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프롤로그에 언급된 <핑크대왕 퍼시>의 이야기는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동화인 듯합니다. '핑크색을 좋아해서 자신의 왕국을 온통 핑크색으로 칠해대던 퍼시에게 파란 하늘만은 어찌할 수 없는 곳이었는데...... 그 해결책은 핑크색 안경알이었고, 그로 인해 고통스럽게 당하던 왕국의 사람들이 핑크색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는 간단한 이야기 속에 세상을 관통하는 통찰력 있는 지혜가 숨어있었습니다. 물론 심리학자의 눈으로 해석하였기에 그러한 이야기 속의 통찰력이 세상에서 빛을 보게 되었겠지요.^^

 저자가 말하는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리고 프레임이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어떤 프레임으로 세상을 사느냐에 따라서 생기는 결과가 결정적으로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일깨우고 있습니다. '기도중에 담배를 피워도 될까?'와 '담배를 피우는 중에 기도를 하면 안될까?'라는 질문에 대한 정반대되는 답변이 얻어지고, 작은 월급에도 '지구의 한 모퉁이를 청소하고 있다'는 자부심에 기꺼이 자신의 일을 즐길 수 있는 청소부가 되고, 장기기증을 하기 위해서는 장기기증 동의서를 작성해야 되는 나라의 경우와  장기기증이 당연시 되고 자신이 싫으면 거부를 위한 절차를 신청해야되는 나라의 장기기증에 대한 접근 프레임의 차이로 생기는 장기기증자 숫자의 엄청난 차이는 세상을 보는 방식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확연히 보여줍니다. 또한 불확실한 우리의 감각들에 대해서도 우리가 구축한 프레임을 통해서 일정한 규칙이나 질서가 부여되는 예를 통한 깨우침은 우리 삶에 프레임이라는 개념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알게 합니다. 또한 '자기 프레임'을 통한 나의 자기 중심성, '현재 프레임'을 통한 과거와 미래의 왜곡, '이름 프레임'을 통한 돈을 소비하는 방식에 있어서의 다양한 모습, '변화 프레임'을 통한 경제적인 선택과 판단이 달라지는 예들을 통해 우리의 삶에서의 프레임의 위력을 재차 알려줍니다.

 지혜를 어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성경에서는 하나님을 아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라고 하였는데, 저자는 이 책을 쓴 목적이 자신이 심리학을 통해서 배운 지혜를 알리는 데 있다고 하였고, 지혜란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즉 프레임 속에 갇혀서 세상을 어떤 모습으로든지 왜곡하여 볼 수 밖에 없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절대겸손을 추구하는 것이 지혜의 출발점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프레임의 한계속에서도 더 지혜롭고 자유로운 사람이 되기 위한 저자의 조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의미중심의 프레임을 가져라.

 2. 접근 프레임을 견지하라.

 3. '지금 여기' 프레임을 가져라.

 4. 비교 프레임을 버려라.

 5. 긍정의 언어로 말하라.

 6. 닮고 싶은 사람을 찾아라.

 7. 자신의 마인드에 맞게 주변의 물건들을 바꿔라.

 8. 소유보다는 체험 프레임으로 소비하라.   

 9. '누구와'의 프레임을 가져라.

 10. 위대한 반복 프레임을 연마하라.

 아마도 저자가 말하는 '프레임'의 개념은 나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어렴풋이나마 알고,  또한 때로 느끼고 살았지만 정확하게 정의된 언어로 표현하고, 그 영향력이 얼마만큼 큰지를  미처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의미있는 이야기라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고, 스스로 세상을 바라보던 창과 세상을 살던 방식을 되돌아보는 귀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음이 감사의 제목이 됩니다. 저자의 말처럼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 경험하는 절대 겸손, 자기중심적 프레임을 깨고 나오는 용기, 과거에 대한 오해와 미래에 대한 무지를 인정하는 지혜, 돈에 대한 잘못된 심리로부터의 기분좋은 해방 등을 느끼고 얻을 수 있는 이야기와 설명들을 통해서, 마음속에 세상을 좀더 지혜롭게 살 수 있는 요령 - 즉 더 나은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는 -을 채울 수 있었던 것에 대한 감사함이겠지요.

'프레임을 바꾸면 인생이 바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