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바지 세상을 점령하다 - TBWA KOREA가 청바지를 분석하다
TBWA KOREA 지음 / 알마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시대와 문화의 코드로서의 청바지..... 실용과 노동, 반항과 일탈, 자유와 해방.....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청바지에 대한 이야기 속에 담겨 있던 용어들입니다. 시골에 살았던 내 어머니나 아버지와 같은 이들을 제외한다면, 아마도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청바지 하나 가지지 않은 이가 드물거라는 생각에 누구나 동의하지 않을는지..... 그래서 이 책은 청바지가 세상을 점령했다고 선포할 수 있는 것이겠지요. 누군가 기발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세상에 팔린 청바지로 지구를 몇번 포장할 수 있다느니, 청바지를 쌓아 올린다면 에베레스트 산의 몇배가 된다느니 하는 엉뚱한 상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아쉽게도 이 책에는 그런 엉뚱함까지는 담겨 있지 않습니다.^^ 

 미국의 개척 시대에 사용되던 천막의 천에서 시작되었다는 청바지, 분명 초창기에는 그 튼튼함과 견고함이 곧 생명력의 원천이었을 청바지의 시작에서 출발하여, 여러 실용적인 변화와 컨베이어벨트로 대변되는 대량생산의 시대를 거치고, 두 번의 세계대전을 통해서 전세계로 퍼져가는 과정, 자유와 저항이라는 상징을 담게되고, 그 한계를 넘어서 넥타이와 동등해지고 하이힐과 어울리는 코드로의 발전, 그리고 하나의 패션 코드로서 입는 이들을 구속하고 선택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게 된 청바지의 사회문화적인 변화에 대한 감각적인 내용들.....이 바로 이 책속에 담겨 있는 알맹이입니다. 책의 처음을 여는 글에 담겨 있는 '프래그머티즘에서 팍스아메리카나로, 제임스 딘에서 양희은으로, 노동에서 여가로, 미국에서 세계로, 실용에서 사치로, 마초에서 페미닌으로, 해방에서 구속으로, 변방에서 중심으로, 대량 생산에서 수제로.....'라는 부분이 아마도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청바지의 사회문화사를 가장 잘 압축해 놓은 부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광고회사 TBWA KOREA의 일곱 신입사원들에게 주어진 "청바지를 읽어라!"는 요구에 주어진 현답들. 이 책의 내용에 대한 또 다른 측면에서의 설명입니다. 전문적인 작가나 노련한 디자이너가 아닌 세상에 갓 나서는 풋풋한 젊음이 읽어낸 청바지에 대한 기록..... 책의 내용속에는 분명 그들이 풋풋하지만 넘치는 열정으로 도전한 청바지를 통한 세상읽기가 담겨 있습니다. 젊음이 그대로 묻어있는 멋진 글들..... 아마 이리 그들에게 찬사를 보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먼저 합니다. 

 하지만..... 

 멋진 글들이라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감각적이고 현란한 글 속에 뭔가 허전함이 남는 것도 사실입니다. 일방적인 청바지에 대한 헌사나 정의, 자리매김 등을 보면서, 저자 자신들의 생각과 열정과 결론만이 너무 앞서 간 것은 아니었는지라는 생각이 묻어나기도 합니다..... 사회문화적인 코드로서의 청바지 읽기라는 사실이나 광고회사의 신입사원에게 주어졌던 문제라는 부분을 알면서도 거는 딴지라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독자들에게 한 권의 어엿한 책으로 나서서 조우하기를 바란 것이기에 이렇게 묻고 싶어집니다. '정말로 청바지가 세상을 점령했을까?'..... 세상을 점령한 것은 청바지가 아니라 그 뒤에 숨어있는 자본과 상술이고, 100년이고 200년이고 뒤에도 여전히 청바지가 살아남아 있다면 그 또한 자본과 상술에 여전히 봉사할 가치가 있어서일 것이고, 그러한 과정에서 이용당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단순함 또는 어리석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닐는지..... 냉소적으로 한꺼풀을 더 들여다본다면 결국 그리 말해야 하는 것이 더 옳은 것이라는 생각을 떨치기가 어렵습니다. 거기까지 가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 아니라고 한다면 할말이 없겠지만, 멋지고 화려하게 포장된 그리고 청바지의 삶을 감각적으로 따라간 글들을 떠올리면서 또 한편의 멋진 광고 한편을 읽은 것은 아니었는지 내 자신에게 되물어봅니다. 맥도널드 햄버거나 스타벅스 커피, 코카콜라 자체가 진정으로 세상을 지배한 것이 아니듯이 청바지 자체가 이 세상을 진정으로 점령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그리 한 번 되묻고 싶을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