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병원 사용 설명서 - 병원이 우리에게 말하지 않는 불편한 진실
강주성 지음 / 프레시안북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강주성.

<대한민국 병원 사용설명서>라는 책의 저자이다.

이 분에게 붙여주고 싶은 별명이 있는데.... 그 별명은 "대한민국 국가대표 환자 "이다.

 

강주성씨는 열심히 돈벌어서 아내와 두 딸을 잘 건사하던 평범한 가장이었는데...

마치 드라마에서와 같이 갑작스레 만성 골수병 백혈병에 걸리고 만다.

그는 병에 걸리고는 아주 짧은 시간에 돈을 중심으로 매여 있던 모든 것으로부터 한번에 튕겨져 나와 버리게 된다.

그토록 빠져 나오고 싶어 해도 할 수 없었는데 이렇게 쉽게 그 쳇바퀴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니... (13페이지)

사실 그는 노동력을 상실한 것이고, 그의 말대로 그 구조에서 쉽게 내던져진 것이다.

그는 그의 병을 진단한다.

인간을 갉아먹는 사회구조, 나무와 풀벌레가 없는 내마음... 죽음은 애초에 거기서부터 자라고 있었다(14페이지)고....

정확한 진단에 가슴에 닿는 표현이다.

 

이 후 강주성씨는 여동생에게 골수를 이식받고 두번째 삶을 살게 되면서 모든 것이 바뀌었다.

머리카락과 손톱, 피부 뿐아니라 하는 일도 생각도 말이다.

그는 환자로서의 삶을 통해 우리나라 의료계의 모습을 뼛속 깊이 체험하게 된다.

그리고는 그 경험을 통해 얻은 여러 내용들을 책으로 풀어내기에 이른다.

 

이 책은 "의료를 건강권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보다는 먹고 살아야 할 '시장'으로 해석하는 데서 오는 충돌"(9페이지) 때문에 쓰여졌다.

건강권은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 행복할 권리, 건강할 권리이다. 누가 병에 걸리고 싶어서 걸리겠는가?

그런데 우리 사회의 통념은 병에 걸리는 것은 개인의 부주의나 생활습관 등으로 단순히 원인을 돌린다.

병에 걸리면 그 책임을 다 개인에게 전가하기 때문에 그 해결도 개인의 문제로 되어버리는 이상한 '사회적 상식'이 자리잡고 있다.

(29페이지)

우리가 아프게 되는 이유는 마실수 밖에 없는 더러운 공기, 받을 수 밖에 없는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사회구조 등등 여러가지다.

다시 말해 질병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따라서 사회가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은폐하고 그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려는 시도에 저항해야 한다. (31~32페이지)

 

문제는 앞서 말한 대로 의료를 건강할 권리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윤을 추구하기 위한 시장으로 보는 시각차이다.

지금 머리 좋은 모든 젊은이가 의대를 가기위해 애쓰고 있다.

이들이 소중한 생명을 돌보고 행복한 삶을 지켜주기 위한 사명감으로 그러는 것이라면 좋겠지만....

솔직히 말하면 의사와 같이 돈도 많이 벌고, 안정적인 직업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의사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지불하는 돈을 버는 것이다.

하지만 환자는 단지 의료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에 언제나 약자의 신세이다.

가뜩이나 신체적으로 약해져 있는 환자들은 복잡한 의료체계도 의학지식도 없는 상황에서 올바르게 건강할 권리를 추구하지 못하고,

단지 비용을 지불하는 공급자의 역할만을 담당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런 억울한 상황에서 국가대표 환자 강주성씨가 그 정보의 격차를 메워 적절한 비용으로 환자가 건강을 추구할 권리를 돕는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은 일종의 돈을 버는 책이다. 의료계에 만연한 부당 청구행위나 잘못된 구조에 대해서 친절히 알려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올바르게 진료비가 청구 되었는지 알아 보는 <진료비 심사 청구 제도>에 대해서만 알아도

입원환자는 책값의 몇 배는 벌 수 있을 것이다.)

 

신자유주의적 사고는 의료와 건강의 영역에도 어김없이 찾아 들었다. 의료는 공공성이 높은 영역이다.

사적이익의 무한한 추구가 가능해 진다면, 사람들은 생명과 행복의 기본적 조건인 건강을 담보로 한 피말리는 게임을 하게 된다. 

민영보험과 의료법인의 영리화 등 많은 부분이 진척되고 있다.

다국적 제약기업의 이윤추구와 그 이윤을 보호해 주는 FTA도 눈앞의 현실이다.

이제 신자유주의는 너무나도 당연해서 제2의 조나스 소크 박사가 나오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바램이 되었다.

그래도 우리는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해 고안된 여러 제도들을 아직은 유지하고 있다.

필요한 것은 관심이고 행동이다.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행동의 지침을 알려주는 국가대표 환자의 이 책을 한번씩 읽어 봐야 한다.

다국적 제약회사 직원과 의사를 포함해서 늙고 병들어 죽어가는 것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일이니까 말이다.

 

건강세상 네트워크 : www.konkang21.or.kr

- 이 책의 저자가 대표로 있는 시민단체로 건강할 권리, 의료를 이용할 권리를 가로막는 모든 차별과 배제에맞서 싸우는 단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