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만큼 성공한다 - 김정운교수가 제안하는 주5일시대 일과 놀이의 심리학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직장과 가정. 일과 여가. 긴장과 이완. 이성과 감성.

이 모든 것에는 균형이 필요하다.

균형을 이루려면 두가지의 중요성이 비슷해야 하는데....

여태까지 우리 사회는 직장에 가정이, 일에 여가가, 긴장에 이완이, 이성에 감성이 종속되어 있는 형태였다.

주 5일제가 시행되고, 일하는 시간보다 여가 시간이 더 많아져 버린 이때...

(이론상으로...)

여가가 일만큼 혹은 일보다 더 중요하다고 외치는 사람이 책을 냈다고, 겉표지에 싸인까지 해 주며 책을 한권 줬다. 고맙게도 말이다. 물론 다 읽어야 도리를 하는 셈이고, 다 읽는데 어렵지 않았다.

다른 하나의 숙제는 나름 Feedback을 드려야 하는데...

 

1. 역작이라는데 동의한다.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한 이후 습득한 지식 중 체화된 이야기 거리를 모두 쏟아 부었으니 말이다. 이 책을 다른 책을 읽는 중에 2일 만에 다 읽었는데, 쉽고 재밌게 쓰인 탓이기도 하지만... 이미 한번은 들은 이야기들이어서 그럴 지도 모르겠다. (대학원 수업 시간에 들었었던 발달 심리학에 관한 이야기들은 여전히 깊은 내용들이다.) 다만, 큰 줄거리에서는 다소 구성의 초점이 모호하다. 작은 이야기들은 재밌지만, 그것들이 하나의 명확한 방향성을 갖지 못한 채 다소 어색하게 나열되어 있다. 모든 이야기들이 '놀이'를 매개로 엮여 있지만, 그 연결고리는 그다지 공고하지 못하다.

   

 2. 여가의 중요성을 역설하지만, 여전히 일에 종속되어 있는 느낌을 갖게 된다.

     제목도 그렇다. 아직 일과 성공이 가장 중요한 가치인 우리 사회에 거의 처음으로 여가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다소 타협해야 할 필요가 있었음은 이해가 가지만... 어쨌든 제목만 보면... 아직 노는 것은 성공을 위한 수단이다. 아울러 '성공'에 대한 일반적인 시대의 관념을 비판하는 저자는 그 관념을 넘어서지는 못한 것 같다. 본문에 등장하는 저자의 무용담 중 많은 부분은 상당히 TV다큐멘터리 "성공시대"적이다.

 

3. 조직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다소 좌절을 주는 내용이 많지만, 그것은 한편으로는 편견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돌고래가 받아먹는 썩은 생선을 탐할 것인가?" 라는 귀절이 있다. 참 그렇구나 하고 생각이 들지만, 곰곰히 생각해 보면 돌고래에게 왜 사육사가 썩은 생선을 먹일 것인가? 돌고래 가격이 얼만데...? 아마도 마르크스의 '소외된 노동' 개념을 떠올린 것 같다. 거대 조직의 많은 사람들이 겪는 소외말이다. 하지만, 소외된 노동은 일하는 형태에 따라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의미와 주인의식이 좌우할 뿐이다. (확률의 문제에서는 조금 달라지기도 하겠지만... 사실 그것 자체가 환상일 수도 있다.) 또, 그렇다고 생각하는 가정 자체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비수가 된다.

 

4. 전체적인 논의가 너무 개인적인 차원에 국한되어 있다. 이것은 심리학이 갖는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한데... 분석의 단위가 개개인인 경우가 많고, 그것을 확장한다고 해도 궁극적인 관심사는 개인이기 쉽다. 심리학의 이런 접근은 분명 뭔가를 놓치고 있는 것이고, 이 책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엿보인다. 예를 들면, 경제가 이런데 무슨 놀이 타령이냐고 할때... 이런 문제제기는 틀리기도 하지만, 분명 시사하는 바가 있다. 구조적으로 고용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빈부의 격차가 점점 심해지는 세계적인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이 책의 기본가정은 상위 몇 %만을 향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물론 그 상위 몇 %가 이 책을 구매할 구매력과 이 책에서 말하는 바에 대한 관심이 있기는 하다. 유사한 의미에서 녹화사업의 녹화만 봐도 불안하다는 저자는 이미 정글처럼 우거지게 녹화된 듯도 보인다.

 

- 이상 상당히 비판적인 시각에서의 지적들이다.

 

 사실 100가지 장점 중에서 위의 4가지만 빼면, 위의 책은 훌륭하다. (안 밝힌 몇가지 빼고 90점!)

 사회에서 필요하나, 드러나지 않은 의제를 발굴하여 화두를 던지는 점이나...

 독자들을 배려하는 글쓰기 방식이나....

 흥미로운 지적인 탐구들과 다소 독특한 타인의 취향을 엿보는 것도....

 

 저자의 다음 책에는 더 새롭고, 재미나고, 멋진 이야기들이 꿈틀꿈틀 엮여 있으면하고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