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프 머신 - 소셜 미디어는 인류를 어떻게 바꿔놓았나?
시난 아랄 지음, 엄성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이프 머신이 지닌 장밋빛 약속이나 위험 어느 한쪽만 이야기한다면 너무 편파적이다. 진실은 더 복잡하다. 때론 행복을 주고 때론 억압하기도 한다. 때론 충격적이기도 하지만 그러면서도 늘 배울 것이 있다. (p23)"


스스로 '데이터광'이라 부르는 과학자가 있다. #시난아랄 은 기업가이자 투자가이도 하고 교수이기도 하다. 와우. 이런 작가가 과연 어떤 이야기가 하고 싶어서 <하이프 머신>을 썼을까?


.


※ 하이프 머신이란?

소셜 미디어가 만들어낸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생태계



.






"내 사진에 '좋아요'가 더 많으면 기쁨과 동기 부여, 조건 반사 반응을  통제하는 도파민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되었다. 도파민 시스템은 기쁨과 행복, 황홀감을 자극하여 우리에게 보상을 갈망하게 만든다. ... 소셜 미디어는 중독성 있게 설계되어 있다. ... '고립 공포감' 탈피에 대한 우리의 갈망을 자극한다. (183-184)"


'좋아요'에 전혀, 절대 신경 쓰지 않는 사람?

나만 해도 아예 신경 쓰지 않는다라고 쿨하게 말하기 어렵다. 사회는 변했고, 코로나는 더 큰 변화를 야기했다. 소셜 미디어를 빼고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개인적으로 스마트폰 이전 시대로 돌아가지 않는 이상 힘들 것 같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길 줄 알아야 한다. 다만, 현명하게 즐겨야 한다. <하이프 머신>을 읽는 내내 똑똑하게 알지 않는 이상 끌려다는 삶 밖엔 되지 않으리라는 두려움이 들기도 했다. 이 책을 통해 좋아요라는 시스템이 소셜 미디어가 과연 사람들을 어떤 회로로 돌려 바삐 움직이게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





"하이프 머신 네트워크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더 심화시킨다. 사람들은 소셜 미디어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연결될 때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연결된다.(동질성 선호) 사람들이 새롭게 연결될수록 기존의 불평등 현상은 더 심해진다. 친구 추천 알고리즘은 어느 정도 사용자의 현재 연결을 토대로 한다. (p461)"


오랜만에 벽돌책을 읽었다. 가격대가 착해서 좀 놀랐다.  이 책보다 얇은 책도 이보다 더 비싼 가격에 나오는데.. 두께에 비해 나름 착한 가격으로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책이 나와서 반가운 마음이 가득했다. 장점도 많겠지만, 단점도 크다는 건 그만큼 대비를 잘해야 함을 의미한다 청동기 시대 이후 불평등은 늘 존재했다지만 갈수록 심해진다면 지구별에 살고 싶은 사람이 1%만 남을지도...

천천히 읽으며 내가 살고 있는 세상과 미디어에 대해 더 깊이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책만을 제공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하이프 머신 안에서는 아이디어를 놓고 싸우든 고객들의 돈을 놓고 싸우든 모두 디지털 마케터다. - P56

기술이 전부는 아니다. 하이프 머신은 우리의 현실을 만드는 데 도움ㅇ르 주지만, 그 기술을 이용하고 통제하는 것은 결국 인간이다. 기계가 분석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추천할 수 있게끔 필요한 것을 입력하는 일이 바로 우리 인간의 몫이다. - P137

역설적이게도 기업들은 대개 새로운 잠재 고객을 ‘최악의‘ 고객으로 본다. 그래서 광고 대상을 선정할 때도 그런 잠재 고객들은 무시하고 ‘더 가치 높은 단골‘ 고객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 P256

우리는 정말 인기가 지배하는 세상을 원하는 걸까? (그런 세상은 지혜와는 멀어진 채 광기로 흘러간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아니면 우리의 정신을 고양하고 지식을 넓혀주고 정서적 안정감을 공고히 해주는 사람들이 인정받는 세상을 원하는 걸까? - P5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