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설의 살인
우치다 야스오 지음, 홍영의 옮김 / 초록배매직스 / 2000년 2월
평점 :
품절


집단에게 살해된 개인 ; 그리고 그들의 입장

“당신은 누구시죠?”
이 난해한 질문은 개인과 집단이 갖는 밀접한 관계에 의해 더 이상 난해하지 않다.
“저는 **학교(회사)에 다니는 XXX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을 이용해서 쉽게 답을 지어내기 때문이다.

‘빙설의 살인’은 추리 소설의 형식을 빌어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내고 있다. 특히 아주 거대한 관료집단(자위대, 군수업체, 경찰청)과 그 구성원들 사이에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래의 목적을 잃어버린 계획에 대해 집착할 수 밖에 없는 거대한 집단의 속성과 그것에 반대하는 한 구성원이 등장한다. 물론 그 사람은 살해되고, 이 사건을 어느 집단에도 속하지 않는 르포라이터 겸 탐정인 주인공이 파헤쳐 간다.

개인과 집단은 언제나 특유의 긴장으로 가득하다. 그 긴장은 집단에 매몰되지 않으려는 개인과, 개인에 의해 붕괴되지 않으려는 집단 간의 균형점으로 향해 있다. 이 절묘한 균형을 찾아내고 유지한다면 개인은 집단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고, 집단은 이러한 개인들을 동력으로 지속 발전될 것이다. 그러나 체조선수나 씨름선수가 보여주듯, 균형을 잡아가는 일은 언제나 힘들다. 이렇듯 개인과 집단은 언제나 궁금하지만 풀리지 않는 미묘한 역동으로 계속되어 왔다.
어떻게 생각해 보면 집단은 그 구성원인 개인으로 환원될 수 있다. 이런 환원주의의 방식으로 바라보면 집단은 하나의 상징체계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그다지 유용한 것 같지 않다. 집단은 그 자체로 하나의 생명을 가지고 있는 듯이, 활발하게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 점에 초점을 맞춘다. ‘집단은 어쩔 수 없는 괴물’이라는 말을 인용하면서…..

개인보다 강력한 상징인 ‘집단’에 대항하는 더욱 강력한 개인을 상상하는 일은 언제나 달콤한 주제였다. 그 사람은 바로 영웅이고, 사람을 넘어서는 ‘수퍼맨’이다. 집단이 일종의 인간(法人)으로 존중받고, 그 규모가 더욱 커져가는 현대 사회에서 이런 상상은 더욱 비현실적이 되어가고, 비현실적일수록 그 상상은 더욱 달콤해질 것이다.

추리소설로서 그다지 치밀하지 못한 내용 전개 방식을 가진 이 책에 그나마 호감을 갖는 이유는 그 종결부이다. 작가는 그 종결부를 나름대로 열심히 고심한 것 같다. 그는 개인이 집단을 완전히 뒤엎는 패스트푸드처럼 느끼한 할리우드식 해피엔딩을 원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그 거대한 철옹성은 결코 무너질 수 없다는 체념으로 소설을 끝내기도 싫었으리라.
물론 이러한 절충이 상업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보이지 않는 무엇인가와 타협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못마땅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의 암울한 상태를 드러내면서도 그것에 의한 불씨를 남겨두는 일은 그럴 듯 하게 보인다.

------------------------

개인과 집단의 관계를 잘 표현한 영화 :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영화 ‘카프카’ ; 강력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