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페터 빅셀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다림과 외로움.... 이러한 시간들이 낭만이 될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던 듯 합니다. 물질적으로 그렇게 풍요롭지는 않았을지로도 마음에 여유가 있었고 삶에 여유가 있었던 때가 있었다는 기억입니다. 언제 어디서쯤엔가 잃어 버린줄도 모르고 내 삶에서 스르르 빠져나가버린 것들인데, 이제 와서 되돌아보니 내게도 기다림을 가슴에 새길 줄 알고, 외로움 또는 혼자있음을 스스로 즐길 줄 아는 시절이 분명 있었습니다..... 모두가 문명의 발전을 말하고 물질적인 풍요를 즐기는 이 시절에 저자는 다시 그러한 것들 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무엇이 있지 않느냐고 이 책을 통해 물어오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얻은 것들을 단순히 발전이나 진보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정말 한 사람의 존재로서 세상을 더 살만하게 해주던 어떤 것들을 포기한 댓가는 아닌가 하고 말입니다. '책상은 책상이다'라는 책에서 말하던 만큼의 현실에 대한 극단적인 비틀기는 아니지만 여전히 이 책을 통해서도 저자는 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 나의 삶에서 빠져나가버린 것들은 생각하게 만듭니다.   

  오지 않는 친구, 아니 이제는 다시 곁에 올 수 없는 친구를 기다리는 것, 지나가 버린 것들에 대한 향수, 그리고 미래를 쫒다 과거를 잃어 버린 친구에 대한 단상 등.... 저자가 말하는 이야기 속에서 인생에 켜켜히 쌓여가는 손때 묻은 시간들에 대한 그리움 또는 소중함에 대한 따스함이 느껴집니다. 또한 도주를 꿈꾸며 기차에 오르는 것, 조용히 술집에 앉아 다른 사람들의 소란함을 느끼는 것, 선술집에서 함께 텔리비젼 보기 등에서는 세상에 함께 휩쓸려 조용히 눈길을 보내고 바라보고 느끼며 살아가는 삶에 대한 소중함을 생각하게 만듭니다. 소통과 융화를 이야기하는 장면은 효율만을 앞세워서 사람들을 한쪽으로 몰아세우는 이 시대의 비인간적이고 폭력적인 면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을 하고 있기도 하고, 자신이 태어난 고향은 자신이 결정한다는 한 흑인 여성의 에피소드는 부모가 또는 누군가가 알려준 자신의 생일이나 고향에 매여 사는 우리 삶의 피상성에 대한 이야기로 들립니다.  

 내 삶에 시가, 그리고 사람의 목소리가 담긴 에세이들이 풍요로웠던 때가 있었습니다. 내 주위의 많은 사람들의 삶속에서도 시가 보이고 에세이들이 풍요롭게 담겨 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인가 내 삶속에서도 그들의 삶속에서도 그러한 것들이 사라지고 없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는 시간입니다. 미래만 바라보고, 문명의 이기가 가져다 주는 풍요로움과 깔끔함과 편리함 만을 누리다가 과거속에 묻힌 손때 묻은 시간의 소중한 흔적들을 잃어버리고, 결국은 그것들이 소중했다는 사실마저도 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는지, 내 삶의 과거를 만지작거리며 되새김질 할 수 있는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