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다림". 아마도 책을 읽거나 연극을 통해서 이 이야기를 대하는 사람들이 서로 가장 공감할 수 있는 주제어가 아닐까 합니다. 물론 다른 많은 이해와 해석들이 있겠지만, 나무 한그루가 서있는 황량한 언덕의 시골길에서 삶의 무료함 -또는 무의미함, 불합리함 등-에 목을 매다는 것도 생각하고 그 곳을 멀리 떠나는 것도 생각하지만, '고도를 기다려야지'라는 말 한마디로 삶의 다른 가능성들이 모두 부정되는 두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삶을 보고 있노라면, 누구든 '기다림'이라는 단어 또는 의미에 눈길이 가고 마음이 머물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내가 누구를 기다린다'고 말을 할때면, 우리에게는 기다림의 대상에 대한 확실한 인식이 있고, 그러한 기다림에 딸린 확연한 의미에 대한 자각도 어느정도 명확할 것입니다. 누구를 기다리고 왜 기다리는지에 대한 어느 정도의 명확함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그러한 기다림의 대부분은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기한도 정해져 있기 나름이고, 막연한 기다림이라면 그러한 막연함의 이유에 대한 나름의 설명도 자신의 삶에 기록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점에서 이야기 속의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고도를 기다림'과 우리의 '기다림' 사이에는 서로 어울리지 못할 괴리감이 생성되는 듯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괴리감은 너무도 당연히 '저들이 기다리는 고도는 누구이고, 저들의 기다림이란 어떤 의미를 지닌 것일까?'라는 의문에 이르게 됩니다. 

 작가 베케트도 고도란 누구이며 무엇을 의미하느냐는 물음에 '내가 그걸 알았더라면 작품속에 썼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하니, '고도가 누구일까'라는 물음에는 그러한 물음을 던지는 사람들만큼이나 다양한 해석과 이해의 여지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별볼일 없어 보이는 삶을 사는 듯이 보이는 두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삶에 그들이 매번 그 장소에 돌아와서 서성거리고 있어야 할 이유와 의미가 되는 '고도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는 독자나 관객에게는 그들 나름의 '고도'에 대해서 한번쯤 되묻고 생각하게 만들것 같습니다. 두 주인공 보다는 더 의미있는 곳에서 의미있게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독자나 관객이더라도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고도'만큼이나 막연하고 추상적인 기다림의 대상이 자신의 삶을 점령하고 이끌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리고 조금더 나아간다면 기다리는 시간에 담긴 무료함과 공허함, 무의미함 등을 공허한 말과 의미없는 행동으로 메꾸며 시간을 흘러보내는 두 주인공의 삶보다는 더 의미있는 삶을 살고 있다는 독자의 의식 한구석에 '정말로 내 삶이 저들보다 더 의미가 있는 것일까'라는 의문의 싹을 키우고, 결국에는 '그럼 갈까?' (블라디미르), '가자' (에스트라공)라고 하면서도 <둘은 그러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결말처럼, 조금 달라 보였지만 동일한 삶의 공간을 오가며 갈곳을 몰라하는 주인공들처럼 우리의 삶의 모습도 거기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음을 느끼게 되는 것은 아닐는지..... 

  까뮈는 그의 저서 <시지프의 신화>에서, 신들에게서 바위를 산꼭대기에 운반하는 형벌을 받은 시지프가 산꼭대기에 도달하면 굴러 떨어지는 바위를 되풀이하여 다시 산꼭대기로 밀어 올리는 모습을 통해서, 무익하고 희망이 없는 삶 또는 노동이라는 신들의 가혹한 형벌에 반항하는 인간의 모습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인간 삶의 부조리함과 그에 대한 반항, 그리고 그 안에서 발견하는 인간존재에 대한 긍정..... <시지프의 신화>에 담긴 목소리를 이 책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다시 발견하게 되는 것은 '부조리'라는 용어로 연결된 두 책에 대한 해설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삶은 시지프의 삶보다 더 하찮고, 무의미하게 해체된 인간, 신에게 반항하는 위대한 존재가 아닌 신이 정해진 울타리 안에서 그것을 느끼지도 못하는 인간의 모습을 느끼게 만듭니다. 그리고 그러한 부조리한 삶속에 갇혀 있지만, 기다림을 멈추지 않고 오늘과 내일 그리고 그 다음날들을 채워가는 두 주인공의 삶의 시간 속에는 시지프의 모습이 담고 있는 것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묻게 됩니다. 시지프처럼 위대하고 용감해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의 삶과 훨씬 닮은, 아니 우리보다 훨씬 더 공허함 속에 처해 있으면서도 여전히 자신들에게 주어진 기다림을 마다하지 않는, 그리고 자신들의 삶을 마다하지 않는 그들의 모습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우리 삶에 가득한 공허함과 부조리함에 대한 지적이자 거기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각을 위한 일깨움은 아닐는지..... 내일도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여전히 그 황량한 언덕의 시골길에서 고도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고, 시지프는 여전히 산위로 바위를 밀어 올리고 있을 것이고.....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 여전한 모습으로 감당하며 살아가고 있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