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형제 - 날개가 필요해 우리들의 날개 아름북스 12
이은하 지음, 홍영지 그림 / 삼성당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대철이와 만복이. 대철이는 부모의 불화로 인한 - 이것이 이유의 다는 아니겠지만 -, 그리고 자신이 그런 환경속에서 이해받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는 것에 대한 심리적인 반항이 학교에서 모나고 폭력적인 모습으로 나타나 결국은 쓰레기 취급을 받는 아이입니다. 가장 사랑받아야 할 부모에게서부터도 문제아 취급당하고, 아이의 내면마저 항상 왜곡된 상태로 취급당하는데서 오는 절망감이랄까..... 대철이는 다른 학생의 코뼈를 부러뜨리고, 결국은 쫒겨나듯 전학을 가야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만난 만복이는 부모가 없이 동생과 할머니와 함께 살면서 고물을 모아 파는 아이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쓰레기 줍는 만복이를 쓰레기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만복이는 그러한 불우한 환경을 웃음으로 그리고 할머니와 주변 사람들의 손길에 어린 사랑과 관심으로 나름 잘 극복하고 있는 듯 합니다. 물론 기가 죽어있고, 다른 아이들의 놀림에 반항하지도 못하는 수동적인 모습이기는 하지만, 동생을 챙기고 대철이에게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주고, 다른 아이들과도 자신의 장점을 가지고 인정받기도 하고 어울리기도 하는 모습을 보면, 분명 마음 한 구석은 아픔으로 깊은 상처를 입고 있겠지만, 대철이 만큼 자신의 삶에 대해서 무책임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쓰레기 형제란 바로 이 둘을 일컬음입니다. 대철이에게 당한 폭행을 보복하려고 대철이가 전학온 학교까지 쫓아와 폭력을 사주한 태창이 패거리들에게 실컷 두들겨 맞고 있는 대철이를 만복이가 호르라기를 불어 구해줍니다. 그리고 기진맥진한 대철이를 빈집에 데려가 이불을 덮어 보살펴 주는 사이, 이 둘 사이에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이해의 끈이 생깁니다. 그래서 서로가 웃으며 쓰레기 형제 -쓰레기 취급받는 아이와 쓰레기 줍는 아이-로 의형제를 맺습니다. 어찌보면 어른들과 자신의 가족 그리고 학교 선생님과 친구들 사이에 항상 외면당하면서 살았던 아픔과 소외가 서로의 작은 공통점으로 인해서 위로받고 또한 서로의 삶에 새로운 희망을 싹틔우는 순간입니다. 자신들의 삶에 스스로 날개를 다는 순간 말입니다.

 이야기 속에는 이 아이들의 아픔 말고도, 다른 아이들의 아픈 모습도 담겨 있습니다. 어찌보면 당사자들은 아픈줄도 모르고 있을 부분입니다. 자신이 폭행당한 것에 앙심을 품고 자신의 장난감들을 사용하여 형들을 동원하여 폭행을 사주하는 태창이의 모습은 어른으로서도 섬뜩함을 느끼게 하는 부분입니다. 대철이에게 돈을 뜯어가곤 하던 아이들의 모습도, 만복이를 스스럼없이 쓰레기라 부르며 당연히 쓰레기통 청소를 시키는 반장과 체육부장의 모습도 역시나 마음이 아픈 아이들의 모습입니다. 아프다기 보다는 심하게 비틀린 모습이라고 하는 것이 옳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러한 모습이 결국 어른들의 모습이 투영된 결과가 아닌가 하는 의미에서는 그 아이들도 무심결에 상처를 받은 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학부모인 나도, 난폭하거나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대철이와 같은 아이를 대하게 되면 우선은 관심보다도 거리를 두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만복이와 같은 아이를 보게 된다면 그 아이를 얼마나 이해하고 아이와 어울리게 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행히 지금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는 한 학급에 한명 정도의 장애아이가 함께 수업을 받고 같은 반 아이들이 돕고 함께 생활하도록 지도 되고 있어 그런면에서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결국 아이들은 어른들의 거울이라고, 어른들의 삶이, 아이들에게 바라는 바대로 가식없이 표현된다면, 이 책에 보이는 아이들의 아픔과 상처는 많이 해결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마음이 아픈 아이들, 그 모습은 어찌보면 마음이 아픈 어른과 우리 사회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 아픈 아이들의 근본적인 치유를 위해서는 곧 우리의 가정과 부모, 어른들 그리고 사회가 더 건강해져야 할 것 같구요. 사랑을 갈급하는 닫힌 저들의 마음과 외침이 희망과 사랑의 기쁨으로 채워질 수 있는 건강한 사회, 그들이 위로받고 소망을 가질수 있는 건강한 가정을 만들어 가자는 작가의 외침이 귓가에 조용히 울리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