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대전복수동정지윤 > 교사,부모가 알아야 할 전인교육 10계명

1. 아이들을 전(全)자 인간형으로 키워야 한다.

    전인교육은 지.덕.체가 조화된 통합된 인간, 총체적인 인간으로 키운다.

   

2.  행동의 기준을 자신의 마음에 두게 가르친다

      모든 행동을 남의 잣대로 의식하거나 따르지 않고 자기의 기준을 세우게 해준다.

       자신의 행동에 분명한 방향과 목표를 갖게 한다.)

 

3.  문제를 부모나 교사가 해결하지 않고 스스로 풀게 한다.

       계란은 스스로 깨어 나오면 '병아리'가 되지만 남이 깨주면 '프라이'가 된다

       창의적인 생각과 방법으로 문제를 스스로 푸는 능력을 키워 준다.)

 

4. 모든 것에서 배울 점을 찾아 , 가치를 발견하고 활용한다.

    남의 장점을 배우자는 서양의 마케팅 이론인 벤치마킹의 원조는 동양의 논어에

    나오는 '삼인행필유아사언(三人行必有我我師師焉焉)'이다.

    세 사람이 길을 가더라도 그 주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것이다. 

 

5. 머리가 차가운 아이보다 가슴이 따뜻한 아이로 키운다

    공부만 잘하는 아이로 키우지 않는다.

    부모와 함께 어려서부터 고아원, 양로원등에서 사회 봉사 활동을 하며 인성교육을 한다.

 

6. 모든 사물에는 존재의 의미와 가치가 있음을 알려 준다.

    편식은 위험하다.예를 들어 음악회에 가더라도 우리 음악인 가요, 국악, 판소리, 외국 음악인

    팝송, 샹송,  오페라 등 여러 장르의 음악을 듣게 해 준다.

 

7. 상대방의 입장으로 생각하고 남을 배려한다.

      역지사지(易之思之)가 중요하다. 내의견만 주장하지 말고 상대의 입장으로

     생각해보고, 자신의 말을 많이 하기 보다는 남의 말을 경청하도록 한다. 

 

8. 자신이 닮고 싶은 스승(멘토)를 찾게 해 준다.

      성공하는 자에겐 항상 훌륭한 스승인 조언자(멘토)가 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모델이 될 만한 인물이 코치해 준다면 큰사람이 된다. 

 

9. 자신과 친구들, 주위 모든 것을 칭찬하고 미소를 보낸다.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남을 사랑할 수 없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10. 아침엔 하루를 신나게 열고, 밤엔 내일을 그리며 닫게 한다.

       뭐든지 신나고 열심히 하게 한다. 공부할 때도 열심히, 놀 때도 신나게 한다.

       그리고 밤엔 더욱 신나는 내일을 꿈꾸며 하루를 닫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는 제로섬의 법칙이 지배하는 극심한 경쟁사회를 살아간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과연 그런가? 그렇다면 가장 큰 경쟁자는 자기 자신이며 나와의 싸움에서 이기려고 최선을 다했다고 전하는 그 수많은 성공스토리는 뭘까? 공부의 경쟁자는 과연 우리반에서 나보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일까? 중학교 시절 나도 한번 일등을 해봐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우리반 일등보다 더 열심히 해야 내가 일등이 되겠다고 생각했지만 그 아이가 얼마나 어떻게 공부하는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 전 과목 만점을 맞도록 최선을 다하자."였다. 그러면 혹 다른 친구가 만점을 맞더라도 공동 일등이 될 테니까. 매우 단순하고 어찌보면 미련해 보일지 몰라도 합리적인 계획이었다. 모든 시험문제는 범위안에서 나오고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중심으로 나오게 돼있다. 교과서와 참고서로 배운 내용을 잘 복습하고 수업시간에 집중한다면 만점 맞지 못할 이유가 없다. 교과서 ,노트,참고서에 정답이 없는 문제는 틀려도 상관없다. 나만 틀리는게 아니니까. 나는 학생들에게 평균 100점을 목표로 최선을 다해 공부하라고 가르친다. 이왕 목표를 세울 바에는 90점이 목표가 되면 안 된다. 가르쳐준 범위에서 문제가 나오는데 왜 한 문제라도 틀리는 계획을 세우는가? 물론 실제로 모든 과목에서 만점 받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목표는 만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고 나면 같은 반 친구 중 누구도 나의 경쟁자는 없다. 오로지 배운 내용을 최대한 잘 이해하고 외워서 내가 시험을 잘 보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친구들과 사이도 좋아진다. 친구는 친구일뿐 깎아내려야 할 경쟁자가 아니다. 옆의 친구를 이긴다고 갑자기 내가 우수한 학생이 되는것도 아니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받는데 급급하지 말고 절대적으로 모든 과목의 만점을 목표로 세울것을 권한다. 그러고 나면 공부에서 경쟁자는 나밖에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나를 이기는 것이 모두를 이기는 것, 공부의 윈윈 전략은 여기서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언젠가 성공하는 사람의 생활수칙에 대해 쓴 글에서 이런 구절을 읽은 기억이 난다. "하기 싫은 일마저도 성실히 하라." 공부에 딱 맞는 말이 아닌가. 때론 지겹고 때론 외롭고 때론 어려운게 공부다. 그렇지만 마음을 다잡고 집중해서 성실한 자세로 임해야 결과가 좋다. 물론 공부가 재미있고 즐거울 때도 있다. 누구나 좋아하는 과목, 관심있는 단원이 한 둘은 있게 마련이고 그런 부분은 공부도 깊이 많이 할 수 있고 그만큼 성적고 잘 나오는 법이다. 관건은 그렇지 않은 과목들마저도 얼마나 흥미를 느끼며 열심히 할 수 있느냐다. 억지로 참으며 하는 공부에는 한계가 있다. 즐겁게 공부해야 좋은 성적이 나오는 과목중엔 단연 '과학'이 으뜸이다. 과학을 잘 하는 학생은 보통 어릴때부터 과학을 좋아해서 관련 서적이나 다큐멘터리를 즐기는 경우가 많다. 스스로 관련 지식을 찾아다닐 정도로 과학이 재미있으니 공부도 꾸준히 열심히 하는게 당연하다. 스스로 찾아서 하는 공부의 힘은 '내적 동기'에서 나온다. 사람이 어떤 일을 하도록 만드는 동기는 외부에서 주어질 수도 있고, 본인이 스스로 내면에 부여할 수도 있다."이번 시험을 잘 보면 컴퓨터를 사 주겠다"처럼 외부에서 주는 보상에 의한 동기를 '외적 동기'라고 한다. 외적 동기는 일단 보상을 받고 나면 효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계속 새로운 보상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내적 동기는 스스로 느끼는 만족감에서 비롯된다. 어떤 행동을 해서 내가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한 보상이 고갈 될 일이 없다. 암벽등반이나 가구 제작등 고된 활동을 취미로 즐기는 사람들을 보라. 과학을 공부할 때는 이런 내적 동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과학은 자연을 관찰하다 생긴 궁금증을 하나하나 풀어가는 과정에서 생긴 학문이므로 과학 공부의 큰 원동력은 호기심이다. 어렸을때부터 일상생활 속에서 '왜 그럴까'하는 의문을 던지게 하고 이 의문을 자연스럽게 교과내용으로 연결짓도록 하면 고등학교 때까지 과학 성적은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말고사 성적표를 받은 두 학생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철수야,나 이번 수학 시험 아주 잘 본 것 같아."

"좋겠다. 나는 이번 시험 너무 잘못 본 것 같아 속상해."

"몇 점을 받았는데?"

"80점."

"음, 나도 80점인데."

두 학생 모두 80점을 받았는데 한 사람은 아주 잘 보았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은 성적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각자의 기준점수가 달랐던 것이다.

 학생들에게 목표를 정하라고 하면 '다음달부터 열심히 공부해야지.

'내년에는 일찍 일어나야지.'

'이번 기말 시험에는 좋은 성적을 받을거야.'

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언뜻 들으면 좋은 목표를 세운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제대로 된 목표설정이 아니다.올바른 목표를 정하기 위한 제일의 조건은 목표를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열심히 공부한다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다. 한 시간을 공부하기 힘들었던 학생이 하루에 두 시간을 공부한다면 상당히 열심히 공부한 것이다. 하지만 세시간씩 공부하던 학생이 두 시간을 공부했다면 열심히 하지 않은것이다. 자신의 기준에 따라 '열심히'라는 말의 기준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달부터는 하루에 4시간 공부를 하고, 단어를 20개씩 외운다. 또 매일 아침 한 시간 동안 수학문제를 20문제씩 풀어야지.'라고 말하는것이 올바르게 목표를 설정한 것이 된다. "내년에는 아침 6시에 일어 나야지." "기말시험의 평균을 5점 올리겠어."라는 식으로 숫자로 적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숫자로 적은 목표는 구체적이기 때문에 실천하기 쉽다. 하지만 기준이 불명확한 목표는 행동으로 옮기기 쉽지 않다. 목표를 숫자로 적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표는 시간이 지난 다음에 반드시 평가를 해야 하는데 숫자로 적지 않은 모호한 목표는 목표달성을 했는지 못했는지 평가할 방법이 없다. 오늘부터 목표를 숫자로 적고 스스로 평가해보자. 자신도 모르게 실력이 늘어가는 것을 느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세계 동화 (영문으로듣기)

사자와은혜갚은쥐

포도밭에갇힌여우

황금알을낳는거위

소금을나르는나귀

고양이목에방울달기

외나무다리

고기를물고가던개

개구리와소

서울쥐와시골쥐

막대기다발

박쥐

떡갈나무와갈대

여우와왕이된원숭이

두나그네와곰

아들과사자그림

원숭이와어부

공작과황새

멧돼지,말,사냥꾼

늑대와양떼

여우와포도

독수리와왕새똥구리

돌맹이를낚은어부들

나귀와노새

메안드로스강둑의여우들

생쥐와개구리

기러기와황새

여우와나무꾼

여우와이무기

염소와나귀

염소지기와야생염소

좋은일나쁜일

선녀와나무꾼

콩쥐팥쥐

심청전

혹부리영감

흥부와놀부

토끼전

낙랑공주호동왕자

효성스러운호랑이

공주의시험

대머리가된독수리

불개

로렐라이

개를구해준늑대

은헤를저버린늑대

세가지소원

불구자한스

크라우스와크라우스

소나기와메밀

낡은가로등

완두콩콩알

김정호

김정희

허준

윤봉길

김유신

선덕여왕

황희

콜롬버스

쿠베르탱

슈바이쳐

잔다르크

라이트형제

킹목사

노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