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암소들의 여름
아르토 파실린나 지음, 정현규 옮김 / 쿠오레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이야기를 다 읽은 후에, 그리고 아직까지도 제목이 의미하는 바를 곱씹어 보지만, 도통 그 의미를 유추해 낼 수가 없습니다. 어떤 의미로 제목에 '웃는 암소들'이라는 표현이 들어갔는지..... 여름이라는 단어는 이야기의 배경이 여름철이니 이해가 가지만, 웃는 암소들이라는 말이 누구를 지칭하는지 알길이 없습니다. 10마리의 목장에서 키우던 소가 나오기는 하지만, 주인공들에게 모두 죽임을 당하여 고깃덩어리와 소시지 등으로 분리가 되니, 제목하고는 관련시킬 수 없을 듯하고, 아마도 정상인이 보기에는 정신없이 이야기속을 헤매는 주인공들과 등장인물들을 말하는 듯하기는 하나, 왜 하필이면 암소란 표현을 썼는지는 아직까지도 모를 일입니다. 왜 그런 제목을 붙인 것일까나.....

 만남과 여행 또는 방황, 재회와 파괴, 그리고 자유와 이별, 새로운 출발.... 이러한 단어들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들에 대한 짧은 단상을 제공하는 것들입니다. 대단한 사랑 이야기도, 열정이 담긴 성공 이야기도, 세상을 구하는 영웅 이야기는 더더구나 아니지만, 단순한 듯 하면서도 복잡하게 얽혀서 진행되는 등장인물들의 삶은 이내 우리의 삶이란 것이 그런 것이지 않겠는가 하는 동의를 하게 만드는 구석이 있습니다. 드라마나 소설 또는 영화 속의 장면들처럼 대단한 것들을 만끽하며 살고 싶어하는 것이 허영심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이라는 존재의 속성이겠지만, 이 이야기는 다른 한편의 인간 현실이랄 수 있는 지극히 단조롭고 나약한 그리고 때로는 고약하거나 친근하기도 한 사람이라는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치매로 자신의 존재에 대한 망각과 현실 사이를 오가는 타베티 뤼트쾨넨과 평범한 택시 운전사 세포 소르요넨의 만남으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곧이어 말도 안되는 목적지를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달리는 택시여행으로 이어집니다. 과거를 돌이켜본다면 그저 그런 치매에 걸린 노인이라기 보다는, 독일군과의 세계대전에서 전차병으로 전장을 누빈 전쟁 용사요 저명한 측량위원으로서의 경력을 지녔고, 현실속에서도 가끔씩 그러한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하지만 결국 냉정한 현실은 치매에 걸린 불쌍한 존재일뿐인 뤼트쾨넨에 대한 동반자이자 보호자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게 되는 소르요넨의 자발적인 도움이 이야기의 시작이자 중간이고 마지막까지 이어지는 커다란 줄기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가운데 끼어드는 여러가지 에피소드와 뤼트쾨넨의 전쟁동료인 농부 하이키 매키탈로와의 만남과 창조에 반하는 농장의 철저한 파괴, 그러한 파괴적인 행동에 칭찬과 경애를 보내는 당국에서 나온 사람들의 아이러니한 행동, 농장을 파괴하는 과정에서 습지로 내몰린 소들과 파괴된 농장에 대한 당국자들의 뒷처리 후에 시작되는 살아있는 소들에 대한 사냥..... 호숫가의 수송선 위에 텐트를 치고 10마리의 소들을 사냥하며 여름을 나는 주인공들과 굶주림에 채식이라는 자신들의 이상을 내팽개치고 음식을 택한 프랑스의 여자들..... 이 모든 만남과 여행 그리고 일탈 후에는 이들에게 훨씬 더 정상적인 삶을 위한 이별과 만남, 그리고 새로운 출발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프랑스 여자들을 떠났고, 매키탈로 부부는 친척집으로 가고, 뤼트쾨넨은 실버타운의 새 집에 보금자리를 틀었고, 소르요넨은 여자 친구 이르멜리 로이카넨과 결혼하여 새로운 가정을 꾸밉니다. 하지만 정상으로 돌아온 이들의 일상의 구석구석에는 아직도 망각과 파괴의 쾌활한 그림자들이 너울거리는 것이 보입니다.....

 망각에 빠진 노인과 순진한 청년, 사회에 대한 반항과 자신이 이룬 것에 대한 파괴 욕구를 실현한 농부, 그리고 극단적인 채식주의자였던 프랑스 여자들과 호텔에서 굶주림을 달래며 비밀스럽게 측량을 하던 알바니아와 보스니아 측량팀..... 이들의 삶을 함께 엮은 이 소설은 현실적이지도, 그럴 듯하지도, 즐겁기만 한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조금 더 음미하다보면, 현실보다 훨씬 현실적인 듯하고, 그럴듯하고, 음울하지만 즐겁기도 한 이야기라는 생각을 들게 하는 면이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보다는 그러한 현실에 대해 상상을 덧붙이고, 이리저리 부풀리고 삐딱하게 들여다 보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는 존재의 속성으로 인한 것이겠고, 그러한 연유로 저자가 소설속에서 보인 망각과 파괴의 과정 뒤에 남는 것들은 오롯이 마지막 책장을 덮은 독자들의 몫이겠지요..... 웃음, 침묵, 음울, 자유, 무시, 반항, 분노, 허탈, 수용, 포용 .....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