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마디로 이집트음악이라 하지만 메소포타미아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음악문화가 발달한 고대 이집트와, 아라비아의 침입에 의한 이슬람화 이후의 이집트는 음악 그 자체에도 본질적인 상이점이 있고 시대적인 격차도 크다. 이러한 관계로 해서 오늘날 이집트의 음악은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고찰되고 있다.

【고왕국】 신석기시대 말에 이미 타악기(딸랑이 등)와 마우스피스가 없는 세로플루트가 있었으며 모든 춤은 타악기로 반주되었다. 이것을 발전시킨 고왕국은 BC 2000년경까지 이미 고대 이집트음악의 중요한 것을 거의 모두 이루어 놓았으며 조용하고 느릿한 음악이 이 무렵의 특징이었다(무반음 5음음계). 팬터마임은 노래와 악기의 반주로 이루어졌고 양손을 머리 위에 얹은 유연한 춤은 마우스피스가 없는 세로플루트와 하프(5~7현, 5도로 조현)의 대합주로 반주되었다. 쌍관의 클라리넷도 제5왕조 때 만들어졌으며, 제4왕조의 무덤 조각에서는 가수가 악기 연주자 앞에 앉아 손가락 모양이나 손 ·팔의 위치로 음높이 ·리듬 등을 지시(카이로노미)하고 있다. 이것은 음의 기록으로서 가장 오래 된 것이며 BC 2555년경의 궁정가수 ·플루트 주자인 푸프 안프는 이름이 알려진 가장 오래 된 직업 음악가이다.

【중왕국 ·신왕국】 오리엔트문화의 영향으로 음악은 화려하고 관능적이었다. 키타라 ·2매가죽틀북, 그리고 공명상자가 커진 하프에 이어 신왕국 때는 뼈로 만든 딸랑이, 각종 북 ·수형()하프 ·류트(BC 1500년경의 하르모시스의 악기는 완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쌍관오보에 ·트럼펫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류트나 오보에에서 이 무렵의 음악에 반음정이 쓰여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진 악기 시스트룸(방울)은 중왕국시대부터 유물이 발견되며, 신왕국시대에는 여성음악가가 종교음악과 세속음악에서 활약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이후】 BC 4세기에 그리스의 지배하에 들어가자 그리스의 판(피리)이 이집트에서 기계화되어 수압()오르간으로 발전했다. 이 무렵의 음악은 그리스음악과 함께 고대 그리스도교회음악의 모체가 되는데, 기원 후에 만들어진 각종의 심벌즈와 그 밖의 타악기는 고래의 카이로노미나 이 시대의 선율과 더불어 에티오피아의 콥트교회 전례음악으로 전해지고 있다. 640년 이브눌 아스가 이집트를 정복한 뒤부터는 아라비아음악이 많이 유입되어 세분()음정도 쓰여졌다(17음음계 등). 동서 이슬람문화권의 교류점에 있었으므로 현재도 역시 도시의 음악에는 터키나 페르시아의 영향이 남아 있고 우드 ·레바브 등을 사용하나, 한편 고래의 세로플루트 등도 연주되고 있다.

1820년 이후는 카이로를 비롯하여 각지에 음악학교가 설립되고 1871년에는 카이로에 오페라극장이 개설(마이어베어의 《위그노교도》로 낙성식, 이어 베르디의 《아이다》 상연)되어 음악의 유럽화가 진행되고, 이 경향은 영화음악 분야에서 특히 뚜렷이 나타나 있다. 1925년 전통적 아라비아음악을 부흥하기 위한 음악학교가, 또 1929년에는 동방음악연구소가 개설되었다. 그리고 동방적 음악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형식적 ·기술적인 면에서 유럽화의 실마리를 찾아내려는 흐름이 있으며, 그 중심 인물은 알 헤프니이다. 또 현대의 작곡가 중에서는 하가그를 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년뒤에 갖기로 했던.

바람과함께사라지다 디비디를 사버렸다..

그래서.. 재정난이 ...일어났다..

에휴..

나 냄비체질이라 한번뜨거워지면 눈이 확 돌아버려서 암것도 안보이다가,.

곧꺼지는 성격인데..

특히 뭔가에 대한 소유욕은..

엉.~

그래도 좋긴 좋아서 다행이다.

규칙을 정해야겠다..

오년뒤 살것들 ++++++

1.도레미1,2

2.풀하우스16

 

*이것들은 꼭, 5년뒤에 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스티나 캐나다선생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게자리
게자리는 12궁의 별자리중 하나이며 사자자리와 쌍둥이자리 사이에 위치합니다.
헤라클레스(Hercules)는 제우스와 알크메네(Alcmene)의 아들입니다. 제우스의 아내인 헤라(Hera)여신은 그를 미워해 그가 죽는 순간까지 괴롭힙니다. 12가지 노역이라는 유명한 이야기도 그녀가 헤라클레스를 괴롭히기 위해 꾸민 일이라고 합니다. 이 이야기에서 그는 머리가 아홉 개인 괴물 히드라(Hydra)와 싸우는데 히드라는 머리하나를 자르면 새로운 두 개의 머리가 자라나며 또한 무서운 독을 내뿜는 괴물이었습니다. 그가 히드라와 힘겨운 사투를 벌이고 있을 때 헤라는 그의 정신을 산만하게 하려고 게 한 마리를 보냅니다.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을 물지만 결국 헤라클레스에게 밟혀 다리하나가 부러진채 죽고 맙니다. 게자리에서 게의 다리하나가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헤라는 자신에게 충실했던 이 게를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어 주었다고 합니다.

행운의 숫자 ----> 2
탄생화 ---------> 연 꽃
행운의 보석 ----> 진 주
타고난 향기 ----> 백 합
행운의 색상 ----> 흰 색

타고난 기본 성격
게자리의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신을 방어하고 민감한 처세로 빈틈없는 삶을 살아가려합니다. 자신과 자신의 무리를 지키며 보호하고 사랑합니다. 마음이 굳고 성실하며 가정적인 성격을 지니고있습니다. 수호성은 달입니다. 달은 사생활을 관장하며 때문에 강한 생활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1. 마음이 굳고 성실하며 가정적인 성격의 소유자입니다. 따라서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모가 나지 않으며 환경에 대한 순응력이 뛰어납니다.  

2. 친구를 택하는데도 좋은 점만을 골라 택하지 않는 순응성이 풍부하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지혜나 아이디어를 모방하는 것도 서슴지 않는 융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 자신이 가정을 수호하고 풍족하게 하기 위하여 무엇이든지 저축해놓고 비축해가는 유능한 성격이지요.

3. 방위의식이 지나치게 강력해져서 배타적인 충동을 느끼거나 히스테릭한 자기 주장에 남달리 격렬할 때가 있습니다. 충분한 여유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과시하여 보호의식과 조화한다면 좋을 것입니다.  

4. 뭐든지 해낼 수 있는 여유와 능력의 소유자로 자신은 물론 대중을 위한 보람된 일이라면 무엇이든 쉽게 만족하고 참여할 것입니다.

5. 모방의 천재이지만 흉내를 내는 데만 그치지 않고 그 모방으로부터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창조의 재능도 뛰어났기 때문에 그 역량을 통하여 자기뿐만 아니라 대중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 데 공헌하는 성미이지요.  

6. 물의 특성을 지닌 게자리의 사람들의 변덕은 끊임이 없으며 놀라우리 만치 다양합니다. 이러한 감정상의 심한 변화는 아주 빨리 나타났다 사라지며 분위기를 더 맑고 깨끗하게 정화시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