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좋은 어린이책 <반달>의 전문가 추천사입니다.

글 : 고정순(그림책 작가)

 

도깨비 소녀가 보내온 편지
어릴 때 우리 집은 오락실을 했다. 오락실이 망하고 도망치듯 서울로 이사를 오기 전날 컴컴한 가게에 앉아 있던 엄마의 등을 본 적이 있다. 성장 영화나 소설을 읽을 때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아이는 어른의 뒷모습을 보며 자라는 게 아닐까.


<반달>에는 가난과 죄책감으로부터 도망치는 ‘아빠’의 뒷모습을 기억하는 도깨비 소녀 ‘송이’가 나온다. 무엇이든 적당히 잘하고 똑똑한 아이로 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 송이는 지하 술집에 산다. 그곳에서 송이는 아빠의 뒷모습을 기억하며 치졸한 어른들의 속내를 목격하고 외로운 친구들의 아픔을 간직하며 ‘엄마의 바쁨’을 먹고 자란다.


무책임한 아빠와의 재회와 추한 선생님의 모습을 통해 어른일 수 없는 어른들의 단면을 그린다. 작가는 어두운 그늘에서 피는 이름 없는 꽃을 보듯 아이들의 작은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길고 긴 지하의 계단을 올라
햇빛을 보면 눈이 부셔.
잘못한 것도 없는데
부끄러운 기분이 들어.
<나는 도깨비> 중에서

 

주인공 송이는 장마다 펼쳐진 그림과 글을 통해 담담하고 아름답게 성장한다. 소녀의 성장은 커다란 깨달음이나 대단한 발전을 의미하지 않는다. 어쩔 수 없는 가난과 외로움 속에서 자신과 닮은 사람들을 만나고 이별하는 과정을 통해 내면의 키가 한 뼘씩 자란다. 자신보다 더 어둡고 깊은 불행의 지하실에 웅크리고 있는 친구를 보고 처음으로 소리 내어 운다. 작가 김소희 유년의 이야기는 힘없이 자기 연민으로 머뭇거리지 않는다.

 

숙희는 나보다 조금 더 아래
더 컴컴한 불행의 지하실에 있는 느낌이었다.
<숙희> 중에서

 

미안함과 이별의 아픔을 마주한 소녀는 빛이 드는 집에서 지난날을 회상한다. 작은 창으로 드는 그리움처럼 고요하게 빛이 든다. 그림에서 혹시나 온기가 느껴지지 않을까 싶어서 손으로 조심스레 만져 보았다.

 

식구들은 아무도 어둡고 축축했던 지하의 카시오페아나 그곳에 떴던 반달 모양의 무대와 창고 방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
<졸업>중에서

 

작가의 모든 이야기는 자전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자전적이라는 단어를 서두에 꺼내며 시작하는 이야기는 언제나 어렵고 아프기 마련이다. 모르긴 몰라도 많은 망설임 끝에 첫마디를 뗐을 것이다. 많은 시간이 지난 후 누군가에게 건네는 안부 인사처럼 말이다.


담담하게 시작한 유년의 이야기는 반달의 따뜻한 온기처럼 외로운 이들의 등을 쓸어주며 끝을 맺는다. 길을 걷다가 밤하늘에 뜬 달을 볼 때가 있다. 바쁜 걸음을 멈추고 일부러 고개를 들어 달을 찾는 날이면 무언가 바람이 있어서다. 아마 작가의 바람은 지난 시간 속에 만났던 모든 사람들의 안녕이 아니었을까. 달은 참 신기하다. 살면서 내내 보아온 모습인데 늘 어여쁘다. 둥글게 차오를 때도 스스로 몸을 비워 갈 때도 언제나 곱다. 김소희 만화책 <반달>의 반달은 내가 본 달의 모습 중 가장 선명하고 아름답다.

 

6월의 좋은 어린이책 이벤트 보러 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