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술은 속삭인다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도 상처받은 소년이 주인공이다.(모방범을 생각하라) 미야베 미유키는 아무래도 그런 일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범죄 그자체보다는 범죄, 하나의 사건으로 인해 사람들이 어떠한 영향을 받고 또 어떻게 그 영향을 극복해가는지, 그런 것에 대해 세세하게 그리려 하는 것 같다. 공금횡령후 사라져 버린 아버지, 어른들로부터 시작된 극단적인 따돌림을 견뎌내면서 아이는 성장해갔다. 그 아이가 어떻게 그런 일을 견뎌낼 수 있었을까. 어쩜 이렇게 굳건하고 바르게 반짝거리는 아이로 자라날 수 있었을까. 너무나 눈부셔서, 나는 문득 그 아이를 괴롭히던 학급 패거리의 마음을 알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다. 어떻게 그런 일을 겪고도 그렇게 눈부실 수 있니, 나는 네가 질투나. 이런 마음이겠지.
하지만 이런 아이, 이런 눈부셔 보이는 아이의 마음에도 어둠이 있다. 아버지를 죽인 사내에게 살의를 품고, 죽이려했다. 죄인을 용서치 못하고 자기 손으로 그를 구렁텅이로 밀어넣고 싶어하는 음습한 마음, 최면으로 다른 사람의 잠궈진 마음을 멋대로 열어버리는 것과, 꽁꽁 잠궈진 문을 멋대로 따버리는 것은 어찌보면 비슷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사람보다 낫다는 의식, 누군가의 숨기고 싶은 것을 멋대로 꺼내볼 수 있다는 것, 우위에 서있다는 의식... 소년과 범인사이에 있던 공통점. 아주 가느다란 경계선을 두고, 종이의 앞뒷면처럼 그들은 공존한다. 소년은 그 선을 넘어갈 수 있었다. 범인은 이미 넘어가버렸다. 그 선은 인간적인 면이랄까. 자기 자신의 부족함, 자기에게 남을 심판하고 조종할 자격이 없다는 사실을 인식했는가 아닌가, 하는 부분이 달랐던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뭐 그래도 소년 또한 어느 정도 그런 힘을 써버린 것만은 틀림 없다. 그래서 왠지 좀 씁쓸했다. 미야베 미유키 소설인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군가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일영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는 그저 행복하게 살고 있는데, 그 행복을 비뚤게만 보는 주변 사람들을 보자니 답답스럽다. 불쌍한 아저씨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아저씨라기엔 나이가 별로 많지 않지만... 소소한 사건이라고, 여기저기서 이야기하는데 내 생각에는 전혀 소소하지 않다. 정말로 커다란 일이다. 교통사고든 자전거사고든, 뜻밖의 사고로 친지를 잃는다는 건 정말로 삶이 송두리째 뒤바뀔 수도 있으리만치 중요한 일이다. 커다란 일이다. 자전거를 평생 못타게 될 수도 있고, 자전거를 타는 사람을 미워하게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이 집안은 이 사소한 사고로 인해 얼마나 크게 흔들리고 상처받았는가. 사실 그 전에 더 어마어마한 사건이 있었고, 그 사건이 이 평범해 보이는 집안을 일그러뜨린 장본인이긴 하지만 그것이 드러나게 된 건 소소하다고 하는, 바로 이 사건이었다. 다른 무엇보다 그 소소한 사건이 전혀 소소하지 않아보여서, 나는 그게 슬펐다. 전혀 소소한 일이 아니야. 일상 속에 얼마나 큰 함정이 숨어있는지. 평범해보이는 사람들의 삶 속에 얼마나 큰 아픔과 어둠이 숨어있는지. 가끔 잊어버리기도 하고, 그편이 세상 살아가기에 편하기도 하지만. 어쨌거나 진실은 그런 것이다. 잔인하고, 음습하고, 슬픈 것이다. 찬란한 햇살 아래에는 반드시 그늘이 있다.
사토미와 리코의 관계가 그만큼 일그러져 있던 것은 그들이 특별히 이상해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얼마든지 그런 일이 생겨난다. 부모의 사소한 말 한마디, 무심결에 하는 행동들의 아이들을 구분짓고 서로를 질투하게 한다. 슬프지만 어느 정도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말하는 평범한 일상이다. 어디에서나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나는 그게 더 슬펐다.
당연한 듯 차별과 경멸과 부모로부터의 외면을 받아들이는, 그 모든 불행보다 손안에 놓인 행복에 감사하는 주인공은 얼마나 대단한지. 그 모든 것을 자기 스스로 선택했음을 알고 그 결과를 기쁘게 받아들이는 이 남자가 어디 평범한 소시민이냐. 누가 그럴 수 있겠냐고. 왜 끼리끼리 놀아야 한다고 하고, 왜 재벌2세와 결혼한 탈렌트가 이혼을 하는데. 그런 것을 견뎌내지 못했기 때문이 아냐? 견디기 힘들기 때문 아냐? 자신이 선택했지만 그래도 견뎌내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지 않냐고.
미야베 미유키는 항상 그런 사람을 그린다.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멸을 받지만 그것을 담담하게 이겨내고, 소수의 자신을 믿어주는 사람들을 위해 살아가는, 그런 작은 영웅들. 반짝반짝 빛나는 사람들. 이 작은 영웅의 다음 이야기가 얼른 보고 싶다.
그렇지만 역시, 사토미와 리코가 이렇게 일그러져 버린 채, 다시 되돌아오지 않은 채 이야기가 끝나버린 게 좀 아쉽다. 어쩔 수 없는 일이고, 실제로 그렇게 일그러져 버리면 회복하기 어려운 법이지만, 미야베 미유키라면, 이 따스하게 사람을 바라보는 사람이라면 무언가 결론을 내주지 않았을까 싶었는데. 씁쓸한 결말이란 느낌이 들었다. 이 자매의 입장에서 생각하자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샤바케 2 - 사모하는 행수님께 샤바케 2
하타케나카 메구미 지음 / 손안의책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이번에는 저번편보다 좀더 재미있었다. 캐릭터가 더 생동감있고, 도련님의 추리도 더 빛을 발했다. 시기하는 마음, 어둠에 물든 마음, 오만, 편견, 냉정함, 압박감 같은 심리들이 전편보다 더 다채롭고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고 더 서늘하고 더 유쾌했다. 요괴들도 이번에는 어찌 그리 귀여워 보이던지. 게다가 그 요괴들 등쌀에 매번 얼굴을 찌푸리면서도 없으면 서운해하는 도련님도 머리를 쓱쓱 어루만져주고 싶었다. 제일 슬펐던 건 배다른 형의 고난 일기랑 고향갔다 돌아오는 길에 죽은 고용하녀 이야기. 슬프고, 안타깝고, 그리고 허약한 몸으로 어떻게든 한 사람의 몫을 해내려고 안간힘을 쓰는 도련님이 귀여워보였다.
우는 이불이야기도 재밌었고, 관리와 가족들을 상대로 자기 목숨을 걸고 도박을 벌인 쓸쓸한 노인이야기도 재밌었다. 아, 다시 읽고 싶지만 반디앤루니스에서 앉아 해치운 거라... 도서관에 들어오면 다시 빌려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사용후기 - J. 스콧 버거슨의
스콧 버거슨 지음, 안종설 옮김 / 갤리온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발칙한 한국학도 재밌게 읽었었다. 이 떠돌이 아저씨는 다양성, 그리고 다양성의 존중을 최고로 치는 멋진 아저씨라고 전에도, 그리고 지금도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이라면 눈살을 찌푸릴 부분들을 좋은 면이라고 생각하는 독창적인 면도 있다. 안그래도 획일적이었는데 더 획일화되어가는 대한민국을 보며 통탄을 하는 그의 모습이, 좋아라 세계화하고 있는 한국을 보며 아이고, 아이고, 하고 흥분하며 난리치는 그의 모습을 보니 이사람은 정말 한국을 사랑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의견은 나랑 좀 다른 듯 하지만. 나는 지금 변화하는 모습에서 좋아하는 것도 있고 싫어하는 것도 있다. 온갖 나라의 것이 모여들어 잡탕이 되는 건 왠지 좋다. 나는 좀더 이 나라가 잡탕 찌개가 되면 좋겠다. 그래서 인사동의 옛가게들이 없어진 건 아쉽지만 이상하게 생긴 건물들이 생긴 건 괜찮다. 네모반듯한 건물이 아닌 게 여러 개 생기는 게 좋다. 낡은 한옥 투성이인 가회동에 사람들 발길이 닿는 게 좋다. 조금 우리 동네가 아닌 것 같아 쓸쓸하기도 하지만...(고향에 10년만에 돌아갔는데 너무 많이 바뀌어서 길잃은 사람의 기분을 떠올려보라.) 하지만 그런 만큼 종로가 강남화 되는 것은 나도 반대다. 종로는 종로대로 다운타운스럽게 남아야한다고 생각한다. 길가기 불편할 정도로 다닥다닥 모여있는 노점상, 뒷골목의 작고 허름한 식당들, 천박해보이기까지 한 네온사인, 군데군데 끼어있는 오래되고 고아한 흔적... 르메이르 따위가 세워져서는 안된다는 것에 100% 동감이다. 종로 토박이로서 하는 말이다. 그건 종로가 아니다. 이 동네는 촌스러운 게 어울리는 동네다. 르메이르같은게 쑥쑥 올라가면서 노숙자 아저씨들이 더 늘어난다. 둘이 꼭 연관관계가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경제는 성장했는데 일인당 국민소득은 왜 떨어진 걸까. 작은 가게들이 쫓겨나고 르메이르처럼 커다랗고 획일화된 것들이 자리를 차지하게 돼서 그런 건 아닐까. 작은 가게를 하던 아저씨들의 길거리로 나앉게 된 건 아닐까. 월세내가며 장사했을 텐데, 그럼 이사비용밖에 못받았을 텐데. 도대체 어디로 가라고. 그 뒷골목에서 장사하던 거랑 지하 아케이드에서 장사하던거랑 어떻게 같을 수가 있냐. 아아. 우울해. 나는 세키구치 같은 소리를 지껄이고 만다. 이 아저씨 화낼 만 하다. 잔뜩 열 받아서(여자친구한테 차인 분까지 포함해서) 열심히 글을 갈겨 썼다. 어쩐지 정말로 이 나라를 사랑한 모양이라고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고루 기담
아사다 지로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사다 지로다운, 기묘한 이야기. 그리고 사실적이면서도 일본적인 이야기다. 이 사람은 좋아하긴 하지만 묘하게 다른 사람이구나 하는 부분들이 있다. 대단한 사람이라는 느낌도 있고. 야쿠자에 대한 리얼한 묘사가 참 대단하다. 변명을 하지도, 포장하지도 않는다. 역시 야쿠자 출신! 이랄까, 사람살이에 대해 꾸미지 않고 차가우면서도 어쩐지 그냥 관찰자로만 있는 게 아니라, 살다보니 그렇다더라는 그런 느낌. 기이한 이야기들이지만 사실은 사람이 갖고 있는 그 속성들을 그려주고 있다는 느낌이다. 질투, 집착 같은 것, 사고루 기담에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는 바로 그 두가지였던 것 같다. 질투와 집착. 사람들이 누구나 갖고 있는 것. 어떤 일이든 하게 만들지만 또 어떤 일이든 못하게 되는 것.
아아. 지금 초조하고 불안하고... 그런 마음에 어울어져서 이 소설 착잡하게 다가온다. 아, 도서관에서 그냥 후닥닥 읽어버린 것도 그런 이유. 사실 투잡해보려고 번역 일을 알아보는데 역시 공부도 부족하고 이것저것 벌리는 것 같기도 해서 불안하다. 하지만 돈이 필요한 걸. 그놈의 돈. 인생 괴롭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