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밖의 경제학 - 이제 상식에 기초한 경제학은 버려라!
댄 애리얼리 지음, 장석훈 옮김 / 청림출판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행동경제학... 정통 경제학이 말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벗어난, 많은 사람들의 소비행태를 설명해 내는 훌륭한 도구의 하나로 생각되어온 행동경제학이 이제는 낯설지 않은 친숙함으로 다가와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꼭 행동경제학이라는 영역이 아니더라도, <괴짜 경제학>이나 <경제학 콘서트> 등을 통해서 인간의 다양한 행위 안에 담긴 경제학적인 의미를 들을 수 있었던 즐거움이 아마도 일반인이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게 씌여진 이러한 책들에 관심을 키우는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습니다. 덧붙여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나의 삶이 꼭 경제학적인 의미의 합리성을 갖추게 된다는 보장은 없더라도 세상을 조금 더 그럴 듯하게 이해하게 되었다는 뿌듯함은 이러한 경제학 서적을 읽은 후의 일반적인 감정이었다는 기억입니다. 이 책은 저자가 생각하는 인간의 많은 비이성적인 면에 대한 행동경제학적인 연구와 해석의 결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전의 행동 경제학에 관한 내용을 담은 책들에 있었던 흥미로운 내용들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부분도 있었지만, 어려운 용어로 이해해야만 했던 내용들을 이 책에서는 일반인들도 이해할 수 있는 설명과 해석들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책들보다 우리에게 한발짝 더 다가서 있는 책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됩니다.

 '인간이란 완벽함과는 거리가 멀다', 특히 정통경제학에서 말하는 인간과는 너무도 큰 차이가 있다. 완벽하게 합리적인 인간이라는 경제학의 가설에 구멍이 뚫린 자리에서 행동경제학이라는 싹이 자라나기 시작했는데,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정통경제학에서의 가설과는 다르게,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이라고 생각되는 구체적인 것들에 대해서, 행동경제학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이야기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인간의 비이성적인 행동이나 선택에 대한 증명은 단순한 가설이 아닌 잘 꾸며진 실험의 과정과 해석을 통해서 도출된 것이고, 반복해서 증명된 내용들도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조건하에서 실시한 실험들이지만, 저자의 주장대로 우리의 다양한 일상적인 모습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 내용들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제까지 많은 책들이 그러한 이성적이지 못한 면에 대한 지적과 재현으로 내용을 끝맺고 있지만, 이 책에서는 그러한 비이성적인 인간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그러한 특성은 예측이 가능하고, 같은 방식으로 거듭 반복되는 것이므로, 그러한 것들에 대한 바른 예측을 할 수 있다면 결국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많은 선택들을 바로잡고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더 나은 삶에로의 희망을 가질 수 있다는 한발짝 더 나아간 행동경제학의 모습을 실감있게 느낄 수가 있습니다.

 저자는 13가지의 주제를 통해서 비이성적인 인간, 비합리적인 인간의 행동과 선택에 대한 실험과 결과 그러한 것이 의미하는 것에 대한 해석과 설명으로 하나하나의 주제를 엮어가고 있습니다. 비교를 통한 선택이 가져오는 교묘한 함정, 첫인상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얽매이게 되는 사람의 뇌, 공짜에 수도 없이 휘둘리는 흔들리는 마음, 돈으로 해결되지 않는 가치들에 대한 제고, 인간안의 두 마음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의 실험을 통한 실제 모습, 해야 할 것들을 미루기로 인한 악순환의 고리, 추억이라는 것의 가치가 끼어들거나 내 것이라는 착각이 끼어들었을 때의 어처구니 없음, 모든 것을 얻으려고 어느 하나도 포기하지 못하는 욕심꾸러기 인간, 고정관념에 얽매인 반응과 판단, 약이나 수술에 의한 효과가 아닌 플라시보 효과의 경제학, 환경과 기회가 주어졌을 때마다 달라지는 우리의 정직함에 대한 자세, 돈으로는 안되지만 물건이면 과감해지는 인간의 부정행위에 대한 심리, 공짜 점심은 없다지만 모두가 공짜 점심을 짜릿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저자는 단순히 인간은 비합리적이고 비이성적이다는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그러한 것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우리 스스로를 더 잘 알수 있고, 이성적이 못하지만 그러한 행동이 우발적이라거나 막연한 것이 아닌 예측 가능한 것이고 우리 뇌는 똑같은 형태의 실수를 거듭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그 다음에는 다시 희망을 담은 합리성에 대한 가능성을 이야기 할 수 있다는 것, 아마도 이것이 저자가 정말로 말하고, 찾아가고자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