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표류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박연정 옮김 / 예문 / 2005년 3월
평점 :
책을 고를 때 가끔씩 가격에 휘둘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한정된 시간과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다고 당연하게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사실 그럴수록 가격보다는 책 자체의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책을 읽을 때 가끔씩 권수에 휘둘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작년부터 한달에 다섯권을 읽자는 목표를 세우고 지켜나가고 있는데....
바쁘다보면 금방 읽히는 내용의 책, 혹은 얇은 책에 먼저 손이 간다.
한달에 다섯 권 이라는 형식이 좋은 책을 읽어야 한다는 궁극의 목적을 앞서면 문제가 생긴다.
다치바나 다카시의 '청춘표류'는 위의 두가지 잘못된 습관의 교집합이다.
많이 팔린 책들은 싸다. 많이 팔린 책들은 읽기 쉽다.
우리나라 출판계와 독자들의 베스트셀러 위주의 책읽기에 동참해 버린 셈이다.
--------------------------------------------------------------------------------------------------------
그럼에도 이틀만에 후딱 읽은 '청춘표류'는 결과적으로 그렇게 나쁜 기획은 아니었다.
(대반전 작렬! ㅋㅋ 그러나 저자라는 안전핀은 고려했다.)
대기업에 다닌지 만 8년을 향해 다가가고 있는 나의 인생행로에 경종을 울려주는 11명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지고 있으니 말이다.
이 책은 표류하던 청춘기를 보냈으나, 자신이 진심으로 좋아하는 일을 찾아 세계 최고가 된 장인들의 이야기다.
이들이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해서 겪었던 방황과 노력의 시간들은 정말 대단하다.
(다치바나 다카시 역시 지식의 축적과 처리, 지적 결과물의 도출 분야에 있어서는 매우 집요한 사람이기에 이 고수들에게 동질감을 느꼈을 것 같다.)
혹자는 이들이 가진 직업의 영역(원숭이 조련사와 나이프 제작가, 칠기장인 등)에 그다지 많은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기에
세계 최고가 되기가 경쟁이 치열한 다른 분야보다 어렵지 않았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세계 최고라는 것은 역시 보통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며, 이들의 집요한 노력은 절대 폄하할 수 없다.
노동(직업)은 세상과 소통하는 중요한 영역이다.
프로이트도 "일과 사랑"이라는 사람이 살아갈 때 신경써야 할 가장 중요한 두가지 영역을 확실히 정해 주었다.
이 책의 주인공 중 한명이 네오 프로이디언인 마르쿠제가 노동에 대해 쓴 이야기를 감명깊었다며 인용했다.
" 노동 이외의 것에서 유토피아를 찾지 마라. 노동 속에서 유토피아를 찾아라. " - 청춘표류, 33페이지
전적으로 동감한다.
즐겁지 않으면 그것이 유토피아 이겠는가?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살아가는 것은 그렇게 중요한 것이다.
그런데... ( 또 다시 반전을 도모! )
- "청춘 표류"는 그 유토피아를 찾는 전환점이 표류에도 불구하고, 재기할 수 있는 청춘 시점으로 한정시켜 놓은 잔인한 제목은 아닐까?
- 아무리 혈기 왕성한 청춘이라도 배곯을 것을 걱정하면서 하는 노동은 즐거울 수 있을까?
- 엄청난 고생을 뻔히 보면서 표류를 격려하는 것은 옳은 일인가?
- 그 사회의 기본적인 시스템이나 프로세스가 잘못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일본에서 이 책이 나온 것은 1988년이다.
신자유주의가 세상을 실제적으로 주도해 나가기 시작하던 시점이다.
신자유주의가 확장되면서 사회적 안전망은 점점 사라지고, 경쟁은 심해지고, 부의 편중도 확대되기 시작한다.
안전망 없는 사회에서 부가 집중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노동을 통해 유토피아를 찾기는 쉬운 일이 아니며 많은 것을 희생해야 한다.
개인적인 도전의식의 결여 만을 탓할 수는 없는 것이다.
다치바나 상~!
20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 찬란한 청춘에 표류하다 경쟁의 파도에 익사한 사람의 이야기에도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싶습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잘못된 사회구조도 예리하게 파헤쳐 주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