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마을이다 - 위험 사회에서 살아남기
조한혜정 지음 / 또하나의문화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한혜정 선생의 칼럼집, <다시, 마을이다 - 위험 사회에서 살아남기> 에는 안타까움이 가득하다.

토건국가 대한민국의 근대적 사고 방식이 지배하는 딱딱하고 남성적인 문화 속에서 커나가는 아이들에 대한 안타까움 말이다.

 

이 칼럼집은 조한 선생이 기고한 여러 매체의 글들을 모아 놓았는데, 그 내용은 거의가 비슷비슷하여 약간 실망스러운 구석이 있다.

하지만, 이 일관된 반복을 통하면 저자의 생각은 마치 많은 연필 터치를 통해 만든 소묘처럼 시각화 된다.

이 소묘 속의 여인은 오늘과 같은 세상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릴 것인가? 생각해 보니 참 딱하기도 하다.

 

한국의 대표적인 페미니스트이자 세련된 취향을 선보이는 '조한'에게는

독선적이고, 마초적이며, 공공성에 대한 철학이라고는 도대체 찾아볼 수 없는 신자유주의 토건국가 대한민국의 모습이

역사의 시계를 거꾸로 돌려도 한참 돌리는 청천벽력과 같은 일종의 재앙일 것이다.

 

제목에서 느낄 수 있듯이, 저자는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몰취향의 도시에서 '마을'을 외친다.

자발적 참여와 소통이 모여 즐거움되고, 이를 통한 '관계'의 회복은 행복의 다른 이름이다.

대안 학교인 영등포의 '하자 센터' 아이들의 성장 경험들과

'성미산 마을'에서 벌어지는 공공성에 기반한 행복찾기에서 

탈근대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야기하려 하는데,

난데 없이 돌아 온 개발 독재시대의 가치가 거대한 벽처럼 앞을 가린 셈이니 말이다.

 

아래는 아직 본격적인 재앙이 닥치기 전인 2003년의 글이다.

 

인간의 탄생은 축복만은 아니며, 역사는 진보하지 않는다.

인연이 있다고 해서 꼭 맺어지는 것이 아니며 삶은 끊임없이 변화할 뿐이다.

삶은 항상 무엇인가를 이루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는 그 자체로 의미있다.

끝없는 발전과 확장을 믿고 살아온 그간의 역사는 얼마나 폭력적이고 허무한가?

터무니 없는 낙관주의는 또 얼마나 많은 불행을 낳고 있는가?

 

근대의 끝머리에 선 인류는 이제 '지속가능한 생존'의 방식을 찾아 나선다.

'지금'이 중요하고, 살아 있는 존재들 간의 '소통'이 중요하며, 태어날 아이들에게 들려줄 이야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제 깨닫는다.

130~131페이지.

 

울리히 벡이 말했다는 '위험사회'의 한 구석에서

조한혜정 교수를 비롯한 모든 '문화적 인간'들이 모여 심심한 위로의 공동체라도 만들어야 할 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