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초고왕을 고백하다 백제를 이끌어간 지도자들의 재발견 1
이희진 지음 / 가람기획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초고왕과 성왕. 삼국시대 -이렇게 부르는 것도 일각에서는 논란이 많은 것 같습니다-의 한 축이었지만 패망한 나라였기에 대부분이 잊혀지고 무시되곤 하는 것이 백제의 역사였지만, 그나마 우리에게 전성기를 이끌고, 부흥기를 이끌었던 왕으로서 낯설지 않게 기억되는 이름입니다. 물론 의자왕과 무녕왕은 다른 의미에서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한 나라의 기초를 다지고 부흥기를 이룬 근초고왕이나 성왕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패자의 나라였던 백제의 희미한 역사를 우리가 얼마나 바로 알고 평가할 수 있는가 하는 시금석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남겨진 역사의 기록이 워낙 빈약하기에 이런 저런 형태로 남아있는 유물들을 통해서 자신들의 문화 수준과 능력을 더 극적으로 보여주곤 하는 나라가 백제이고, 실제로 많은 이들은 그들이 남긴 흔적을 통해서 패망한 제국의 애처러운 뒷모습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앞서가던 웅대한 왕국을 상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런 유물과 상상에 의존해서 하는 평가보다 빈약한 기록이나마 남겨진 역사 기록을 통해서 무시받던 백제의 역사에 최대한 다가서고자 한 이 책의 노력이 더 반가운 것은 바로 정당하게 인정받지 못한 나라의 역사에 대한 애정어린 관심과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진지함, 미처 깨닫지 못하던 역사의 이면을 낱낱이 들여다보며 생각할 수 있는 안목이 담겨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되는 듯 합니다.  

 저자는 서문에서 최근 방영되고 있는 텔리비전 드라마 '근초고왕'의 내용에 대해서 우리의 백제에 대한 일천한 역사 인식을 그대로 반영한 작품일 뿐이라고 혹평하고 있습니다. 드라마에서 근초고왕을 '백제에서 간신히 정권을 잡아 나라꼴이나 갖추어 놓은 왕 정도로밖에 묘사'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실제로 당시 역사에서 근초고왕은 고구려에 대항해서 남방의 마한과 가야, 왜를 전략적으로 공략하여 자신의 영향력 하에 묶어놓은 전략가적인 면모를 갖추었던 왕이었고, 그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고구려와 함께 한반도의 한 축을 형성한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성왕에 대해서는 우리 대부분이 백제의 중흥기를 이끌었던 왕으로 알고 있지만 그 이상의 지식이 없음을 지적하면서, 실제로 성왕은 근초고왕이 이루었던 '임나재건'을 앞세워 동아시아 남부의 맹주자리를 찾아 나아갔던 군주였고 그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백제의 중흥기를 이끌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자가 이 두 백제왕의 업적을 찾아나서는데 사용된 기록이 기존의 자료와 크게 다르지 않은 빈약한 기록들이지만, 기존의 역사서들고 다른 면이라고 한다면 시대와 상황에 대한 고려를 통해서 그 역사 기록이 말하고 있을 법한 이면에 대해서 백제라는 나라의 입장에서 최대한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일 것 같습니다. 물론 그러한 입장이 실제와 다른 억측을 낳을 수도 있겠지만, 무시되고 생략되어 버렸을 백제라는 나라의 역사에 나름대로 생기를 불어넣고 더 많은 역사적으로 그럴 듯한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존의 기록이 있는 그대로의 역사가 절대 아니고, 또한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한 패망한 나라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생각한다면, 잊혀진 역사에 살을 입히고 피를 돌게하는 나름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자가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근초고왕과 성왕의 전략적인 업적으로 들고 있는 것은 바로 고구려에 대항하여 남방 세력을 통합하여 자신들의 영향력 하에 두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전략의 성취를 통해 남방에서의 세력을 굳건히 함으로써 북쪽의 고구려와 대등한 위치에서 백제를 전성기로 이끌수 있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이 책에서 저자가 두 백제왕의 주된 업적으로 다루는 내용은 근초고왕이 마한을 병합하고 가야에 '임나'를 설치하고 여기에 일본부까지 함께 묶어 자신의 영향력하에 복속시키는 과정과 성왕이 신라와 연합하면서도 '임나 재건'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부분적으로 성공하였던 과정에 대한 것들입니다. 일견 한반도의 남쪽 일부와 일본(왜)를 아우르는 작은 세력권을 형성하였던 것을 대단하게 취급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저자의 관점은 강력하게 성장한 북쪽의 고구려에 대항하여 남쪽의 백제가 국제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국력을 키우고 국경을 넘어선 강자가 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근초고왕이나 성왕의 판단은 탁월했고, 그러한 전략을 성공시켜서 실제로 한반도의 강자로서 전성기를 이끌었던 두 사람의 업적은 백제와 당시 한반도의 상황에서 충분히 평가받아야 할 의미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자의 관점에 대해, 백제의 역사에 애정을 가진 사람이라면 근초고왕의 요서나 요동 경영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는 점이나 백제가 전성기에는 더 넓은 세력권을 형성한 해상왕국이었을 것이라는 사실 등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 등은 아쉬움으로 남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백제의 전성기의 기반이 되었던 세력의 역학관계에 대한 진지하고 세밀한 성찰은 백제의 역사만이 아니라 삼국의 역사에 대해서도 더 깊이있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이 책을 통해서 얻게 되는 '임나'의 실체나 신라와 백제의 명운을 가른 것으로 평가되는 관산성 전투의 실체 등에 대해서 새로운 이해를 더할 수 있었던 것 등도 유익한 대목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