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신 파랑새 사과문고 64
김소연 지음, 김동성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그림에 나오는 소녀의 옷차림새를 보면서부터 무언가 색다른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뒤로는 탑과 건물, 그리고 기다란 돌담과 그 너머에는 가지에 흰눈이 쌓인 나무들이 보입니다. 눈 쌓인 너른 마당에는, 화려하다기 보다는 곱다는 말이 더 어울리는 소녀가 맑은 눈망울에서 곧 눈물이라도 줄줄 흘려버릴 듯한 애처러움을 얼굴 표정에 가득 담고 서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가 시간을 거슬러 역사속을 헤치고 지나간다면, 그 시간들 속 어디에선가 만날 우리의 누이나 어머니, 또는 할머니의 어릴적 모습이겠지요. 작가는 이 책속에 담긴 세가지 이야기 -꽃신, 방물고리, 다홍치마-를 조선시대의 역사 속에서 가지고 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기묘사화와 보부상, 그리고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실학자 정약용에 대한 일화가 직접적인 모티브가 되었고, 이러한 소재에 작가 고유의 감각과 상상으로 그려낸 이야기들이 이 책에 담긴 세 편의 동화라고 합니다. 한 번, 두 번 그리고 세 번의 겨울을 지나는 산고 끝에 이 동화들이 세상에 나왔고, 각각의 이야기는 그러한 긴 인내의 시간에 농익은 보물 하나씩을 지니고 있다고 말합니다. 바로 제목이 되는 것들 -꽃신, 방물고리, 다홍치마-이 이야기속 주인공들에게는 귀한 보물인데, 주인공들이 세상을 향해 마음을 열고 발걸음을 내딪는 바탕이 되어주고 있다는 의미에서라고 합니다. 즉 마음이 자라고 키가 자라고 세상을 대하는 눈이 자라는 그러한 보물이라는 의미에서 말입니다.  

 <꽃신>은 집안이 순식간에 역모에 휩싸여 유모와 함께 절에 머물게 된 소녀와 전염병으로 부모를 잃고 거칠게 자라고 있는 소녀 사이의 이야기입니다. 대감집 따님으로서 따스한 버선과 귀한 꽃신을 당연한 것을 여겼을 소녀와 부모를 잃고 무엇이든 먹을 것이 있고 걸칠 옷이 있고 누울 곳이 있다면 그것으로 만족하는 소녀, 그래서 한 겨울에 짚신만을 발에 걸치고 활동할 수 있는 것으로도 부족하다하지 않는 소녀, 두 소녀가 살아온 삶의 귀천이나 양과 음의 차이는 이리 뭐라 말할 수 없을만큼 크지만, 결국 둘의 마음이 통하고 이해하고 서로를 존중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이내 그러한 차이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버립니다. 단지 서로를 이해하고 마음 속에 담긴 아픔의 깊이를 잠시 가늠하고 나누는 것으로, 그리고 마주 보며 빙그레 웃을 수 있는 것만으로 두 사람은 이미 서로에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물을 나누었습니다. <방물고리>는 병든 홀어머니와 함께 주어진 삶을 억척같이 살아내는 소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억척같다는 의미는 난폭하다거나 거칠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다부지다는 의미에서의 표현입니다. 병든 어머니의 병간호와 약값을 위해 직접 시장에 나가 달걀을 팔고 닭을 파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 소녀, 어렵게 마련한 돼지를 키우고 새끼를 내어서 어머니 병을 고치고자 하는 소녀에게 닥치는 삶의 현실은 그리 만만치가 않습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게 되고, 친척이라는 사람들은 소녀에게 아무 도움도 되질 않습니다. 오히려 변변치 못한 재산마저 가로채고 소녀를 낯선 곳에 시집보내려고나 하니 말입니다. 그런 소녀에게 등기댈 곳이 되어주는 이는 장터와 주막에서 부딪히곤 하던 보부상 아저씨와 그를 따르던 청년입니다. 자신들의 삶의 애처러움만큼 소녀의 삶의 애처러움에 마음을 열고 받아들인 연유에서겠지요. 소녀는 자신의 돼지들을 팔아서 방물고리를 마련하고 보부상을 따라 나섭니다. 새로운 삶을 향해서 말입니다. <다홍치마>는 천주교도라는 이유로 귀양살이에 처해진 올곧은 선비와 도망친 종을 아버지로 둔 화전민 소년의 이야기입니다. 종살이를 하면서 주인으로부터의 정당하지 못한 폭력에 인생이 일그러진 아버지의 이야기와 신분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부잣집 아들의 화풀이 상대가 된 경험으로 인한 양반에 대한 적대감이 가득한 소년에게 귀양살이에 처해진 선비는 그러한 일그러진 인간관계가 아닌 참다운 사람과 사람으로서의 관계에 대한 진한 일깨움을 선사합니다. 사람이 사람에게 중요하고 귀하다는 것이 무엇이고, 또한 그런 관계를 표현하고 가꾸어 간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깊이 생각하게 해주는 내용입니다.  

 세 편의 이야기에는 하나같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아름다운 마음들이 담겨 있습니다. 어려움에 처하고, 아픔에 마음 속마저 생채기 자국이 선명한 사람들에게 결국 그 상처를 치료하고 이겨내게 하는 것은 상처를 냈던 사람들과 똑같은, 사람들의 따뜻한 손길이라는 이야기도 함께 들려주고 있습니다. 욕심과 이기심에 못이겨 다른 사람을 대하면 그것이 곧 날선 칼을 휘둘러 상처를 내는 일이고, 한걸음 물러서서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손내밀어 아픈 상처를 치유할 만한 귀한 보물을 모두의 가슴속에 품고 있는 것이라는 사실말입니다. 꽃신을 신고 세상으로 나서는 신예, 방물고리를 당당히 이고 보부상을 따라나서는 덕님이, 그리고 다홍치마를 봇짐에 꾸리고 다시금 북쪽으로 길을 나서는 큰돌이..... 또한 꽃신을 만들어서 신예에게 전해준 달이, 덕님이를 도와 방물고리를 마련해 주고 챙겨주는 보부상 김 행수와 홍석이, 큰돌이에게 사람의 큰 모습을, 스승의 참모습을 보여준 선비..... 이들이 바로 우리의 조상이었고 부모였고, 형제 자매였으며 이웃과 친구들이었다는 사실을, 그리고 바로 지금의 우리 자신이라는 사실을 작가는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이 책을 읽을 이들..... 그리고 우리의 아이들이 알고 배우기를 바라면서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