드가 생기면 반박할 거리를 하나둘씩 만든다. 부정적 생각이 100% 없는 사람은 없다. 본인이 신이 아니고서야. 성공한 사람도 사람이다. 그저 그 순간 좌절하지 않고 더 노력했을 뿐이다.



자신이 바라는 꿈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고 해도 '신경 쓰지 않고' 그저 목표를 향해 묵묵히 나아간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삶을 상상하고, 그 상상을 현실로 만들 행동을 실천한다. <더 마인드>는 마음에 이런 동기부여를 주는 도서이다.



책만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