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이번에 2권이 나오면서 1권의 표지도 바꿨나보다.
근데 뭐하러 바꾸셨나요?
이왕 돈 들여 바꿀 때는 전보다 나은 결과를 얻으려는 거 아닌가요?

          <성형 전>                     <성형 후>                     




 

 

 

 

이거나 그거나.
오십보 백보. 도토리 키 재긴데. 게다가 얼굴은 또 왜 반전시켰는지.
비채와 함께 표지 촌스럽게 디자인하는 출판사로 아주 제 머릿속에 확고하게 인식되셨습니다.

<덤> 크리스티나 리치


<덤2 아마도 원서?> 출처: http://www.aftenposten.no/nyheter/uriks/article2451851.ece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8-12-04 1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로 말들이 많아서 그랬을까요. 원서에서 따오긴 했는데, 어째..

보석 2008-12-04 18:14   좋아요 0 | URL
아, 원래 이 방향의 얼굴을 예전의 책에서 반전해서 썼군요. 아, 근데 전 정말 이 그림 자체가 비호감이란 말입니다;; 옛날 <비틀주스>에 나온 크리스티나 리치의 이미지를 도용한 이 그림! 도대체 크리스티나 리치랑 이 책이 무슨 관계라고;;;(위에 영화 속 사진 첨부)
차라리 저 그림을 빼고 다른 이미지를 넣는 게 낫지 않았을까 생각해요.

가넷 2008-12-04 2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 그닥 유쾌한 표지는 아니네요;;;;

보석 2008-12-05 10:13   좋아요 0 | URL
실물로 보면 더 촌스러워요; 게다가 제가 이 표지를 더 싫어하는 건 한때 이뻐라했던 크리스티나 리치의 이미지를 기괴하게 이용하고 있다는 것 때문이기도 하죠.ㅎㅎ;;(이건 좀 사적인 이유가되겠지만요.^^)

하이드 2008-12-04 2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디서 많이 봤다고 했더니;; 저도 그 영화 봤어요. 2권의 표지도 그러고보면 어디서 따온듯한데;; 책을 안 봐서 어떤 연관이 있는지 도통..

보석 2008-12-05 10:27   좋아요 0 | URL
저도 위에 영화 이미지를 찾고는 각도나 옷까지 똑같아서 깜짝 놀랐어요; 하이드님 페이퍼처럼 저 정도라면 저작권 협의가 있었겠지요. 말씀처럼 2권도 어디선가 따왔을지도..그런데 이건 1권처럼 딱 떠오르진 않네요.

eppie 2008-12-05 1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비슷한 시기의 비슷한 호러 코미디 장르라 아마 보석 님께서 착각하신 듯한데, 크리스티나 리치의 저 모습은 [비틀쥬스]가 아니라 [아담스 패밀리] 버전입니다.^^; 크리스티나 리치는 [비틀쥬스]에 나온 적이 없어요.

물론 저도 저 책 표지들 중에 프랑스어판, 한국어판이 제일 웃긴다고는 생각해요. 그리고 한국어판 새 표지가 개악이라고도 생각하고요. ㅜ.ㅠ 프랑스어판 밀레니엄 시리즈 표지 그림은 세 권 다 John John Jesse라는 펑크 아티스트의 작품이라는데, 아직 이 책을 읽지는 않아서 어울릴 포인트가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좀 흉한(^^;) 그림들이라 예시를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

미국판은 제목이 [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이고, 초판은 제목 그대로 어깨에 문신이 있는 소녀의 사진을 쓰고 있더군요. ( http://en.wikipedia.org/wiki/Image:Thegirlwiththedragontattoo.jpg )차라리 이게 나아요.

(여담 : 원래 스웨덴 책이니 프랑스어판을 '원서' 라고 칭하는 것은 조금 뭣하지 않을까요? ^^;;; )

보석 2008-12-05 13:59   좋아요 0 | URL
아, 맞다. [아담스 패밀리]군요. [비틀주스]에 나온 건 위노나 라이더죠? 영화를 착각했네요.^^; 아, 부끄러워라. 어째서 저렇게 철썩 같이 잘못 생각하고 있었을까요.ㅎㅎ

이번 한국어판 표지는 도대체 왜 바꿨는지 모르겠어요; 앞에 거랑 큰 차이도 없는데. 그래서 더 황당하죠. 미국판은 주인공때문에 그런 제목을 쓴 듯?

덤으로 구글 검색해서 원서 표지인 것으로 보이는 이미지를 찾았습니다.(윗글에 첨부) 스웨덴어를 모르니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이거 같아요. 미국판이랑 비슷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