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 - 사람의 뇌가 반응하는 12가지 스토리 법칙
리사 크론 지음, 문지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초보 (예비) 작가들, 주목! 팔리는 스토리 작법 비밀 공개!




[추천독자]


-오늘 알려줄 6가지 비밀 외에 더 많은 비법을 알고 싶은 사람
-웹소설, 장르소설 등 나만의 콘텐츠를 쓰고 싶은 사람
-어떤 작법서를 볼지 고민되는 초보 (예비) 작가
-<왕좌의 게임>, <오피스>, <SNL> 등 수백 편의 유명 콘텐츠를 탄생시킨 UCLA 익스텐션 작가 프로그램의 핵심을 알고 싶은 사람​





[팔리는 스토리를 쓰고 싶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6가지 비밀]


1-첫 문장부터 미래를 그려, 독자의 호기심을 잡아라!
▶ 뇌의 비밀 : 미래 예측, 이야기로 실현!

2-작품 속 감정은 독자의 감정이다!
▶ 뇌의 비밀 : 감정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

3-주인공의 명확한 목적, 그게 스토리의 중심이다!
▶ 뇌의 비밀 : 목표는 모든 행동의 근원!

4-변화와 갈등, 이야기의 원동력!
▶ 뇌의 비밀 : 변화에 대한 뇌의 저항!

5-주인공을 꿈에서도 통과할 수 없는 시험으로!
▶ 뇌의 비밀 : 이야기, 미래에 대비하는 뇌의 도구!

6-글쓰기는 한 번이 아닌, 반복의 과정!
▶ 뇌의 비밀 : 장기적 노력, 인지적 무의식의 힘!​
​(12가지 노하우 전부가 궁금하다면 책을 참고해 주세요!)


아이디어와 열정이 가득한 작가라도 '내글구려병'에 시달리는 경우가 온다. '이야기'는 상상 속에서는 완벽하다. 하지만 텍스트로 옮기는 과정에서 종종 어색함과 부자연스러움을 느낀다. 그렇게 내 글이 구리다고 느낀다. 이는 '내글구려병'이라고 부를 수 있는 현상의 일부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있다. 이미 성공한 작가들이 고맙게도 비법을 공유하고 있다. 고작 커피 3잔 값이면 된다. <끌리는 이야기는 어떻게 쓰는가>라는 책은 이런 비법 중 하나다. 작가의 '뇌'와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통해 더 나은 이야기를 쓸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단순히 자기 만족을 위한 글을 쓰고 싶다면 볼 필요 없다. 하지만 독자를 사로 잡고, '뇌'를 사로잡는 스토리를 쓰고 싶다면? 이 책에서 제시하는 작법을 배워 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과정에서 '내글구려병' 없이 나만의 글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글을 쓰다보면 막막할 때가 있다. 그럴 땐 앞선 선배 작가들의 작법서를 펼친다. 글을 어떻게 분석하고 써야 하는가를 배울 수 있는 여정에 빠져들다보면 다시 글을 쓸 힘이 생긴다.


글을 잘 쓰고 싶은 예비 작가부터 현직 작가까지.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좋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도서이다.




책만을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