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0
하인리히 뵐 지음, 김연수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카타리나 블룸은 가정 관리사로 성실하게 일하면서, 주변 사람들의 배려와 근검 절약을 통해서 자신의 아파트까지 소유하게 된 20대 후반의 평범하기 그지없는 여성입니다. 하지만 그녀의 평범한 행복은 카니발 시즌, 한 파티에서 만난 남자로 인해 금이 가기 시작합니다. 그녀가 사랑에 빠진 남자는 괴텐이라는 경찰의 추적을 받는 범죄자였고, 카타리나 블룸은 괴텐이 아파트까지 쫒아온 경찰을 감쪽같이 따돌리고 도망칠 수 있게 돕습니다. 그녀의 행동은 불법으로 의심되었고, 괴텐을 잡지 못하고 허탕을 친 경찰은 카타리나 블룸과 괴텐과의 관계, 그리고 그녀의 불법성을 조사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한 신문 -차이퉁-은 그녀를 괴텐-범죄자-의 약혼자로 몰아붙이면서 그녀를 옥죄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대대적인 기사들을 쏟아내기 시작합니다. 기자들은 주변인들을 취재하여 모은 자료들은 기사화하면서 '영리하고 이성적인 사람'이라는 표현을 '얼음처럼 차갑고 계산적이다'라든가, 주인공에 대한 일반적인 이야기들을 교묘하게 인용하며 범죄자의 약혼자가 될 수 밖에 없었다느니, 무책임한 주변인들의 발언에 비중을 두어 그럴 듯하게 처리하는 등의 적극적인 해석과 왜곡을 통해 평범한 한 여성을 '살인범의 정부', '테러리스트의 공조자' 그리고 '음탕한 공산주의자' 등으로 매도해 갑니다. 그러한 기사는 또한 여과 없이 읽는 이들에게 카타리나 블룸의 부정적인 모습을 각인시키고, 결국에는 주인공이 집단적인 이지메의 대상으로까지 전락해가는 과정을 통해서 작가는 보이지 않는 언론의 폭력이 어떻게 발생하여 진화하고 어떻게 한 인간을 짓밟고 무너뜨려버리는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야기의 첫 도입부는 '그러한 폭력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며, 그러한 살인사건 이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묻고 있고, 이야기의 마지막에는 좀더 직접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살인의 이유 또는 과정에 대한 주인공의 진술을 담고 있습니다. 한 신문과 명예욕에 사로잡힌 몇몇 기자에 의해 철저하게 자신의 명예를 짓밟힌 이가 할 수 있는 일은 어떤 것일까? 국가도 사회도 그리고 그녀의 이웃도 그러한 폭력에 대해서 아무런 힘이 되어주지 못했을 때, 주인공이 한 기자를 총으로 살해하고 스스로 자수하면서 아무 후회의 감정이 없었노라고, 그리고 자신이 사랑했던 사람 -괴텐-이 있는 곳으로 가고 싶다고 진술했다면 이 사건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 사건과 함께 일어난 동일 신문의 기자 살해사건을 해당 신문뿐 아니라 여타 다른 신문들은 일방적으로 '자기 직업의 희생자'라고 호들갑스럽게 떠들며 미화할 뿐 그러한 사건의 배경에 대해서 어떤 반성이나 부끄러움을 얘기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작가는 죽임당한 기자가 속한 신문집단에 의해 카타리나 블룸의 평범한 삶이 무참히 짓밟혔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고, 그에 덧붙여 살해당한 기자의 마지막 순간의 부적절한 행동-불룸의 아파트에 가서 노골적으로 치근대었던 행동-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물론 언론집단이 말하는 자신들의 직업의 고귀함에 봉사한 결과가 결코 아니라는 사실, 또는 사건의 전말을 찾아헤매다 사소(?)하게 실수한 부분-언론의 입장에서 오보에 대해 언론이 변명하는 식으로 말한다면-에 대한 복수라고 할 만한 것이 아닐수도 있다는 사실, 그 기자는 자신이 속한 집단이 매장시켰던 피해자의 아파트에 가서 아주 상스럽게 치근덕거리다가 결정적으로 죽임당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은연 중에 말하고 있습니다. 살해당한 기자는 기사를 통해서만 주인공의 명예를 짓밟은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마저 주인공의 인간성을 무시하고 짓밟으려고 했다는 사실을 통해서 언론권력의 뒤에 숨어 사는 자들의 허위와 가식까지도 이야기하고 싶어하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마 우리 사회도 그러한 폭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한 매우 비극적인 대답들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깝게는 서민들과 친근했던 한 대통령의 죽음과 연관해서 언론의 보이지 않는 폭력성을 우리는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다른 대통령을 끊임없이 빨갱이로 몰아가던 언론의 행태도 생각하게 됩니다. 또한 큰 사건이 터질때면 매번 피의자의 인권과 국민의 알 권리사이의 충돌이 일어나고, 어느 새 우리는 우리가 편한 쪽의 논리에 너무도 쉽게 넘어가버리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소설이 말하는 카타리나 블룸의 이야기는 크게 또는 아주 작게 우리 주변에서 매일 발생하는 비극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내가 언론이라는 권력에 속해 있지는 않더라도, 아무런 의식없이 언론이 던져주는 기사에 대한 단순한 동조자가 되는 순간, 언론과 똑같은 뻔뻔한 가해자가 될 수도 있음을 생각하게 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