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이별이 서툴다 - 죽음에 대한 어느 외과 의사의 아름다운 고백
폴린 첸 지음, 박완범 옮김 / 공존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일반인들이 얼마나 자주 다른 사람의 죽음을 대하게 될까요?..... 여기서 죽음을 대한다는 말의 의미가 조금 모호하기는 하지만, 죽은 사람의 조문을 위해서 상가에 가는 행동을 포함한다면 어느정도 나이가 든 사람에게는 일년에 몇 차례는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죽음에 대한 간접적인 대면을 제외하고, 오로지 죽어가는 과정을 지켜본다는 의미로 사용한다면 아마도 일년에 한 차례도 없었던 이들이 부지기수가 아닐는지..... 그러면 우리 사회에서 죽음의 과정을 가장 많이 대면하는 사람은 ..... 아이러니칼하게도 사람들의 병을 치료하고 살려보겠다고 하얀 가운을 입고 동분서주하는 의사들이겠지요. 요즈음 우리 사회의 임종의 많은 부분이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사망에 대한 판정 역시 대부분 의사들의 손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 생각할 때, 대부분의 죽음의 현장에는 의사들의 손길이 있다고 해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전통적인 의미에서는 의사들을 병을 치료하고 고쳐주는 사람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많은 사람들의 생의 마지막을 조용히 -냉정하게 또는 아무 감정의 흔들림 없이- 배웅해 주는 사람이라는 설명도 그럴 듯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 많은 의사들은 저자가 그랬던 것처럼, 의학에 입문하여 파릇파릇한 학생 시절을 거치고 직접 의료현장에 뛰어들기 전까지는 자신의 직업이 얼마나 많은 죽음과 대면해야 하는 것인지 실감하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의사가 아픈 환자를 치료하기도 하지만, 그 중에는 가망없는 환자들이 생기고 그들도 역시나 의사가 책임져줘야 할 사람이라는 사실을 깨닫기 전까지는 말입니다. 이 책은 바로 생명을 살리기 위한 현장에서 저자가 마주하게 되었던 그런 모순에 대한 혼란과 자책, 그리고 죽음을 인정하고 그 과정을 의사답게 품고 따뜻하게 환자의 마지막을 배웅할 수 있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담담하게, 하지만 읽는 이들에게는 감동스럽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많은 사람들은 멋지게 환자를 치료하고 수술을 해내는 것이 의사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치료와 완치라는 환상 너머에 있는, 어찌보면 의사의 입장에서는 치욕스러운 사실일 수도 있는 '치료 가망 없음'과 '죽음에 이르고 있음'이라는  딱지를 달게 되는 환자들에게 의사로서 해야 하고 해 줄 수 있는 일들이 훨씬 많다는 사실에 대한 자각의 과정을 담담하게 말하고 이있는 저자의 모습에서 하얀 가운을 걸친 이들의 말못할 고뇌의 한자락을 엿보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기술, 더 나은 치료법, 최신의 장비..... 아마 현대 의학의 발전과 떼어 놓을 수 없는 단어들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외침의 다른 편에는 의료의 탈인간화라는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분명 환자를 전인적인 위치에 놓기보다는 질병을 가진 객체로 놓고 질병을 타깃 삼아 치료를 시도한 현대 의학은 여러가지 면에서 혁혁한 전과를 올린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전과는 갈수록 의술의 적용이 더 많은 검사를 더 많은 장비에 의존해서 실시하는 것을 정당화 시키곤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한 경향에 물든 현대 의학이 갈수록 환자라는 한 사람의 인간은 철저히 외면하고, 객관적인 질병에 대한 치료과정의 정당성만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당당함은 언젠가는 한 인간이 이르게 될 '가망이 없거나 죽어가는 상태'에 이르러서는 많은 회의와 자책을 남기고, 의사들에게는 '기술적인 지식에 매료되고 파묻히는 데서 벗어나 (한 인간으로서 적절한) 마음가짐, 숙련된 솜씨, 행동 양식'을 배웠어야 함을 깨닫게 만들겠지요. 저자가 그랬던 것 처럼 말입니다. 다음은 저자가 그러한 상황에서 고통을 제거해 줄수 있는 가장 좋은 무기는 인간적인 교감이라며 인용한 하시브 아운의 글과 그런 상황에서 처한 의사들의 입장에 대한 저자 자신의 솔직함을 담은 글입니다.

 - "좋은 의사라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나는 '당신'이 이 병을 앓고 있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우리'는 함께 그것에 대처해 나갈 것입니다."..... 절망적이거나 고칠 수 없는 병에 걸린 환자에게 의사의 역할은 더없이 중요하다. 그래서 나는 치료 방법이 적은 환자일수록 의사가 신경을 더 많이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치료 방법이 없다면 고통 완화를 위해 해야 할 일이 더 많기 때문이다.  

 - 삶의 마지막에는 환자와 보호자들이 미련을 해소하고 해법을 찾으려는 욕구가 굉장히 강하다. 아파서 치료받을 때만큼 이런 감정이 잘 표출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더 적극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것은 이런 감정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러운 일이다. 지표는 곧 사랑의 징표이자 희망의 징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의사들조차 희망에 이끌려 시행한 치료에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 많은 의사들은 동료나 자신이 기술에 심취해 내린 진료 결정에서 비롯된 참담한 결과를 직접 목격하고 나서 스스로를 과잉 치료 때문에 절망에 빠진 환자처럼 여긴다. 만약 의사가 가망 없는 환자로 진단받는다면 자기 자신에게 과연 어떻게 할까? 의사들의 십중팔구는 생명 유지 요법을 제한하거나 거부한다. 따라서 이런 의사들은 진료 중단을 요구하는 환자의 의견을 당연히 들어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의사들은 법적인 문제에 휘말리는 것을 두려워하여 치료를 계속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낄 수 있다. 

 두번째 글에는 환자 보호자나 의사가 환자를 쉽게 보낼 수 없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기도 합니다. 특히 의사들이 가망이 없음을 직감하면서도 끝까지 매달리는 이유의 한 측면을 드러내 주는 글이기도 하구요. 하지만 결국 이러한 이유들은 삶이라는 한 측면에서만 환자를 바라 보았기에 생기는 문제점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이르게 됩니다. 그래서 더더욱 환자의 마지막 순간에 대한 배려(?)를 배운 저자의 마지막 글에 담긴 '나는 그들의 삶을 위해, 그리고 죽음을 위해서도 존재했다.' 는 문장이 눈에 들어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삶만이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죽음까지도 인정하고 배려할 수 있는 의사, 결국 그런 의사가 정말 좋은 의사라는 사실과 그것들에 대해서 더 많이 고민하고 씨름해야 한다는 사실을 하얀 가운을 걸친 모든 이들이 이제라도 알 수 있기를..... ks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