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부패사건에 휘말리다 - 조말생 뇌물사건의 재구성
서정민 지음 / 살림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현대의 누군가가 세종대왕에 대해서 생각한다면 바로 역사에 남은 성군으로서의 세종의 이미지가 될 것입니다. 그가 이룬 업적과 그가 남긴 유물들 그리고 누가 뭐래도 가장 눈부신 훈민정음을 만들어 냈다는 찬사와 함께 우리 민족에게 남겨진 세종에 대한 기억과 기록들은 많은 면에서 우리에게 본받고자 하는, 그리고 존경을 표하게 만드는 절대적인 면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가끔씩 호수에 돌멩이를 던지듯, 그에 대한 몇몇 시비거리를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들을 거들떠 보려고도 하지 않겠지요. 다방면에 걸쳐 그가 남긴 업적들이 너무도 대단한 것들이기에..... 금년 들어서 세종대왕을 주인공으로 한 사극이 방영되기 시작하면서 다방면에서 그를 조명하는 책들을 대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습니다. 세종실록등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들에서 부터 시작하여, 우리 생활의 여러 방면에서 그의 삶과 업적들을 들여다 보고 배우고자하는 책들도 보이구요. 하지만 이런책들 역시나 대부분 역사에 기록된 성군으로서의 세종대왕에 대한 이미지를 간직한 채 그의 일생을 살펴보고 배울거리를 찾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물론 이 책도 결론적으로 그런 세종대왕에 대한 이미지를 품고 있습니다. 조말생이라는 고위관료가 사형에 상응하는 뇌물을 챙기고 권력을 남용하였지만, 끝까지 그를 감싸고 다시 복직시켜 관직에 중용한 것은 세종의 개인적인 친분이나 선왕 태종의 충신이었다는 사적인 감정에서가 아닌, 능력있는 관료를 필요로한 세종이 그의 능력의 쓰임새를  미리 헤아려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인사정책으로 나라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하였다는 해석을 내리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그러한 결론에 이르기까지 저자가 살피는 사건의 기록속에는 세종과 당시 관료들 사이의 감정이 뒤틀리고, 관료들이 전원 사직을 고할만큼 치열한 법적인 그리고 현실적인 논쟁이 담겨 있습니다. 관료사회에 모범과 경고, 그리고 이제 기틀을 잡아가는 조선사회의 안정을 위해 법에 따라 당연히 사형을 시켜야 한다는 법치를 내세우는 관료들의 원칙론에 정치적인 그리고 군사적인 경험과 능력을 가진 인재가 필요한 리더로서의 세종의 현실적인 필요가 강하게 대립하는 모양새인데, 여기서 여러가지 것들을 생각해 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당시 현실 정치속의 세종은 여러면에서 자질을 가진 훌륭한 임금이기는 했겠지만,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성군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현실정치속에서 균형 감각을 유지하며 매순간순간 선택을 내려야하는 리더였고, 또한 국가의 장래까지도 크게 그리고 자신의 정책을 조율해 나가야 하는 현실 정치인의 모습이었습니다. 물론 그가 대하는 신하들도 다양한 개성과 의견을 지닌 이들이었고, 조말생처럼 선왕 태종때부터 국가에 봉사하고 있는 경험있는 원로대신들과 대쪽같은 절개를 지닌 젊은 선비들이 함께 뒤섞여 있었겠지요. 그리고 이 책이 말하고 있는 조말생 뇌물사건은 그러한 현실속에 발생한 자신의 원대한 계획과 다양한 신하들의 요구를 조율하고 이끌어가는 리더와 대의와 명분을 지키기 위해 직언을 서슴치 않는 신하들간의 어떤 선택이 최선인가에 대한 치열한 논쟁의 기록이라고 하겠습니다. 물론 신하들은 법을 따르는 것이 최선이라는 입장이고, 세종의 입장은 부패척결도 중요하지만 능력있는 인재의 능력이 요구되는 시대라는 현실적인 필요를 무시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제한된 인재풀 속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능력을 지녔다고 판단되는 인재에 대한 선택으로 결과적으로는 대의명분을 살리는 것보다 더 귀중한 열매를 맺게 한 리더의 의지와 결단이 돋보이는 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였다고 하더라도, 결코 관리의 부패척결이라는 대의 명분을 위해 간언하는 신하들을 잘못되었다고 내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정치력안에서  녹아들게 만드는 부분도 또한 세종의 능력이었다는 생각입니다. 결국 이러한 현실정치속에서의 결단과 능력이 쌓여서 우리가 지금 느끼는 성군 세종의 이미지가 형성되었겠지요.

  조말생 사건을 통해 파헤쳐보는 세종의 모습은 리더는 어떠해야 하는지, 그리고 우리 사회가 리더의 리더십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정해 주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한가지 모범을 주는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선택의 순간에는 옳고 그름이나 결과의 호불호를 판단할 수 없지만, 세종조의 신하들이나 세종대왕 모두 조선이라는 나라의 안위와 번영을 위한 대의명분과 현실적인 필요를 위해서 치열한 논쟁을 벌였듯이, 우리에게도 그러한 자세가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하겠지요. 현실감각을 잃지않고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리더와 조말생을 파직하든지 우리를 파직하든지 하라는 직언을 두려워하지 않은 신하들처럼 사심을 버리고 원칙에 입각하여 잘잘못을 말할 수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러한 가운데 논쟁을 거쳐 뜻을 합하고 일을 이루는 선순환이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사회에서 가장 먼저 요구되는 덕성은 상호이해와 존중이 아닐까 합니다. 매번 반복되는 정치권의 밑도 끝도 없는 의혹과 말싸움이나 지역주의나 이념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열매없는 논란으로 시간을 지새울 것이 아니고 말입니다. 아마도 자신의 조말생 구제방침에 들고 일어나서 직언을 마다하지 않는 신하들을 보며 세종은 융성해가는 조선의 국운을 한껏 느꼈을지도 모른다는 엉뚱한(?) 생각도 하게 됩니다. 감히 "신으로 하여금 이 직책에 있게 하시려면 말생을 내치시고, 말생으로 하여금 재상의 반열에 있게 하시려면 신을 파면하옵소서."라고 직언을 할 수 있는 신하를 둔 세종과 그러한 신하들을 감싸안고 역사를 이루어갈 수 있는 그릇이 된 임금을 둔 신하들 모두 자신의 직무에 충실한 이들이었고 또한 행복한 이들이지 않았을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