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 간 사자 웅진 세계그림책 107
미셸 누드슨 지음, 홍연미 옮김, 케빈 호크스 그림 / 웅진주니어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소개된 책제목을 보며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분명 책의 표지는 아닌데 제목은  귀에 많이 익었거든요.....한데..... 검색을 해보니 다른 출판사의 어린이책 <학교에 간 사자>라는 책을 잠시 혼동하였더군요. 학교에 간 사자나 도서관에 간 사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장소에 간 사자님.... 무얼하러 가셨을까요? 도서관은 책을 골라보며 읽는 곳인데.....

  앞표지를 넘기면 꼬리를 쭉 펴고 인도를 당당하게 걸어가고 있는 사자가 보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 페이지에선 사자가 꼬리를 치켜들고 계단을 오르는군요. 계단 양쪽에는 쪼그린 사자상이 있는데, 그걸 보고 이 사자님은 자신을 반기는 곳으로 알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여간 우리 사자님, 당당하게 걸어서 맥비씨가 있는 대출 창구를 그냥 지나치고 자료실로 갑니다. 사람들이 모두 눈이 휘둥그레지고....맥비씨는 관장님께 사자가 나타났다고 고하러 달려갑니다. 하지만 메리웨더 관장님의 관심사는  무서운 사자가 나타난 것보다는 도서관에서 뛰면 안된다는 것 등의 규칙이 지켜지는 것이 더 중요한가 봅니다. 뛰어온 맥비씨에게 뛰면 안된다고 주의시키고, 사자가 규칙을 어기지 않았다면 문제가 안된다고 말씀하시는 걸 보니 말입니다. 그래서 사자님은 도서목록 카드의 냄새도 맡고, 새책에 머리를 비비고, 이야기 방에서 잠이 들지만 규칙을 어기지 않아서 그대로 도서관에 받아들여집니다. 다만 한 번, 이야기 시간이 끝나고 갈 시간이 되자 아쉬운 듯, 요란하게 으르렁 울었다가 관장님께 '조용하지 못하겠다면 나가라'는 질책을 받지만, 그 뒤로는 매일 일찍부터 나와서 관장님도 돕고, 아이들과도 놀아주고, 꼬리로 책의 먼지도 털며 모범적인 도서관의 구성원으로 생활을 합니다. 절대 뛰지도 으르렁 거리지도 않았으며 맥비씨를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도서관의 구성원으로 인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맥비씨 만큼은 아직도 사자가 도서관 있어서는 안될 동물이라고 생각하시나 봅니다. 그러던 어느날..... 사자의 도움을 받으며 일하시던 우리 관장님께서 의자에서 떨어지셔서 바닥에서 일어서시지를 못하게 되는 사건이 발생하고, 사자에게 맥비씨를 불러 달라고 부탁을 하게 됩니다. 그 와중에서도 우리 관장님은 사자에게 뛰면 안된다고 주의시키시지만, 다급한 우리 사자씨는 냅다 뛰어서 맥비씨에게 가서 자신의 용무를 무시하는 그를 향해 '으르르크아아아앙!' -관장님이 다쳤어요- 하고 냅다 소리를 지릅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지 않고 규칙을 어긴 자신의 행동을 순순히 인정하고 도서관에서 사라지고 마네요. 고자질하러 간 맥비씨는 팔이 부러진 관장님을 발견하지만 이미 사자님은 사라지고 난 뒤입니다. 그 다음날부터 사자가 보이지 않자 시무룩해지신 관장님과 혹시나 하며 가끔씩 주위를 둘러보는 도서관의 여러 사람들.... 사자님을 찾고 있는 것입니다. 모두들 이리 앉아서 사자를 기다리고 있는데, 그동안 얄밉게 보였던 우리 맥비씨는 비오는 날 우산을 받쳐들고서 마을 곳곳을 뒤지며 멋진 뒷모습을 남기며 사라지신 사자님을 찾아 나섭니다. 그리고 도서관 유리문 앞에서 사자를 찾아낸 맥비씨가 도서관의 새 규칙을 멋지게 통보합니다. '으르렁거리면 안됨. 단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경우는 예외임. 그러니까 다친 친구를 도와야 할 경 같은 것 말이지." 이리 말하고 돌아서 가는 맥비씨의 모습은 규칙을 어기고 도서관을 스스로 나오던 사자님의 모습보다 더 멋있습니다..... 다음날 사자는 다시 도서관에 돌아왔고, 우리 엄격한 관장님께서도 기뻐서 마구 달려가시네요, 사람들은 환호성을 지르구요, 다시 새로운 규칙하나. '도서관에서 뛰거나 소리치면 안됨. 단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경우는 예외임. 규칙을 인정하고 지킬 줄 아는 멋진 사자가 돌아왔을 때와 같은 경우.'

  쓰다보니 줄거리를 적어버린 듯 합니다. 요점은 이 책을 통해 저자가 말하려는 것들을 찾아 내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국 이야기의 처음부터 끝까지 나열하게 되고 말았습니다. 우선 저자는 도서관 -여기서는 책의 배경이 도서관이지만 이걸 넓혀서 생각한다면 공공장소로 생각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에서는 누구나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으며, 이것은 사람만이 아니라 동물인 사자에게도 해당되는 것이며, 누구나 준수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도서관 사서도, 도서관장님도 예외는 아니구요. 두번째는 규칙을 어기면 그에 대한 합당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의 사자님처럼 그것에 합당한 이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를 합리화하거나 변명하기 보다는 먼저 규칙을 어긴 대가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성숙함이 먼저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도서관 유리문 앞에서 비를 맞아가며 그 안에 들어가고 싶어하지만, 못들어가고 있는 사자님이 멋져 보이는 이유는 자신이 불편하다고 변명하지 않고, 더욱 철저히 그 규칙을 준수하는 태도 때문일겁니다. 세번째는 모든 규칙에는 예외가 있다는 것입니다. 공공장소의 규칙이 결국은 그 시설을 이용하는 이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마련된 것이지 결코 규칙을 위한 규칙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관장님이 다쳤을 때 이것을 알리기 위해 으르렁거린 사자의 행동이나 사자가 돌아왔을 때 그 기쁨으로 뛰기도 하고 환호성을 울리는 모습은 정당한 것이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것은 규칙을 어긴 사자가 먼저 규칙의 예외를 주장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고, 그 예외라는 것은 구성원 모두가 수긍할 만한 것이어야 한다는 사실일 듯 합니다. 네번째로 사자님보다 더 멋진 맥비씨의 모습을 통해서 작가가 우리에게 하는 이야기입니다. 자신의 잘못된 점을 인정할 줄 아는 용기와 다른 사람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서 행동하는 사랑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덕목이라는 사실입니다. 맥비씨가 사자를 찾아나서서 규칙의 예외를 알려주는 모습은, 바로 자신의 사자에 대한 잘못된 시각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모습이고,  사자가 떠난뒤 창밖을 보거나 주위를 둘러만 보는 수동적인 다른 사람들의 모습과는 달리 사자를 찾아나서서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으로 그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주는 맥비씨의 모습은, 바로 실천하는 사랑의 의미와 결과를 여실히 보여주는 본보기라는 생각입니다.

  책읽는 시간이, 짧지만 참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멋진 사자님처럼 규칙을 존중하는 훌륭한 도서관 맨(?), 도서관 우먼(?)이 되고, 더 멋진 맥비씨처럼 자신의 잘못된 점을 인정할 줄 알고 또한 다른 이들을 위한 사랑을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멋진 사람들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멋진 사자님! 그리고 더 멋진 맥비씨! 우리 아이들에게 당신들의 멋진 모습과 심성을 전염시켜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