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기독교의 비밀
바트 D. 에르만 지음, 박철현 옮김 / 이제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하나님의 역사인가? 사람들 사이의 투쟁과 쟁취의 역사일 뿐인가?' 초기 기독교의 성립과정에 담긴 사실들, 예를 들면 신약성경 27권의 정경으로서의 확정 과정과 여러 위서들의 등장과 그 배경, 여러 기독교 세력의 출현과 소멸, 상호 견제와 투쟁, 그리고 원기독교의 승리로 막을 내린 기독교의 초기 역사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이 책을 읽노라면, 저자의 말을 듣기 전에 먼저 기독교의 성립과정에 대한 여러 사실들을, 기독교 성립에 관여하신 하나님의 역사과정으로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여러 기독교 세력들이 정당성을 부여받고 세력을 확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더 나은 비젼이나 교리를 마련한 세력의 승리였을 뿐이라고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나름의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기독교 신앙을 배타적이라고 말하는 비기독교인들의 비판이 일견 타당해 보이기는 하지만, 기독교인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종교가 가르치는 가장 기본적인 교리 자체가 이미 그런 배타성을 품고 있는지라 서로 타협할 수 없는 것을 타협하자고 하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듯이 -물론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기독교의 배타성을 넘어선 사람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고, 또한 그러한 자세가 최소한 정통(?) 기독교가 말하는 신앙적 가치안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 책을 대하는 독자의 자세에 따라서 저자가 말하는 내용들이 천양지차의 간극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때문입니다.  

 저자의 기독교 초기 역사에 대한 접근법은 신앙이라는 관점보다는 인문학에서의 눈높이로 관찰하는 것입니다. 즉 신약성경 27권이 정경으로서 승인되는 과정, 에비온 파나 마르시온 파 그리고 영지주의자들이 이단적인 사상으로 몰리고 원정통 기독교가 정통으로서의 권위를 얻게 되는 과정, 승자로서의 원정통 기독교가 교리를 더 다듬고 논리적인 틀을 형성해 가면서 저지른(?) 것으로 생각되는 여러 논증이나 공격, 위조, 변조 등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저자는 원정통 기독교 나름의 그만한 세력과 권위를 얻을 만한 장점이 있었다는 인정을 해주기는 하지만, 순전히 세력과 세력의 다툼과 투쟁의 역사에서 승리한 결과로서의 기독교, 처음부터 정통성을 지닌 것이 아닌 단지 한 정파였을 뿐이지만 여러 방면에서 수완을 발휘하여 반대 정파들을 하나씩 제압해 나가는 과정에서 교리적으로 그리고 논리적으로 더 완벽한 틀을 만들어가는 승자로서의 역사가 현재의 기독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저자의 관점안에는 신앙으로서의 기독교, 하나님의 섭리를 믿는 기독교라는 관점은 당연히 배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신앙인으로서 이 책을 읽다가 발을 헛디디면, 자신의 종교와 믿음의 근본 바탕에 대한 시험의 순간이 다가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그러한 과정이 결코 무익한 것이 아니고, 그런 시간 뒤에는 좀더 깊이 있고 폭이 넓어진 신앙으로의 과정이 뒤따를 수도 있으리라는 점은 인정해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저자의 관점을 따라가며 숙고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앙적으로 하나님께서 관여하신 역사의 과정이라는 시각으로 다시 해석해 보는 노력이 필요하리라는 생각입니다.  

 이단과 정통 -초기 기독교의 역사에서는 저자의 말처럼 모든 것이 처음부터 이단인 것이 아니고 원정통 기독교가 권위을 획득하면서 그외 다른 정파들이 이단시 되었지만, 현재는 분명 교리에 비추어 보아 이단적인 정파들이 주위에 많습니다-에 대한 이해, 예수의 인도 고행설이나 막달라 마리아와 은밀한 관계였다는 낭설, 또는 예수가 동성애자였다는 이야기들의 출처와 그것들이 유통되게 된 기제에 대한 이해, 현재의 기독교 교리들에 대해 단순한 교리공부 이상의 의미를 알게 한 형성과정과 그러한 과정에 담긴 의미에 대한 더 깊이 있는 만남..... 이 책을 순전한 신앙인의 입장에서 본다면 너무 인본주의적인 관점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지만, 그래도 저자의 여러 자료를 통한 고찰과 주장을 통해서 배울 수 있었던 내용들입니다. 단순히 신앙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던 나의 종교를, 신앙을 배제한 사람들 사이의 투쟁과 성취의 과정을 담은 역사로서 대한다는 것은 조금 당혹스러운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미처 알지 못하거나 소홀히 했던 사실들, 또한 그러한 과정에 담긴 역사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신앙적인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자가 말하는 잃어버린 기독교들이란 신앙인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해 본다면 정당한 권위를 지닌 올바른 기독교의 성립을 위한 하나님의 연단과정이라고 할 수 있지는 않을는지..... 하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