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타리를 넘어서 베틀북 창작동화 7
황선미 지음, 한병호 그림 / 베틀북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아이들과 함께 자주 책을 읽는 편입니다.-지금은 아이들이 혼자 볼 수 있는 나이인지라 직접 읽어주는 것은 아닙니다-. 재미가 있는 책보다는 내용이 있는 -나름대로 읽을 가치가 있다거나 의미가 있는 또는 세상살이에 대한 따뜻함이 담긴 등등의 의미에서- 책들을 아이들에게 많이 읽도록 강요(?) 하는 편이구요. 한데 그런 책들의 대부분은 어른인 내가 먼저 감동을 받거나 세상살이의 깨달음을 얻는 것들입니다. 그런 책들을 대할때면 매번 '아이들 책이 단순하기는 하지만 더 진한 감동과 인간미가 넘쳐흐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곤 하지요. 그런 감상이 나의 단순함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지만, 스스로를 들여다보며 느끼는 어른들의 가식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겠지요.

 이 책에는 네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시골로 전학을 가야하는 단짝이던 친구와 서먹해진 관계를 다룬 <코딱지만한 괴물>, 김네티라는 삽살개를 통해 세상을 살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이고, 서로 존중하며 사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게 하는 <울타리를 넘어서>, 새로 이사간 동네에서 만난 낯선 아이를 통해서 알아가는 서로 다르다는 것의 의미와 친구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앵초의 노란 집>, 닫힌 마음을 열고 다가서면 세상을 얼마나 아름답고 살만한 곳으로 가꿀 수 있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괭이 할아버지>. 각각의 이야기는 아이와 아이사이, 사람과 동물사이, 아이와 어른사이, 가진 사람과 가난한 사람 사이의 마음의 울타리와 그것이 현실의 벽으로 표현되는 갈등과 다툼과 두려움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리 견고해 보이던 울타리라는 것이, 어떤 계기를 통해서 마음을 열고 그 너머를 바라보게 되면 너무도 쉽게 마음의 벽이 허물어지고, 뒤이어 현실의 벽도 사라져버리는 따뜻한 결말로 이야기를 마치고 있습니다. 잠시나마 현실에서의 그런 모습에 대한 기대와 소망이, 그래서 세상이라는 것이 살만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결국 우리가 생각하는 마음의 벽이나 울타리라는 것이 그리 대단한 것들이 아니라는, 열리지 못하고 나만을 먼저 생각하는 이기적인 마음가짐으로 인한 것 뿐이라는 것, 그리고 우리가 서로 이웃이 되고 친구가 된다는 것은 마음에 쳐진 울타리를 살짝 젖히고 그 너머를 관심있게 보아주는 것이라는 사실이 저자가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어하는 메시지일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이 책도 내가 먼저 읽고 아이들에게 읽도록 강하게(?) 권한 책이었습니다. 자라는 나의 아이들이 읽을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였으니까요. 모두 함께사는 세상, 그 안의 한사람 한사람에게 막힌 부질없는 울타리들이 작가가 들려준 이야기들에서처럼 서로에 대한 따뜻한 관심속에 무너져 내려, 포근한 소통의 통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