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막 1장의 중간에 등장하는 햄릿의 독백 'To be or not to be, that is question.....'을 지금까지는 당연하게 '사는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있음이냐 없음이냐, 그것이 문제로다.'라고 번역하고 있다. 저자는 '<To be or not to be>가 <사느냐 죽느냐>를 포함하는 존재와 비존재를 대비시키고 있기 때문에, 또 이 독백이 살고 죽는 문제를 처음부터 단도직입적으로 명시하고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쉽고 모호하며 지극히 함축적인 일반론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그것을 생사의 선택으로 옮김은 미흡하다고 생각된다.'고 말하며 자신은 '원문의 뜻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순우리말 <있다>와 <없다>의 변형인 <있음이냐 없음이냐>로 번역하였고, 한자 개념으로 쓸 경우 <존재하는냐 마느냐> 정도가 될 것이다'고 말한다. 또 <살아 부지할 것인가, 죽어 없어질 것인가>, <과연 인생이란 살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 <삶이냐, 죽음이냐> 등의 다른 이들의 번역도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 모두가 이 독백에 담긴 햄릿의 갈등에 대한 세심한 고려후에 나온 것들일 것이고, 읽는 이로서도 이의 의미를 좀더 진지하게 고민하며 들여다보게 만드는 대목인 듯 하다. 아마도 이러한 부분도 고전을 읽는 즐거움 중 하나가 되지 않을는지..... 

 학교에서 배우게 되는 많은 명작들을 나이가 들어 새로이 읽노라면, 실제로는 본문을 읽고 스스로 느끼고 생각한 느낌이나 감상보다는, 과거의 학습을 통해서 미리 만들어진 감상의 틀속에서 읽고 있는 모습을 매번 느끼게 된다. 처음 배울 때, 배움과 책읽기가 함께 동반되었다면, 이런 우스꽝스러운 느낌은 없었을텐데, 나 역시 고스란히 우리 교육이 속성으로 찍어낸 붕어빵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아이에게 연극과 셰익스피어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서 어린이용 햄릿과 함께 읽을 수 있다면 한번 읽어보라는 의미에서 구입했던 이 책이 결국은 내손에 먼저 들려 읽히게 되었지만, 읽으면서 내용보다 먼저 앞서 달려가는 것은 햄릿의 우유부단함, 오필리아와의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마지막에는 햄릿과 레어티즈, 왕과 왕비까지 모두가 죽게 되는 비극을 넘어선 참혹함, 그리고 그들의 갈등 속에 자리잡았던 악행과 속임과 광기 등 교과서적으로 배웠던 내용들이고, 결국 그러한 선입견은 작품자체를 나의 방식대로 순전히 느끼고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고 만다. 아마도 그러한 방해를 극복하게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저자의  <To be or not to be>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각주와 같은 세심한 설명이나 아니면 조금더 여유를 가지고 각 배우들의 대사에 대해서 좀더 주의깊게 생각하며 읽어가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오랫만에 손에 든 <햄릿>이 많이 이야기를 내게 하기를 원하지만, 이번에는 <있음이냐 없음이냐,그것이 문제로다>라는 독백 속에 담긴 인간 존재에 대한 고뇌를 스스로 되뇌이는 것으로 만족하고 싶다. 다음에는 또 그때의 이야기가 내 가슴속에 남으리라는 기대와 함께..... 

- Frailty, thy name is woman. 약한 자여, 네 이름은 여자로다. (1막 2장) 

- 난 그저 북북서로 미쳤을 뿐이야. 바람이 남쪽으로 불면 뭐가 발인지 톱이지 분간할 수 있다고. (3막 3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