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뇌! 그 궁극의 신비


 

 포만 중추가 손상당해 두 배는 뚱뚱해진 비만쥐와 공기분사와 순막의 움직임을 온몸으로 학습한 토끼가 뿜어내는 특유의 냄새가 가득한 '쥐방'옆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나로서는 베르베르의 「뇌」는 읽지 않을 수 없는 자극이었다. 마치 '최후의 비밀'과 같은....


 
 그간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책을 읽어 본적이 없다. 많은 사람들이 읽는 책은 왠지 손이 가지 않는 심술중추가 활성화되었을까? 아니면 영어식 발음으로 하면 "버나드 웨버" 정도로 발음될 박박머리 작가가 프랑스에 태어나서 얻게된 경쾌한 운율의 이름이 그를 과대포장했다고 여긴 헛된 상상 때문이었을까?

 
 베르베르는 천재는 아니었다. 그 해박한 지식을 끌어와서 배치하는 것은 흥미로웠지만, 그는 타고난 글쟁이는 아니었다. 울창한 지식의 숲을 안내해주는 지식가이드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하지만 그가 제기하는 문제들은 만만치 않은 것이었다. 그가 등장인물들의 입을 통해 물어오는 철학적인 질문들이 쳇바퀴 도는 듯한 회사생활에 익숙해진 회사원에게 각성제처럼 날카롭게 다가왔다.

 
 뇌는 아직 신화의 세계이다. 과학으로는 뉴런 수준에서 이해되거나 추상적인 가설들로 연구할 수 밖에 없는 수준이니까 말이다. 포탄 연기 자욱한 전쟁터에서 실려들어오는 두개골 열린 피투성이 환자들의 뇌에 의해 고무된 생리학자 펜필드가 연구할수록 불가지론자로 변해버린 것은 그 대표적인 예다. 더구나 그 의식이란 것은 더욱더 설명할 수 없는 신기루와 같은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테나 여신의 도움과 함께하는 신화 속의 오딧세우스의 이미지는 적절해 보인다. 하지만, 뇌는 언제까지 신화의 영역으로 남아있게 될 것인가?는 또 다른 의문이다. 암스트롱이 달에 도착하자(이 역시 사기라는 문제제기가 있기는 했지만...)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그저 적막한 광물덩어리로 변해버렸듯이... 뇌도 언젠가 그 모든 신비의 옷을 벗어내고 하나의 살과 핏덩어리로 변하고 말까? 실제로 이 시대는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을 통해 항우울제를 만들고, 광인의 병이라 불렸던 간질을 완화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럴 듯한 답이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괜찮은 물음들이 가득한 이 책은 내게 있어서 나름대로의 쾌락을 제공한 신선한 자극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